• 제목/요약/키워드: 한국미용학회

검색결과 679건 처리시간 0.026초

남성 세분시장별 이.미용서비스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의 비교 (Comparison 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among Men's Beauty Service Markets)

  • 전양진;전옥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84-29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en's beauty service markets based on socio-cultural appearance attitude and to compare thei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beauty service. The study was done by survey method. Data of three hundred men aged from 20's to 40's were collected by on-line survey. Descriptive analyses, factor analyses, cluster analyses, Duncan tests, multiple regressions, and path analyses were appl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ive factors were found for men's socio-cultural attitude for their appearance. They were high involvement in appearance, social appearance, appearance satisfaction, appearance comparison and low involvement in appearance. Second, cluster analysis based on socio-cultural attitude produced three customer groups such as high involvement, social concern & satisfaction, and low involvement. Third, customer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me demographics and some items of service dimensions, which resulted in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beauty shop services. A high involvement group was composed of young and unmarried men with more frequent visit to beauty shop service. In general, both the high involvement and the social concern & satisfaction groups showed higher evaluations than the low concern group in some of service items, level of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In conclusion, attitude on their appearance could be useful factors in segmenting men's beauty service market. Levels and types of beauty shop service should be differentiated among consumer markets.

헤어미용업 종사자의 조직커뮤니케이션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개인특성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Relationships between the Hairdressing Business Worker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s on Job Satisfaction)

  • 우미옥;박선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004-1015
    • /
    • 2017
  • 이 연구는 미용실 직원의 개인적 특성과 관련하여 조직 성과로서 직무 만족에 대한 조직 의사 소통의 효과를 결정하려고 연구했다. 실증 분석을 위해 경남의 뷰티 살롱 종사자들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수집 된 자료를 분석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직의 의사 소통은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다른 요인에 비해 의사 소통 능력이 직업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40 세 이상과 고졸 이하와 결혼 한 그룹에서 조직 간 의사 전달이 직업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높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미용 산업에서 직원의 직업 만족도를 높이는 등 비즈니스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는 개인의 특성과 조직 의사 소통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인적 자원 관리가 필수적이다.

Light Emitting Diode 조사가 피부상태 개선에 미치는 효과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Light Emitting Diode Irradiation on Improving Skin Condition)

  • 이정희;하성이;문지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798-1805
    • /
    • 2020
  • 본 연구는 광원 중 낮은 출력의 미용기기용 LED 마스크의 모공, 주름, 피지 등 피부상태변화를 측정·비교하여 피부상태 개선에 대한 구체적인 효과를 수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18명(통제군 4주, 실험군 4주)의 건강한 여성을 대상으로 매주 1회, 8주간 진행하였다. 모공, 주름, 피지의 피부상태 측정결과, LED 조사가 진행될수록 유의적으로 피부상태가 개선됨을 확인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측정 시기별 집단 간 차이에서도 모공, 주름, 피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 p<.05). 이는 미용기기로서의 LED 마스크 개선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학술적 의미에서 연속자료의 마련으로 임상정보와 양적자료로 제시될 수 있음에 의의가 있다. 또한 향 후, 더 많은 피부개선 효과를 입증하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제언하는 바이다.

국내 맞춤형 화장품 온·오 프라인 서비스 분석 (An Analysis of On-Line and Offline Services for Customized Cosmetics in Korea)

  • 김지영;신세영;남현우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60-470
    • /
    • 2022
  • Customized cosmetics are emerging as a consumer product that companies should pay attention to in the beauty industry due to the combination of market trends and institutional introduction of customized cosmetics. In this study, six offline service brands and online service brands currently in Korea were selec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customized cosmetics online and offline services and to derive detailed characteristics, and the cases of each brand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ustomized cosmetics services could be classified online and offline. Second, customized cosmetics brands could be divided into general brand types and brand extension types. Third, skin data measurements could be classified into genetic analysis, big data-based surveys, and device measurements. Fourth, customized cosmetics manufacturing could be classified into a device manufacturing system, a consultant manufacturing system, and an individual production process system. Fifth, customized cosmetics distribution and delivery could be classified into same-day sales, general delivery, and regular delive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have identified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personalized cosmetics on-line and offline systems in recent trends, and it was confirmed that creative attempts in the domestic customized cosmetics market continue to chang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information and ideas to the beauty industry and related experts in the future and be used as basic data for customized cosmetics marketing

