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자 위주 교육

Search Result 154,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nalysis of Changes of Digital Mind by the Class Type in Basic Software Education for the Students of Humanities (소프트웨어 기초 교육에서 수업 방식에 의한 인문대학생의 디지털 마인드 변화 분석)

  • Seo, Joo-Young;Shin, Seung-Hun;Goo, Eun-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9
    • /
    • pp.55-64
    • /
    • 2017
  • As the importance of software has become more widely recognized, many Korean universities are designating software classes as an essential subject. However, there is a difficulty in achieving the educational goal because the education is done without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non-Major learner.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opinions of the humanities college students who have taken the software basic education course and confirm the changes of the students' digital minds. Based on this, we suggest considerations for the basic software education for non-Majo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pre-admission software education does not contribute much to university education, while students respond positively to the practice-based education using student-oriented project subject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rovide an environment where learners can gradually develop their digital minds by providing students with more software access opportunities based on hands-on practice in basic software education for non-Majors.

Development of the Algorithm Teaching Program for Creative Thinking Exten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의 창의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알고리즘 학습 프로그램 개발)

  • Kim, Hyang-Hee;Kim, Jong-Hoo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295-299
    • /
    • 2010
  • 빠르게 변화하는 지식정보화사회에서 창의적인 사고력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는 일은 우리 교육의 핵심과제라 할 수 있다. 특히 컴퓨터 지도 영역 중 알고리즘은 프로그래밍의 근간이 되며 창의적인 문제해결력과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역으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이에 현행 학교 컴퓨터 교육도 응용프로그램 활용이나 기능 습득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컴퓨터 원리, 알고리즘, 프로그래밍과 같은 컴퓨터 자체에 대한 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문제해결력 및 창의적인 사고력을 신장시켜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에게 적합한 알고리즘 학습내용을 선정하여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통한 학습이 창의적 사고력 신장에 어떠한 영향을 효과를 미치는 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 PDF

Study about Multimedia Education for Young Children's Teacher by using Flipped Learning (유아교사 대상 플립러닝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교육에 관한 연구)

  • Ha, Y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207-20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치원 교사들이 멀티미디어를 활용하는데 있어서 학습 능력 향상 및 소프트웨어 활용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플립러닝을 진행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최신 멀티미디어의 특성을 잘 활용한 교수자의 강의 보다는 플립러닝을 위한 참여자 위주의 수업을 진행한다. 새롭게 등장하는 멀티미디어 기술을 접해야 하는 과목의 특성과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인재를 양성해야하는 유치원 교사의 역할을 접목하여 미래 사회를 이끄는 유아들에게 효율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에 큰 의의를 둔다. 유치원 교사들은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교수매체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최신 미디어 기술을 수업에 적극 활용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흐름에 맞는 교과과정을 운영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을 양성하는데 있어서 미디어 교육의 중요성을 알리고 이를 교과과정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플립러닝을 활용한 교육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MBL의 활용

  • Choe Seong-Bong;Kim Sang-Dal;Lee Yong-Seop;Lee Sang-Gyu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69-174
    • /
    • 2006
  • 현대 교육은 단순한 암기 위주가 아닌 첨단 컴퓨터를 이용한 실험 실습 위주의 직접 보고 듣고 느끼는 방향으로 진보하고 있다. 실험 실습에 의한 과학교육은 사용자의 탐구능력 향상과 과학적 태도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며 기존의 암기위주나 단순한 수치에 의한 개념 학습을 탈피하여 Data collection 기술과 분석의 활용을 통해 사용자가 과학을 좀 더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을 증진하게 한다. 이를 위한 과학교육의 한 방법으로 MBL(Microcomputer Based Laboratory)은 실험자가 실험실이나 야외에서 각종 기구를 사용해 데이터를 습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컴퓨터 기반 과학 실험 시스템으로서 미국, 영국 등 과학 교육 분야에서 추구하고 있는 세계적인 추세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MBL 시스템의 구성은 센서를 통해 얻어지는 자료를 컴퓨터에 전달하는 매개체인 인터페이스, 과학 실험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직접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인터페이스에 전달하는 센서, 인터페이스에서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컴퓨터 화면에 나타내어 주는 컴퓨터용 전용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MBL을 과학교육에 활용한다면 학생들이 스스로 과학적으로 탐구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The Analysis of Children's Logical Thinking Improvements with Dolittle Programming Learning (Dolittle 프로그래밍 학습을 통한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신장에 관한 분석)

  • Hong, Jae-Un;Lee, Soo-Ju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8a
    • /
    • pp.201-206
    • /
    • 2007
  • 현재 컴퓨터 교육은 흥미와 실용위주의 컴퓨터 활용교육과 컴퓨터 소양교육에 치우쳐 있어 컴퓨터의 작동원리 등의 컴퓨터 과학을 이해하기에는 부족함이 많다. 특히 컴퓨터과학 분야 중 문제해결력, 논리적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래밍 기초 교육은 보다 강조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객체지향형 교육용프로그래밍언어 두리틀을 초등학생들에게 프로그래밍을 지도할 수 있는 최적의 언어로 선정하고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 비교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자기 자신의 학습상황을 감독 관리하는 능력인 메타인지 수준에 따라 학습자를 분류한 후, 두리틀 프로그래밍 학습 후 논리적 사고와 그 하위논리의 효과, 그리고 메타인지 수준에 따른 논리적 사고와 그 하위 논리별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E-Learning Content Search Support System Design for Self-Directed Learning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이러닝 콘텐츠 검색 지원 시스템 설계)

  • Yong, Sung-Jung;Kim, Yu-Doo;Moon, Il-Young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2 no.1
    • /
    • pp.73-83
    • /
    • 2020
  • Recently, the importance of self-directed learning has emerged in the fields of public education, private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education, in which learners can actively cope with knowledge in an infusion-oriented way. However, there are various theoretical knowledge such as concepts and strategies for self-directed learning, but the situation is insufficient for a system where learners can easily receive content in the academic field they want, depending on the actual self-directed learning operation plan or learning area. Therefore, since it is important to provide various learning content in this paper, we utilize text mining techniques to obtain appropriate information and refine and categorize the meaning. On-line, they want to study a system that provides a variety of content in the academic field that learners are trying to acquire.

