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Using Text-base vs Visual-base Programming Language On Robot Programming Learning

텍스트 기반과 비주얼 기반 로봇프로그래밍 교육이 정보과학적 사고 능력에 미치는 영향

  • Seo, Sung-Won (Dept. of Computer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Nam, Dong-Seok (Dept. of Computer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Lee, Tae-Wuk (Dept. of Computer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서성원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 교육학과) ;
  • 남동석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 교육학과) ;
  • 이태욱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 교육학과)
  • Published : 2010.07.08

Abstract

본 연구는 학습자의 인지발달 단계에 적합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하여 모든 학문의 기초 인지 능력인 학습자의 정보과학적 사고 능력을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실험연구이다. 과중한 인지적 부담, 문법 위주 등 기존 프로그래밍 학습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등장한 교육용 로봇을 이용하여 실생활 문제해결의 정보과학적 사고능력 향상을 위한 텍스트기반 프로그래밍 언어(TPL)와 비주얼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VPL) 중 인문계 고등학생의 인지발달 단계에 적합한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교육용 로봇 및 로봇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해 NXT Robot Educator 교육내용을 분석하고 각 단계에 적절한 실생활 과제를 추출하여 로봇 교육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이 연구는 프로그래밍을 경험이 없는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 집단을 선정하여 TPL과 VPL을 활용한 로봇 프로그래밍 수업을 20차시 실시한 후 두 집단 간의 정보과학적 사고능력 향상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