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업성과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23초

직무성과에 대한 인지적 및 비인지적 능력의 영향: 대학생의 학업성과를 중심으로

  • 서윤희;신호철
    • 한국품질경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품질경영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47-447
    • /
    • 2010
  • 조직이나 기업에서 높은 수준의 직무 성과는 뛰어난 지적 능력과 더불어 다른 요소들의 영향에 의해 결정된다고 광범위하게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인사선발시 인지적인 능력뿐만이 아니라 성격과 같은 비인지적 능력을 평가하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즉,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에서 재학 중인 대학생 (n=260) 을 대상으로 하여 인지적 능력은 입학성적으로, 비인적 능력은 Big Five 성격 특성으로, 직무성과는 학업성과(예, 학업평점, 대학 및 학과에 대한 만족도, 동아리 활동, 등) 로 각각 측정하여 이들의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인지적 능력과 더불어 Big Five 성격 특성 중 성실성과 개방성이 다양한 학업성과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추가적으로, 학업성과 중 동아리 활동이 대학생활의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인사선발 과정에서 지원자의 잠재적 직무성과를 예측할 때 지적 능력 같은 인지적 측면뿐만이 아니라 성격과 같은 비인지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PDF

대학생의 지식공유가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knowledge sharing on the educational performance)

  • 최현석;김슬기;하정철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6호
    • /
    • pp.1177-1188
    • /
    • 2013
  • 현대 사회는 지식 사회로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사회 전반에 걸쳐 성장과 발전을 위한 지식공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대학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지식이 창출되는 반면에 몇몇 문제들에 의해 지식공유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지식공유를 통해 학업성과가 영향을 받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K대학생을 대상으로 정보기술의 활용, 학교의 지원, 소통문화가 지식공유의 매개에 의해서 학업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요인간의 상호관련성과 영향의 정도를 확인한 결과, 정보기술의 활용, 학교의 지원, 소통문화는 지식공유의 매개에 의해서 학업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으며 직접적으로도 학업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NCS 기반 교육과 학습동기에 따른 학업성과 결정요인분석 (An Analysis of the Academic Achivement of Study Based on NCS-based Education and Learning Motives)

  • 강미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353-359
    • /
    • 2018
  • 본 연구는 NCS기반 교육 및 학습동기와 학업성과간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정부의 NCS(국가직무능력표준)와 학습모듈 개발 장려에 따른 NCS 기반 교육의 실효성을 진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을 위해 우선, 실무중심 교육이 주를 이루는 항공서비스 분야를 중심으로 관련내용 척도를 개발하였다. 관련학과 학생들을 표본대상으로 검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교수역량, 교육내용, 교육방법 등으로 측정된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교육은 학업성과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를 영향요인으로 한 학습동기는 학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닝 특성이 학습자의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e-learning characteristics on e-learner's scholastic performance)

  • 이헌철;구본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01-209
    • /
    • 2009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교육공학 관점과 정보기술 관점의 통합적 연구모형을 통해 이러닝 특성과 이러닝 학업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시스템 품질, 이러닝 콘텐츠 특성, 상호작용 등을 독립변수로, 이러닝 학업성과를 종속변수로, 학습동기를 매개변수로 설정,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검증해 보았다. 연구를 위해 212명의 사이버 대학 재학생들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이러닝 특성 중 기술적 품질 컨텐츠 품질 학사지원 등이 학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이러닝 특성과 학업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학습 동기는 양자간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근거 향후 이러닝 이용자들의 학업성과 향상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면 이러닝 학습자들의 다양한 수준과 목적을 고려한 강좌 및 강의내용이 적절히 제공되고, 학습자와 이러닝 시스템 간 상호작용을 원활히 할 수 있는 기능이 적극 제공된다면 이러닝의 실질적 유효성을 훨씬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국내 캡스톤 디자인 교육의 학습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Effects of Capstone Design Education in Korea: A meta-analysis)