청소년을 위한 화장품 및 미용 교육프로그램 만족도 연구 - 광주광역시 '청소년 화장품 안전사용교육'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atisfaction with Cosmetics and Beauty Education Programs for Youth: Focusing on Gwangju Metropolitan City's "Safety Use Education for Youth Cosmetics")

  • 오서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9-109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satisfaction levels of adolescents with beauty programs,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m, and present foundational insights for designing cosmetics and beauty education initiatives tailored to adolescents.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Safety and Use Education for Youth Cosmetics" program implemen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it examined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cluding students, instructors, and school teachers involved in the education. The study was based on action research, a qualitative methodolog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gained knowledge and information encompassing various aspects of cosmetics, such as types, expiration dates and usage span, face wash and skin types, shampooing methods, scalp care, role and significance of sunscreen, skin trouble management, and identification of skin type, through cosmetic education programs. Second, participants learned about techniques such as eyebrow trimming, eyebrow shape correction, facial contour correction, skin blush supplementation, color makeup, personal color, and tattooing. Third,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different educational teaching resources suitable for implementation acros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Fourth,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higher-quality instructors in this digital age. Fifth, it is crucial to explore new methods of delivering beauty education to adolescents. We hope the insights gleaned from this study will serve as useful foundational data, albeit modest, fostering new beauty trends amidst the challenging landscape of youth education.

피부미용 서비스품질이 호혜성지각·장기적 관계지향에 미치는 영향 (An Impact of Skin Care Service Quality on Perceived Reciprocity and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 정인순;황미서;박정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11-419
    • /
    • 2020
  • 피부미용숍의 증가로 차별화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서비스품질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피부미용숍을 이용하는 고객의 서비스품질이 호혜성지각과 장기적 관계지향에 미치는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피부미용숍 운영에 필요한 마케팅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경기도, 전라남·북도, 경상남·북도에 소재한 피부미용숍을 이용한 여성 고객 290명을 대상으로 직접방문 및 E-mail, 우편 등을 이용하여 설문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8.0과 Amos Ver.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가설에 대한 이론적 모형에의 전반적인 적합도는 양호하다는 것이 증명되었고, 가설 1은 관리사 업무능력, 시설 및 위생, 관리제품은 호혜성 지각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적으로 채택되었고, 가설 2는 관리사 업무능력, 관리제품, 기기 및 도구가 장기적 관계지향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으며, 가설 3은 호혜성 지각은 장기적 관계지향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따라서 관리사의 업무능력, 시설 및 위생, 관리제품, 기기 및 도구는 고객에게 고마움을 느끼게 하거나 피부미용숍의 지속적 방문을 유도하기 위한 서비스 품질 요소라 할 수 있다.

피부건강에 대한 인식과 관리에 관한 연구 -피부미용 전공과 비전공 여대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Skin Health Knowledge and Treatment -The case of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 and non-major in skin care-)

  • 최성임;권영낭;이계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2886-2894
    • /
    • 2012
  • 본 연구는 서울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피부미용전공과 비전공 여학생들의 피부건강관리의 관심도와 피부상태, 인식 및 관리 행위의 차이점 및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전공자들과 비전공자들의 대한 비교 분석은 동일한 생활권에서 궁극적으로 전문 학습과 비 전문학습의 일반적인 상태에 대한 지식과 행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전공 여대생이 비전공 여대생에 비해 피부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1). 피부미용 전공 여대생은 복합성 피부, 비전공 여대생은 건성 피부가 많은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피부 관리 실태에서 색조화장 후 전공여부에 따른 이중세안 정도, 각질 정리 횟수, 마사지나 팩 관리횟수, 선크림 사용 항목에서 각각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1, p<.001, p<.01, p<.01). 오백식품 및 인스턴트식품의 영향정도와 수분섭취 항목에서 각각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1).(p<.05). 화장품 사용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효율적인 구매를 하는 경향이었으며, 탁월한 기능이 있을 때는 경제적 부담이 있어도 구입 의향 항목에서 적극적인 성향인 것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001). 본 연구의 결과는 피부미용 산업 및 교육 분야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하였다.

