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자 참여

Search Result 1,351,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Examination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Students' e-learning Participation that Have an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in e-learning Environment of Cyber University (사이버대학 e-러닝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참여 변인 규명)

  • Kang, Min-Seok;Kim, Jin-Il;Park, Inn-Woo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0 no.5
    • /
    • pp.135-14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students' e-learning participation that have an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in e-learning environment of cyber universities. Based on the related research, the followings are derive. First, students' attendance and participation in discussion showed higher correlation with the learning achievement than other participation variables. However, the total studying time in online classes showed lower correlation with the learning achievement. Second, the variables that have an effect on the learning achievement were in the order of students' attendance, participation in discussion, access frequency to online classes, learning progress and number of data uploads. Third, by the learners' background, the difference among the variables that have an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were found.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suggests considerations about participation variables to enhance the learning achievement in cyber universities.

  • PDF

A Case Study of Programming Languages Education using Learning Community (학습 공동체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 사례 연구)

  • Kim, Kyong-Ah;Ahn, You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333-334
    • /
    • 2013
  •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은 컴퓨터 분야의 필수 과목으로 교육되고 있으나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가장 어려운 과목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명지전문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튜터링 제도를 프로그래밍 언어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공동체(피어 튜터링)를 활용한 학습 지원 프로그램을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에 적용한 사례를 제시하고 학습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학습 공동체 프로그램의 참여는 자발적으로 이루어졌으며. 활용 결과 학습자들의 성적이 단기간의 프로그램 참여로 많이 향상되지는 않았지만 튜터와 튜티 모두 프로그래밍 과목에 대한 흥미가 유발되고, 수업 참여도가 높아졌으며, 참여하지 않은 그룹과 비교하여 탈락자 감소에는 도움이 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 Analysis of Preferred Learning Methods to Encourage Participation of Programming Learners (프로그래밍 학습자들의 학습 참여 활성화를 위한 선호 학습 유형 분석)

  • Ahn, You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439-44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래밍 학습의 예 복습과 교수자의 학습 지원 등에 대한 생각을 먼저 설문으로 조사하고 그 결과에 따라 교수자가 수업 내외에서 학습자들이 다양한 학습 활동들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학기말에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제공된 학습 방법들 중에 어떤 방법을 선호하는지를 설문조사하여 분석해보았다.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에는 학생들이 선호하는 학습 방법을 파악하고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의욕을 향상시켜 보다 적극적인 학습 참여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n Analysis of Programming Learning Efficiency for High-Leveled learners based on Types of Learning Communities (학습 공동체의 유형에 따른 상위 수준 학습자들의 프로그래밍 학습 효과 분석)

  • Ahn, You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1a
    • /
    • pp.259-26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1년 과정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 참여한 상위 수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맞춤형 학습을 위한 다양한 학습공동체를 운영하였을때 어떤 유형이 상위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동일한 상위 학습자가 튜터로 참여했을 때와 그렇지 않았을 때 성적 변화가 눈에 띄게 나타났으며 이것은 가르치는 활동이 본인의 학습 이해도를 높이는데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 PDF

The Effect of Logistics Education Using Metaverse on Learning Particip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메타버스 활용 물류 교육이 학습 참여와 학습 만족에 미치는 영향)

  • Cho, Sang-Lee;Shin, Hak-Sung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9 no.3
    • /
    • pp.61-73
    • /
    • 2023
  • When conducting metaverse-based logistics education, educational, entertainment, and sense of reality were presented as preceding factors as factors that content should have, and the effect on learner satisfaction by mediating learner participation was verified.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entertainment, and presence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that can improve learners' participation. Since it is a content provided as part of university education, it can be expected that the educational value will be the highest, but entertainment has been identified 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herefore, in order for metaverse-based logistics education to induce learners' participation, it is necessary to plan contents that students can enjoy and enjoy. Second, it was found that learner particip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Although it is a virtual world, if it is real and you can interact with other learners, you will be satisfied with your lear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tents that can induce learners' participation in order to continuously provide learning satisfaction when providing metaverse-based logistics educati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for Problem Based Learning (문제중심학습을 위한 지능형 교수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Jeong, Un-Sun;Choi, Yo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808-810
    • /
    • 2005
  • 문제중심학습은 학습자 스스로의 통제에 의한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이 특징이므로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학습과점에 적절한 전략이 필요하다. 본 논문의 학습내용은 논리식 간략화이며,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를 위하여 논리식 간략화 과정과 결과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지능형교수시스템(Intelligent Tutoring Systems)을 구현한다. 피드백에 관련된 알고리즘을 지능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논리식 간략화 알고리즘은 Tabulation Method를 이용한다. 본 논문의 지능형교수시스템(ITS)을 학습에 적용하면 논리식의 간략화 과정식과 결과 식에 대한 정오 판정은 물론 학습 활동에 맞아 떨어지는 즉각적인 피드백이 제공되므로 학습자 스스로 학습내용에 대한 인지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학습 활동에 꼭 필요한 피드백을 제공하므로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고 지속화하여 적극적이 학습참여와 완전학습이 가능하다.

