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법

Search Result 1,92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Vector Quantization Using Cascaded Cauchy/Kohonen training (Cauchy/Kohonen 순차 결합 학습법을 사용한 벡터양자화)

  • Song, Geun-Bae;Han, Man-Geun;Lee, Haeng-Se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8B no.3
    • /
    • pp.237-242
    • /
    • 2001
  • 고전적인 GLA 알고리즘과 마찬가지로 Kohonen 학습법은 경도 강하법으로 오차함수의 해에 접근해 나간다. 따라서 KLA의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모의 담금질법의 일종인 Cauchy 학습법을 응용을 제안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학습시간이 느리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 이 점을 개선시키기 위해 Cauchy 학습법과 Kohonen 학습법을 순차 결합시킨 또 다른 학습법을 제안한다. 그 결과 코시 학습법과 마찬가지로 국부최적 문제를 극복하면서도 삭습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 PDF

The effect of student-generated questions and online quiz-based learning applied to nursing students; focused on biological nursing science subjects (간호학생에게 적용한 학습자질문중심학습법과 온라인 퀴즈기반학습법의 효과: 기초간호학 교과목을 중심으로)

  • Ryu, Young-Mi;Yang, Young-Mi;Jung, Mira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9
    • /
    • pp.411-421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student-generated questions (SGQ) and online quiz-based learning (OQL) applied to a physiology and a pharmacology course with 173 nursing students in total. The levels of learning motivation of all participants at 15th week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8th week.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 on learning motivation, communication, and critical thinking between SGQ and OQL, and regardless of the order SGQ and OQL were applied. However, the level of learning satisfaction in students taking pharmacology cour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QL than SGQ (t=2.184, p=.003). We suggest that either SGQ or OQL or both SGQ and OQL be used throughout a semester in biological nursing science subjects without changing teaching strategy during a semester.

Proposing a Korean teaching method and evaluation tool using paraphrasing in learning (의역학습법을 사용한 한국어 교수법 및 평가도구 제안)

  • Kwon, Yonghae;Choi, Jungyoon
    •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
    • v.28 no.2
    • /
    • pp.265-289
    • /
    • 2017
  • 외국어를 학습하는 데 있어서 해당 외국어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 평가한다는 것은 상당히 큰 중요성을 가진다. 교실에서 학습자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을 통해 학습자의 언어 능력을 함양하고 평가하기 위해 어떠한 연습문제나 시험 혹은 평가방법을 사용하느냐 하는 것은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왜냐하면, 보통 학습자들은 교수자가 무엇을 가르치고 기대하며 평가하느냐에 따라 자신들의 학습방법을 맞춰 나가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보다 적극적인 학습자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유연성 있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법을 고양시키며 다양한 언어능력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효과적인 외국어 학습법의 하나로 알려진 paraphrasing을 학습에 활용하고자 한다. 특히 paraphrasing은 일상생활 속에서도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글 바꿔 쓰기 혹은 말 바꿔 말하기로 활용되기도 하나, 본 소논문에서는 paraphrasing이 학습을 목적으로 하는 학습현장에서 활용되었다는 것을 감안하여 의역을 통한 학습 혹은 의역학습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실제로 paraphrasing은 언어 및 외국어 학습자들에게 상당히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것에 비해 실제로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사용한 연구들은 거의 찾아 볼 수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의역학습법을 학습현장에서 도입했을 때 경험한 여러 시행착오를 바탕으로 실질적으로 교실에서 사용된 예시들을 소개하고,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수자들과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paraphrasing을 사용한 새로운 한국어 교수방법과 평가 도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paraphrasing이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수자들과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언어학습 도구로서 실질적으로 교육현장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A Study on the Achievement of Tutoring using R (분석도구 R을 활용한 튜터링 성취도 연구)

  • Lee, Hyung-M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249-25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분석도구인 R을 활용하여 튜터링 학습법 참여 학생의 성취도를 검증하였다. 분석도구 R은 대용량 데이터의 고급 분석과 통계 계산을 위한 스크립트 언어로 빅데이터의 자료 분석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대학의 학습 활동 측면에서의 튜터링 학습법은 학습 능력이 우수한 선배 또는 동료인 튜터와 학습 받고자하는 튜티가 1:1 또는 1:N의 관계를 이루고 학습 활동을 진행해 나가는 과정이다. 튜터링 학습법 운영 후 실시하는 참여 학생 만족도 조사 결과에 의하여 튜터링 학습법이 학력 수준 차이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는 정성적인 근거는 있으나 정량적인 분석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튜터링 학습법에 참여한 공학정보학부 튜티들의 성적 결과를 분석도구 R을 활용하여 분석하여 튜터링 학습법이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하였다.

