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 능력

Search Result 4,086,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Constructivism Abilities-based Instructional Design Development to Improve Learning Competencies of Underachievers (학습부진학생의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구성주의 능력기반 교수학습설계 모형 개발)

  • Choi, Y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1a
    • /
    • pp.141-14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들의 학습능력 향상을 위해 구성주의 능력기반 교수학습 설계 모형을 제안한다. 구성주의 능력기반 교수학습 설계 모형에서는 과거 내용 전달 위주의 교수설계와는 차별화된 방법을 적용한다. 본 모형에서는 먼저, 학습자들이 갖추어야 할 학습능력을 규명한다. 이후 규명된 학습능력을 일정 기간 이후 평가할 평가 방법을 결정한다. 학습능력과 그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결정한 이후 실제 수업을 진행한다. 본 모형의 주요 특징은 세 가지이다. 첫째, 단순히 내용 전달 위주의 교수설계 방법이 아닌 학습자들에게 실질적인 학습능력을 형성시켜주는 교수학습설계 전략이다. 둘째, 학습자들이 형성해야 할 학습능력을 기초능력과 핵심능력으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제시한다. 셋째, 학습자들의 학습능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방안을 구성주의적 차원에서 제시한다.

  • PDF

Effects of Learning Strategy Game-Based Instruction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학습전략 게임 활용 학습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효과 분석)

  • Kim, Na-Young;Kim, Su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175-178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학습전략 게임 활용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학습전략 게임 활용 학습이 학습자의 학습전략 수준에 따라 자기조절학습능력 신장에 주는 효과성을 검증하여 효과적인 게임 활용 학습 환경 설계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서 103명의 초등학생에게 학습전략의 수준을 측정하고 4주간 10차시에 걸쳐 학습전략 게임 활용학습을 실시한 후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전략 게임 활용 학습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인지조절, 동기조절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습전략 게임 활용 학습은 학습전략 수준별 상, 중, 하 집단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향상 차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중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PDF

The Learning Ability Checking system based on the Capability Maturity Model (능력성숙 모델을 기반으로 한 학습능력 진단 시스템)

  • 방영일;구본경;허용도;김진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714-71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웹상에서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진단하기 위하여 각 단계별로 질문을 제시하고 질문의 응답여부에 따라 자신의 학습 능력을 평가받고 향후 자신의 능력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는 학습능력 진단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에서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능력성숙 모델(CMM)을 기반으로 질문 리스트를 구성하였으며 다양한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전단할 수 있도록 학습자의 직업에 따라 별도의 질문 리스트를 준비하였고 질문 리스트와 메시지 및 가산점을 조정한다면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Design of a PREP-based Mobile System for Improving Reading Skills of Learning Disabled Children (학습장애아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PREP 기반의 모바일 시스템 설계)

  • Lee, Deuk-Ye;Jun, Woo-Ch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101-107
    • /
    • 2010
  • 컴퓨터와 통신 기술이 발달한 정보화 사회의 현실에서 웹 기반의 프로그램 및 모바일은 중요한 매체로서 자리잡아가고 있다. 읽기는 정보 획득에서 가장 중요한 학습능력이나 학습장애아의 대부분이 읽기능력에서 문제를 가지고 있다. 오늘날 컴퓨터의 발달은 아동의 언어교육 특히 읽기 교육을 위해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 자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모바일 활용 학습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학습장애아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PREP 기반의 모바일 시스템을 설계하는 데 있다. 본 시스템을 통해 첫째, 학습장애아들의 읽기 능력 프로그램이 특수교사, 일반교사, 학생과 상호협력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장애아의 읽기 능력에 대한 진전도를 점검하고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개별적 수준에 따라 수준별 학습을 제공하여 다양한 학생의 개별적 수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학습장애아동의 읽기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셋째, 모바일 기기를 통해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벗어남으로써 기존의 PREP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보다 효과적으로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Influence of learning motivation, communication skill, academic self-efficac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간호학생의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Oh, Hyo-S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8
    • /
    • pp.311-321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learning motivation, communication skill, academic self-efficacy which influenc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A total of 194 second year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nursing department in Gwangju.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self-administrated from November 2 to 30, 2015.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personality disposition, applied motivation, satisfaction on major, satisfaction of campus life, and school grade.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earning motivation, communication skill, academic self-efficacy, satisfaction on major and school grade were significant factor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xplaining 53.1% of the variables. In conclusion, to enhanc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 and curriculum for increasing learning motivation, communication skill,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Information Processing and Basic Learning Abilities (유아의 정보처리능력과 기초학습능력 간 관계)

