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민지.박만수(2022). 메타버스 이용자들의 인지된 친밀감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PR실학회 상반기 정기학술대회, 11-18.
- 강영문(2017), 제4차 산업혁명과 물류교육에 관한 연구, 물류학회지, 제27집 제2호, 1-8.
- 구동모(2017), 연구방법론, 창명.
- 김경화 (2013). 학습공동체 참여 대학생의 집단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20집 제12호, 315-335.
- 김상균.신병호(2021). 메타버스 새로운 기회, 베가북스.
- 김상조(2013), 이러닝 수강의도와 선행요인간 관계에서 사용자-구매자 차이, 경영과 정보연구, 제32집 제3호, 173-188.
- 김선정.금동훈(2023), 메타버스 기반 스포츠 모바일게임 체험교육이 중학생의 소비 컨텐츠에 미치는 영향: 상호작용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연구, 제4호, 77-96. https://doi.org/10.18612/CNUJES.2022.43.4.77
- 김영목, 문복현(2023),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평생교육의 학습 실재감이 몰입감, 흥미,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집 제1호, 461-474. https://doi.org/10.22251/jlcci.2023.23.1.461
- 김영민.강효원(2017), Online과 Offline 방식의 물류교육 서비스품질에 관한 비교 연구, 국제상학, 제32집 제3호, 25-41. https://doi.org/10.33932/rir.41.3.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1). 보도자료 확장가상세계(메타버스). 민간이 앞장선다! 2021.5.18.
- 박수경.박지혜.차태훈(2007). 체험요소 (4Es) 가 체험즐거움, 만족도,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Pine과 Gilmore 의 체험경제이론(Experience Economy)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제7집 제6호, 55-78.
- 물류신문(2016.08.03.). 국토교통부 2016-2025 국가물류 기본계획.
- 양경화(2021). 교육동향 분석, 교육연구사.
- 이영환(2019). 교양교육을 위한 대학의 핵심역량 개발 과정 연구: S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제13집 제1호, 181-198.
- 이은주.박인우(2012).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 만족도에 대한 컴퓨터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 학습자 참여의 예측관계 분석. 열린교육연구, 제20집 제3호, 195-219.
- 이승환.한상열(2021). 메타버스 비긴즈(BEGINS). 5대 이슈와 전망. 소트프웨어정책연구소
- 이정은.이은진(2010), 대학 이러닝에서 시스템, 정보 및 서비스 품질이 학습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교육과학연구, 제41집 제3호, 119-147.
- 이종만, 강환수, 박종학(2009), 이러닝에서의 재이용의향 결정요인-태도와 몰입의 통합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9집 제3호, 472-479.
- 임종민.조진호(2022), 농업계열 고등학교 플립러닝 수업의 학습동기와 학습실재감이 수업흥미도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제34집 제2호, 302-311. https://doi.org/10.13000/JFMSE.2022.4.34.2.302
- 윤중환.정병규(2022), 도시농업 참여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Pine II and Gilmore 이론과 Schmitt 이론의 결합을 중심으로, 벤처혁신연구, 제5집 제3호, 81-98. https://doi.org/10.22788/5.3.6
- 전광호(2016), 이러닝콘텐츠 품질이 학습자 만족에 미치는 차별적인 영향력, 상품학연구, 제34집 제4호, 137-149. https://doi.org/10.36345/KACST.2016.34.4.014
- 정연지(2017). MOOC 학습참여 및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교수자, 학습지원환경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유선.임태형.류지헌 (2021). 메타버스를 활용한 대학생 온라인 수업에서 공간이동 수준이 학습실재감과 흥미발달에 미치는 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7집 제3호, 1167-1188.
- 정현재(2022), 대학의 전공역량에 대한 산업체 수요조사 연구; 국제물류 전공을 중심으로, 해운물류연구, 제38호 제2집, 269-286.
- 주성완.임채완(2019). 기업홍보전시관의 온라인전시체험이 체험만족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9집 제11호, 1289-1302. https://doi.org/10.35873/AJMAHS.2019.9.11.114
- 최승식.김형근(2021). 체험경제이론을 적용한 스크린야구장 체험요인이 즐거움, 체험가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5호 제4집, 141-152.
- 한철환(2022), 디지털시대 물류 전문인력 양성방안,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8호 제1집, 15-29.
- Kim, M. J., Lee, C. K., and Preis, M. W.(2020), The impact of innovation and gratification on authentic experience, subjective well-being, and behavioral intention in tourism virtual reality: The moderating role of technology readiness. Telematics and Informatics, 49, 101349.
- Fu, Q., Rodriguez-Ardura, I., Meseguer-Artola, A., and Wu, P.(2022), Self-disclosure during the COVID-19 emergency: Effects of narcissism traits, time perspective, virtual presence, and hedonic gratifica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30, 107154.
- Parasuraman, A., Zeithaml, V. A. and Berry, L. L. (1988), SERVQUAL: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64(1), 12-40.
- Pine, B. J., and Gilmore, J. H.(2013). The experience economy: past, present and future. In Sundbo, J., and Sorensen, F. (Eds.), Handbook on the Experience Economy. Edward Elgar. https://doi.org/10.4337/9781781004227.00007
- Pine, B. J. and Gilmore, J. H.(1999). The experience economy: work is theatre & every business a stage. HarvardBusiness School Press.
- Oliver, R. L.(1997). Satisfaction: A behavioral perspective on the consumer: A behavioral perspective on the consumer. New York: McGraw Hill.
- Seddon, P. B.(1997). A Respecification and Extension of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S Success,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8, 240-253. https://doi.org/10.1287/isre.8.3.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