  • 허미선;이정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31-346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 캡스톤 디자인 교육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평가하여 캡스톤 디자인 수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설계 및 실행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9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캡스톤 디자인 수업 효과 관련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 기준에 부합하는 총 21편의 연구를 선정하고 83건의 효과크기를 토대로 메타분석을 진행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캡스톤 디자인 교육의 학업성과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는 0.96으로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성과 영역별 효과크기 분석 결과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영역 모두에서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효과크기는 정의적·인지적·사회적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성과 변인별 효과크기에서 직업기초능력은 큰 효과크기, 창의성은 중간 효과 크기로 나타났다. 넷째, 캡스톤 디자인의 학습효과는 교과목, 학년, 산업체 협력유무, 수업유형, 팀원 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캡스톤 디자인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교수설계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가치감 수반성과 자존감이 학업 도움 추구 및 은폐에 미치는 영향의 비교: 특성불안을 매개로 (The Comparison of Academic Contingencies of Self-Worth and Self-Esteem on Academic Help-Seeking and Academic Concealment: The Mediating Effects of Trait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 정은선;하정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639-650
    • /
    • 2017
  • 본 연구는 학업적 자기가치감 수반성과 자존감이 학업장면에서 도움추구와 은폐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알아 보고 이 과정에서 특성불안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25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254명의 자료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PASW WIN 18.0을 사용하였으며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업적 자기가치감 수반성은 불안 및 학업도움추구, 은폐와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자존감과는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존감은 학업적 도움추구와는 정적 상관을 보였고 은폐 및 불안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학업적 자기가치감 수반성과 자존감은 불안을 매개로 하여 은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업적 자기가치감 수반성과 자존감이 은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학업적 자기가치감 수반성은 불안을 높임으로써 은폐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자존감은 불안을 낮춤으로써 은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업적 자기가치감 수반성과 자존감이 학업장면에서 도움추구 및 은폐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 이 과정을 불안이 매개한다는 점, 학업적 자기가치감 수반성과 자존감이 불안에 미치는 서로 다른 영향을 경험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학교상담 및 교육장면에서 본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hievement goal directivity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on the level of learning achievement)

  • 이숙정;신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829-83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수업에서 갖는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효율적인 교수-학습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치위생과에 재학 중인 13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평균과 표준편차,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성취목표지향성의 경향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을수록 학업성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동기조절훈련과 멘토링 학습을 통한 불안을 해소하고 적극적인 수업 참여 유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과학영재의 스트레스, 완벽성, 낙관성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ss, perfectionism, optimism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 하종덕;송경애
    • 영재교육연구
    • /
    • 제14권1호
    • /
    • pp.47-64
    • /
    • 2004
  • 본 연구는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스트레스, 완벽성, 낙관성과 학업성취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질문지 조사를 통해 154명의 과학영재 중학생과 145명의 일반 중학생의 스트레스, 완벽성, 낙관성을 비교하고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트레스는 과학영재 집단이 일반 학생에 비해 낮게 나타나 스트레스를 덜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영재 학생은 완벽주의 성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낙관성 역시 과학영재 학생들이 일반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스, 완벽성, 낙관성과 학업성취의 상관관계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업성취에 있어서는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 모두 스트레스, 완벽성, 학업성취는 상호 독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입학사정관제 전형 입학자와 수능중심 전형 입학자간의 학업성취도 비교분석 (Do students selected by specially trained admission officers show better performance in college?)

  • 최석준;김병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220-4227
    • /
    • 2010
  • 최근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여러 가지 논의가 대두되고 있으나, 입학사정관제로 뽑힌 학생들의 대학 입학 후 학업성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이 주제에 대해 서울 시내 한 대학의 협조로 그 대학의 2009년 입학생 데이터를 이용해 입학사정관 입학생과 일반전형 입학생 간의 입학당시 성적과 입학후 1년간의 학업성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해당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두 가지 주안점이 밝혀졌다. 입학당시 입학사정관 전형 입학생은 일반전형 입학생에 비해 뚜렷하게 떨어지는 학업성과를 보였다. 그러나 입학후 1년간의 평균학점 분석에서 두 전형 입학생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학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입학사정관제가 잠재력 있는 학생을 선발하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간호대학생의 통합성과 학업스트레스 (Sense of Coherence and Academic Stress in Nursing Students)

  • 이미현;박미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863-872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통합성과 학업스트레스정도 및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2014년 6월, C지역 일부 간호대학의 2학년이상의 간호대학생 24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한 후 SPSS 18.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통합성은 127.21점, 학업스트레스는 48.90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통합성과 학업스트레스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성별, 학년, 전공만족도, 교우관계, 가족관계, 대학생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통합성과 학업스트레스 간에는 부적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이해가능성, 전공만족도, 교우관계이었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1.3%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간호교수법의 개선과 통합성 강화 프로그램 및 상담지도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으로 학업스트레스를 경감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해나가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