  • PDF

Exploring the Motivational Factors Influencing on Learner Participation of Adult Learners in e-Learning (성인학습자의 이러닝 학습참여에 대한 학습동기 요인 연구)

  • JungHyun Park;Ji Su Park;Jin Gon Shon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13 no.1
    • /
    • pp.28-34
    • /
    • 2024
  • Since e-learning is conducted based on the learner's autonomy, motivation to continuously participate is crucial for success in e-learning. As the number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increases, it is necessary to study learner participation and the motivating factors. Drawing upon the Expectancy-Value Theory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motivational factors (value, costs, cognitive regulation, and scheduling) on learner participation. An e-learning program was implemented on MoodleCloud, and learners completed a survey before going through the program.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urvey response data along with the participation score, calculated using the log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value and scheduling significantly influenced learner participation, with gender differences found in value. This means that as adult learners perceive higher value in the e-learning program and possess better scheduling skills, they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These findings can be utilized in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both learners and instructors, ultimately helping to prevent dropout in e-learning.

Learner Centered, Web-Based Integrated Virtual Education System: CyberClass (학습자 중심의 웹 기반 통합 가상교육시스템의 개발)

  • 문석원;박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297-30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월드와이드웹에 기반한 학습자 중심의 통합 가상교육시스템 CyberClass를 설계하고 구현한 방법을 소개한다. 기존의 가상교육시스템은 학습자 중심의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적당한 상호작용 모델을 제시하지 않고 기능면에서의 사용도구 및 방법만을 제시함으로써 각 기능들이 자연스럽게 통합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전통적인 교육 방식인 강의실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이 가지는 현장감이나 친밀감에서 오는 커다란 교육적 이득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가상교육시스템 CyberClass는 학습자 중심의 상호작용유형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호작용모델을 제시한다. 그리고 제시된 모델에 기반하여 학습자와 교수, 학습자와 학습자 나아가 학습자와 가상교육시스템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따라서 학습자의 상호작용 모델에 기반함으로써 학습 참여도나 학습 능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CyberClass는 학습자 중심의 상호작용을 위해 비동기공유 기공과 동기고유 기능을 모두 지원한다. 이들의 공유 기능들은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직관적인 학습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에게 기능의 다양성에 따른 학습의 부담을 줄이고 자연스런 학습과정이 유도되도록 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to the Discussion Satisfaction Levels and Mode of Participation Message in the Non-Real-Time Online Discussion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토론 만족도와 참여 메시지 유형에 미치는 효과)

  • Kim, Tae-Woong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2 no.4
    • /
    • pp.150-158
    • /
    • 2009
  • This study deals with the effect of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in the non-real-time online discuss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suggeste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should be utilized in order to enhance the cognitive dimension participation and discussion satisfaction quality of non-real-time online discussion.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Learning Participation and Presence according to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lipped Learning-based Non-Face-To-Face Classes (플립러닝 기반 비대면 수업에서 학업성취도에 따른 학습참여 및 실재감 차이 분석)

  • Kim, Kyong-Ah;Kim, Ji Sim;Ahn, You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139-140
    • /
    • 2022
  • 코로나 팬더믹의 장기화에 따른 비대면 환경에서 대면 수업의 실재감을 제공하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 수업 현장에서는 대면수업과 다른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준과 특성에 맞는 수업 설계의 필요성 또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플립러닝을 기반으로 한 비대면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업성취도에 따른 학습 참여 수준과 실재감의 차이를 분석하여, 맞춤형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강의 동영상 수업과 상호작용을 포함한 플립러닝 기반 실시간 수업을 혼합하여 수업한 후 설문을 통해 학업성취도에 따른 학습자들의 학습 참여 수준, 교수 실재감과 학습 실재감을 조사한 결과, 학업성취도 가장 높은 학습자일수록 학습 참여도 높고, 다음 수준의 학습자들이 교수 실재감과 학습 실재감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학업성취도에 기반하여 학습자별 맞춤형 교수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