  • Kim, Nam Hee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9 no.2
    • /
    • pp.173-18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and basic learning abilities. To collect the data, two tests were given to 99 children. The Korean K-ABC(Moon & Byun, 1997) and Pictorial Basic Learning Abilities for Children(Kim, 2011) were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information processing and basic learning abil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formation processing(sequential processing, simultaneous processing) and basic learning abilities including reading, writing, and basic mathematic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ignificantly affected basic learning abilities. Namely, simultaneous processing explained 22% of basic learning abilities and by adding sequential processing, the explanation was increased to 25%.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various implications about children's basic learning abilities. These implications will help teachers and parents to understand their children's learning.

Exploring Influential on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온라인 학습자들의 학습성취, 학습만족에 미치는 요인)

  • Shim, Sun-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47-24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학습자들의 학습효과를 높힐 수 있는 교수 학습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학습자들의 학습성취와 학습만족에 미치는 학습자 개인요인- 건강, 가족지원 정도, 컴퓨터 능력, 취업여부, 자기조절학습능력- 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재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총 226개 설문지를 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성취에는 학습자 개인의 건강,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고, 학습만족에는 가족들의 지원 정도와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영향을 나타냈다.

  • PDF

A Study on the Self-Regulating Learning Ability of General English and Spanish Learners in the Flipped Learning Strategy (거꾸로 학습 전략에 있어서 교양영어와 교양스페인어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능력에 관한 연구)

  • Shin, Myeong-Hee;Kang, Pil Woo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4
    • /
    • pp.73-8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flipped learning strategy affects learners' self-regulating ability in both general English and Spanish, based on the study hypothesis that self-regulating learning ability of general English learners will make a meaningful difference in comparison to that of traditional learning. The study was also focused on how flipped learning was related to learners' self-regulating ability. From September 10, 2018 to December 10, 2018, a total of 81 students in general English and Spanish were surveyed in which three sub areas of self-regulating learning (cognitive, motivational, and behavioral control) were considered, and which were divided into six sub-domains, a total of 65 items were composed. Although not very significant results were shown in the case of motivational control, both English and Spanish class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and behavioral self-regulating learning abilities.

A Study on Self-Directed Learning Contents and Examinations Assessment Methods by Using Membership Function and Fuzzy Logic (소속 함수와 퍼지 논리를 이용한 자기 주도적 학습 내용과 시험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정회인;강인주;노영욱;김광백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d
    • /
    • pp.741-746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 능력을 조절하고 학습 내용과 시험 평가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있는 자기 주도적 학습 내용 및 시험 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자기 주도적 학습 내용 및 시험평가 방법은 삼각형 타입의 소속 함수와 퍼지 논리를 이용하여 학습 능력과 시험 능력의 소속도를 계산하고 각각에 대해 퍼지 등급도를 부여하였다. 학습 능력의 소속도와 시험 능력의 소속도에 대해서 퍼지 관계의 연산 및 합성에 의해 최종 소속도를 계산하고 퍼지 등급도를 결정하여 학습자가 학습 능력의 소속도와 시험 능력의 소속도 및 최종 퍼지 등급도를 분석하여 스스로 학습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연구 내용을 정보 검색사 필기 과목에 적용하여 구현하였다.

  • PDF

Multi-stage Learning Evaluation System Based on Fuzzy Inference (퍼지 추론에 기반 한 다-단계 학습평가 시스템)

  • Kim, Jong-Uk;Son, Chang-Sik;Jeong, Go-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11a
    • /
    • pp.235-238
    • /
    • 2006
  • 기존의 학습평가 시스템은 학습자의 학습 수행능력을 판정하기 위한 진단평가와 학습능력의 향상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형성평가를 독립적으로 수행하여 평가하기 때문에 학습 수행능력을 보다 명확하게 처리하기 곤란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수행 능력을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진단평가와 형성평가를 통합평가할 수 있는 다-단계 학습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진단평가와 형성평가의 수준 정도를 반영하기 위해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학습능력을 평가하였다. 또한 각 평가단계에서 퍼지추론을 통해 획득한 비퍼지화된 실수 구간을 최종평가에 적용함으로써 학습자의 수행능력과 능력 향상을 보다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