  • PDF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New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Computer Education of Students in Special School (특수학교 학생들의 컴퓨터교육을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법 적용과 평가)

  • Mi, Hong-Sung;Kim, Gui-Jung;Kim, Bong-H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9
    • /
    • pp.469-477
    • /
    • 2010
  • In this study, the new teaching-learning method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suggested and verified its efficiency. For this purpose, the current teaching-learning method will be examined and compared by attending Hangeul class of the computer training courses in the special schools and regular schools. In addition, for evalua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he existing teaching-learning method will be conducted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the special schools and after applying new teaching-learning method, the questionnaire survey will be conducted again. Through the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s, the impact of the new teaching-learning method on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all be analyzed.

Perceptron-like LVQ : Generalization of LVQ (퍼셉트론 형태의 LVQ : LVQ의 일반화)

  • Song, Geun-Bae;Lee, Haing-Sei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38 no.1
    • /
    • pp.1-6
    • /
    • 2001
  • In this paper we reanalyze Kohonen‘s learning vector quantizing (LVQ) Learning rule which is based on Hcbb’s learning rule with a view to a gradient descent method. Kohonen's LVQ can be classified into two algorithms according to 6learning mode: unsupervised LVQ(ULVQ) and supervised LVQ(SLVQ). These two algorithms can be represented as gradient descent methods, if target values of output neurons are generated properly. As a result, we see that the LVQ learning method is a special case of a gradient descent method and also that LVQ is represented by a generalized percetron-like LVQ(PLVQ).

  • PDF

A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utoring Experience and the Achievement in Major Subjects using R (분석도구 R을 활용한 튜터링 학습 경험과 전공교과 성취도 간의 관계 연구)

  • Lee, Hyung-M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354-355
    • /
    • 2017
  • 분석도구 R은 대용량 데이터의 고급 분석과 통계 계산을 위한 스크립트 언어로 빅데이터의 자료 분석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대학의 학습 활동 측면에서의 튜터링 학습법은 학습 능력이 우수한 선배 또는 동료인 튜터와 학습 받고자하는 튜티가 1:1 또는 1:N의 관계를 이루고 학습 활동을 진행해 나가는 과정이다. 지난 연구에서는 튜터링 학습법에 참여한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튜터링 학습법에 참여하지 않은 일반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보다 얼마나 높은지 정량적 값을 도출했었다. 본 연구에서는 튜터링 학습법에 참여했던 학생들의 튜터링 참여 과목 이외 다른 전공과목의 성적 성취도를 분석도구 R을 이용하여 분석해 봄으로써 튜터링 학습법 참여 경험이 튜터링을 실시하지 않은 다른 전공과목의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 PDF

HMM-Based Bandwidth Extension Using Baum-Welch Re-Estimation Algorithm (Baum-Welch 학습법을 이용한 HMM 기반 대역폭 확장법)

  • Song, Geun-Bae;Kim, Austi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6 no.6
    • /
    • pp.259-268
    • /
    • 2007
  • This paper contributes to an improvement of the statistical bandwidth extension(BWE) system based on Hidden Markov Model(HMM). First, the existing HMM training method for BWE, which is suggested originally by Jax, is analyzed in comparison with the general Baum-Welch training method. Next, based on this analysis, a new HMM-based BWE method is suggested which adopts the Baum-Welch re-estimation algorithm instead of the Jax's to train HMM model. Conclusionally speaking, the Baum-Welch re-estimation algorithm is a generalized form of the Jax's training method. It is flexible and adaptive in modeling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 of training data. Therefore, it generates a better model to the training data, which results in an enhanced BWE system. According to experimental results, the new method performs much better than the Jax's BWE systemin all cases. Under the given test conditions, the RMS log spectral distortion(LSD) scores were improved ranged from 0.31dB to 0.8dB, and 0.52dB in average.

Analysis of learning effects of the problem based method and the project team teaching method in engineering education- A case study (공학교육에서 PBL 교수법과 Project-team 교수법의 학습효과 분석-사례연구)

  • Kim, Jae-Saeng;Hyun, Je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71-472
    • /
    • 2019
  • 많은 나양한 교수법들이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공학 교과목에서는 PBL교수법과 프로젝트 팀 교수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18년 2학기 공학 프로그래밍 교과목을 3개를 선정하여 PBL 교수법과 프로젝트팀 교수법을 적용하였고, 두 교수법의 학습만족도, 교육성장도, 학업성취도를 설문조사하여 학습효과를 분석하여 보았다. 그 결과는 저학년은 PBL법이, 고학년은 프로젝트 팀 교수법이 학습효과가 좋았다. 따라서 같은 프로그래밍 교육이지만 학년에 따라 교수법을 달리 선택할 필요가 있다.

  • PDF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perceived usefulness of team project-based learning (팀프로젝트 기반 학습법에 대해 지각된 유용성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대한 연구)

  • Lee, Sungmi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4
    • /
    • pp.411-417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strategies of team project based learning for undergraduate students by exploring the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on satisfaction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utonomy support,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perceived interaction on perceived usefuln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perceived usefulness affects satisfaction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Moreover, the results showed that autonomy support and self-efficacy for group work influence perceived usefuln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perceived usefulness is critical team project-based learning is critical to successful learning. Additionally, autonomy support and self-efficacy for group work enables users to perceive usefulness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