A Comparative Study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etween the Students of Experiential Entrepreneurship Class and Theory Centered Class (체험형 창업강좌와 이론형 창업강좌 학습자간의 창업동기,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지 비교 연구)

  • Kim, Yong Tae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3 no.4
    • /
    • pp.49-58
    • /
    • 2018
  • In recent years, various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on various types of entrepreneurship and comparative activities according to policy efforts and support such as the activation of a bachelor's degree in the establishment of a university, and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fact that the participation and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students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ntrepreneurial motivatio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the case of experiential entrepreneurship class focusing on the theoretical-oriented general entrepreneurship class, And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data were collected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ut of the motivation factors of entrepreneurs, entrepreneurship education, achievement desire, human network, self - esteem, etc. We can confirm that the motivation of entrepreneurs is recognized more greatly. Second, the entrepreneurship facto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perception between experiential entrepreneurship lecture and theoretical entrepreneurship learner. Third, experiential entrepreneurship learner perceived more willingness to start business than theoretical entrepreneurship learner. Finally, among the entrepreneurship motivation factors, among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chievement desire and entrepreneurship factor, the risk sensitivity affects the entrepreneurial will.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irection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focused on quantitative expansion and the creation of qualitativ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re needed. In the future, it will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experienti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addition, it can contribute to the diffusion of research on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structional Planning in Web-based Tutoring System (Web 기반 지능형 교수시스템에서의 교수계획)

  • 최진우;우종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679-681
    • /
    • 1999
  • 최근 웹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인하여 웹을 교육의 매개체로 활용하려는 노력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웹 기반 교육 시스템들은 대체로 수동적이며, 정적인 하이퍼텍스트 위주이기 때문에, 학습상황을 수시로 점검할 수 있는 상호작용기능이 부족하고, 특정 학습자의 학습결과에 따른 동적인 학습환경의 제시가 어렵다. 일반적으로 웹기반 교육시스템은 다양한 지식계층의 사람들에게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상세한 학습전략이 요구되며, 따라서 최근에는 기존의 지능형 교수시스템(Intelligent Tutoring System: ITS)에서 연구된 풍부한 기술들을 웹 환경에 도입함으로서 보다 지능적이며 적응력 있는 시스템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웹 기반 교육시스템에서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한가지 방안으로 ITS의 동적 교수계획기법을 웹 기반 시스템에 도입한다. 문제영역으로 C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을 선정하여 이를 웹 기반 교수시스템으로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또한 기존 시스템들의 서버 집중형 구조에서 탈피하여 CORBA를 이용한 분산기반구조로 시스템 개발에 접근하였다.

  • PDF

Designing and Evaluating Convergence Education by Applying Crayon Physics to Strength and Motion (크레용 피직스를 힘과 운동에 적용한 융합교육 설계 및 평가)

  • Kim, Mi-yeon;Jeon, Mi-yeon;Kim, Eui-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05a
    • /
    • pp.417-420
    • /
    • 2013
  •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games which arouses interest in learning not only lessens a burden of a learner but also labors for Academic Achievement. and for the sake of enhancing convergence of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as well as raising interest and understanding in science and technology, Steam teaching which is mainly made of research and experimental activities is emphasized on. This paper which makes use of crayon physics has developed Steam program it was mainly applied to science for the first year of junior high school [strength and motion] which for learners of each team is made of four steps eight time in total. At each step learners can understand principle of strength and motion, especially at the step of finding principle of science through games can personally solve the game in cooperation with the leaners of a team and find principle of strength and motion which is to be applied to solving the game. By personally designing and making new games learners can enhance the ability of convergence of thinking. It is expected that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paper can enhance imaginativeness of thinking and interest in science which lead to affirmative changes.

  • PDF

The Effect of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Using Text-base vs Visual-base Programming Language On Robot Programming Learning (텍스트 기반과 비주얼 기반 로봇프로그래밍 교육이 정보과학적 사고 능력에 미치는 영향)

  • Seo, Sung-Won;Nam, Dong-Seok;Lee, Tae-W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457-462
    • /
    • 2010
  • 본 연구는 학습자의 인지발달 단계에 적합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하여 모든 학문의 기초 인지 능력인 학습자의 정보과학적 사고 능력을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실험연구이다. 과중한 인지적 부담, 문법 위주 등 기존 프로그래밍 학습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등장한 교육용 로봇을 이용하여 실생활 문제해결의 정보과학적 사고능력 향상을 위한 텍스트기반 프로그래밍 언어(TPL)와 비주얼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VPL) 중 인문계 고등학생의 인지발달 단계에 적합한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교육용 로봇 및 로봇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해 NXT Robot Educator 교육내용을 분석하고 각 단계에 적절한 실생활 과제를 추출하여 로봇 교육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이 연구는 프로그래밍을 경험이 없는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 집단을 선정하여 TPL과 VPL을 활용한 로봇 프로그래밍 수업을 20차시 실시한 후 두 집단 간의 정보과학적 사고능력 향상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