미용전공대학생의 진로성숙도가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eer Matur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on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 최영재;이인희;김윤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068-707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용전공대학생의 학년별 진로성숙도와 진로의사결정유형의 차이를 파악하고 진로성숙도와 진로 의사결정유형의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미용전공대학생의 진로 상담 및 교육 시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침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 지역의 미용관련학과 336명이다. 진로성숙도는 고학년일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진로성숙도가 높을수록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유형에, 진로성숙도가 낮을수록 의존적 진로의사결정과 밀접한 상호관련성을 보였다. 고학년일수록 진로 결정을 위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며 체계적인 단계를 거쳐 논리적으로 결정하는 합리적인 유형을 나타냈고. 저학년일수록 자신의 현재 감정이나 상황에 따라 정서적 자각을 통해 결정 내리는 직관적 유형과 주변인이나 환경의 영향에 따라 결정 내리는 의존적인 유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진로성숙도와 진로의사결정유형은 학년별 차이를 보였으며 또한 두 변인 간의 중요성이 밝혀진 만큼 저학년부터 진로성숙도를 높이고 그에 따라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학년별 체계적인 프로그램과 함께 진로지도가 이루어진다면 학생들이 진로를 결정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계약학과 학생의 장기근속 유도를 위한 방안 (피부미용 전공) (A Study on the Long-term Work Guidance of Contract Students (Skin Care Major))

  • 김윤정;홍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200-211
    • /
    • 2019
  • 본 연구는 피부미용 계약학과 학생의 직무 만족 및 이직 의도에 대한 요인을 분석하고 장기근속을 유도할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피부미용 계약학과 학생 260명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과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약학과 학생들은 인턴십 기간 충분한 실무훈련을 통해 업무에 대한 자신감을 느끼고 본인의 포지션에서 직무수행의 권한위임을 받음으로써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계약학과 학생들에게 직무 향상을 위한 정기적인 기술교육은 직무수행에 대한 자신감과 직업에 대한 확신을 주었고 이는 장기근속을 유도했다. 셋째, 계약학과 학생들에게 계약기간 업무능력에 따라 공정하게 성과급, 포상, 승진 기회 등 보상 제도를 적용해 업무능력 향상의 동기부여를 줌으로써 이직 의도를 줄였다. 이에 본 연구는 피부미용 계약학과 학생들에게 직무수행의 권한 위임, 직무수행에 대한 확신, 그리고 능력에 따른 보상 제도를 적용함으로써 직무 만족 및 이직률 감소와 장기근속까지 끌어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증강현실 기법을 이용한 초음파 미용기의 조사 위치 표시 (Display of Irradiation Location of Ultrasonic Beauty Device Using AR Scheme)

  • 강문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25-3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휴대용 초음파 피부 미용기 사용시 집속 초음파의 조사 위치를 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AR) 기법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주어 안전하게 셀프시술을 하도록 하는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하고 시험을 통해 유용성을 보인다. 사용자가 초음파 미용기로 얼굴 부위를 시술하는 동안에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과 얼굴위의 초음파 조사 위치를 실시간 검지한 후, 얼굴 영상위에 조사 위치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서, 초음파가 동일한 부위에 과도하게 중복되어 조사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ML-Kit를 이용하여 사용자 얼굴의 랜드마크(landmark)들을 실시간 검지하고 얼굴형상 기준 모델과 비교하여 얼굴의 회전과 이동 등의 자세를 추정한다. 미용기의 초음파 조사부위에 LED를 장착하고 조사 중에 작동시킨 후, LED의 불빛의 위치를 탐색하여 스마트폰 화면상의 초음파 조사 위치를 알아내고, 추정된 자세정보를 토대로 얼굴 영상위에 조사 위치를 정합시켜 표시한다. 앱에서 수행되는 각 작업들을 스레드와 타이머를 통해 구현하여 전체 작업이 75ms 이내에서 실행된다. 시험 결과, 120개의 초음파 조사 위치를 정합하고 표시하는 데 걸린 시간은 25ms 이하이고, 얼굴이 크게 회전하지 않는 경우 표시 정확도는 20mm 이내 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