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생 지도

검색결과 7,501건 처리시간 0.033초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간에 과학 실험 목적 인식의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 분석 (An Analysis on the Factors that Causes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on the Perception of the Laboratory Class Aims in Elementary School)

  • 임재근;이소리;김주영;양일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4권2호
    • /
    • pp.359-368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과학 수업 시간에 수행되는 실험 목적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에 대한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10개 학급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 면담으로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의 범주는 크게 실험목적, 실험 목적의 지도 여부, 실험 수업 진행 방법, 평가 방법등 네 가지이다. 교사와 학생간에 실험 목적 인식의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은 교사의 관점에서는 실험 목적에 대한 교사의 미지도, 교사가 의도한 실험 목적과 다르게 운영되는 실험 수업, 실험 목적과 유리되는 평가 방법의 문제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수업에서 교사가 의도한 실험 목적이 고려되어 지도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학생들이 실험 목적을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는 것이다. 교사들은 실험 활동을 통한 과학탐구능력의 향상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지만, 이것이 실험 수업을 통해 학생들에게 실질적으로 전달되지 못하고 있어 학생들이 과학탐구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못하고 있다. 또한 타당한 평가도구나 방법의 부족으로 인하여 교사들은 실험의 중요한 목적인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을 중요한 부분으로 평가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탐구적 실험 중심의 과학-교수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초등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실험의 중요한 목적인 과학탐구능력을 강조하여 명시적으로 지도할 필요가 있다.

  • PDF

초등학교 컴퓨터교육에서 라우팅알고리즘 학습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arnablity of Routing Algorithm in Elementary School Computer Education)

  • 박연;김지나;한병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67-279
    • /
    • 2007
  • 미래의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지닌 인재 양성을 위해,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에게 지도하기 어렵고 학생들이 이해하기 힘든 컴퓨터과학원리 중 라우팅알고리즘에 대한 교수 학습방법을 설계해 이를 지도해 보고 이러한 학습내용이 초등학교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사전 사후 동형 검사지를 통해 지적인 영역을 평가하고, 수업 후의 소감문을 통해 정의적인 영역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네트워크 중 라우팅알고리즘이 초등학생에게 가르쳐질 수 있음을 확인하고 초등학교 컴퓨터교육의 학습요소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 PDF

선행조직자를 활용한 초등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Education Using Advance Organizer)

  • 이다겸;김성원;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5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1호
    • /
    • pp.219-221
    • /
    • 2022
  • 초등학교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교육은 학교급별 특성과 수준을 고려하여 놀이 및 체험 활동 중심으로 계획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 현장의 수요 및 AI 리터러시 연구에서 AI 개념의 지도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초등학생에게 어렵고 생소한 AI 개념을 교육하기 위해 학습자의 발달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 전략이 필요하다. 선행조직자는 개념 지도 시 학습자의 인지적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 중 하나로 이미 초등학생을 위한 인공지능 교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교재 분석 결과 선행조직자는 학생별 경험과 양육환경의 차이로 인해 선행조직자로서 기능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널리 활용될 수 있는 선행조직자를 초등 교육과정에서 추출하여 AI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5~6학년 AI 교육 내용 기준에서 AI 개념 요소를 추출하여 초등학교 1~4학년 교과 교육과정에서 선행조직자를 선정하였고 4차시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효과적인 AI 개념을 학습과 AI 리터러시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초등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수학영재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학습동기 차이 (The Comparison of the Science Gifted and Mathematics Gifted in Attitude Toward Science and Learning Motivations in Sc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병태;고민석;김오범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917-928
    • /
    • 2012
  •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초등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수학영재학생 171명을 대상으로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지와 과학학습동기 검사지를 이용해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학습동기를 조사, 비교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수학영재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는 과학에 대한 가치관, 과학의 사회적 의미,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과학영재학생과 수학영재학생 모두 과학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과학교과에 대한 태도 영역 중 과학교과에 대한 선호를 나타내는 문항에서만 과학영재학생과 수학영재학생에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과학영재학생의 과학교과에 대한 선호도가 수학영재학생의 과학교과에 대한 선호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수학영재학생의 과학학습동기는 주의력, 자신감, 만족감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과학영재학생과 수학영재학생 모두 높은 동기 수준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과학학습동기 영역 중 관련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는 초등 과학영재학생들이 수학영재학생들보다 과학학습을 실제 삶과 더 관련지어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초등학생의 상담 실태와 상담요구 및 고민문제 탐색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Elementary Students' Counseling Services and Needs for Counseling & Their Troubles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s in Jeollabukdo)

  • 김영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3915-3923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의 상담 실태를 조사하고 상담에 대한 요구와 고민의 정도를 분석하여 초등학교에서의 바람직한 상담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초등학교 학생 476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실태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학생들은 상담안내, 상담경험 및 상담교사와 상담실이 부족하며, 담임교사가 상담이 필요하다고 생각될 때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이 끝난 후를 이용해 개인 상담을 원하며, 자신의 문제를 잘 들어주고 이해해주는 여자 상담선생님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들은 고민의 정도가 6학년 여학생, 형제가 있는 학생, 아버지만 계시는 학생, 하위권 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생의 고민문제의 각 영역들 간에 정적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로 볼 때, 초등학생들에게 실제적인 학교상담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행정적 제도적인 내용을 재검토해 볼 필요가 있으며, 학생 스스로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상담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공계 학사경고 대학생과 일반 대학생의 동기 및 학습전략 차이 분석 (Analyze the Affective and Learning Strategy Difference of Engineering Students under Academic Probation and other College Students)

  • 김옥분;조영복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5-3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과대학 재학 중 학사경고를 받은 학생 그리고 학사경고를 경험하지 않은 일반 학생의 동기와 학습전략의 차이를 살펴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A대학 공과대학 학생으로 이들은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학습전략 검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총 553명이며 이 가운데 학사경고 학생은 22명, 일반학생은 531명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표준화된 검사인 한국 가이던스의 MLST(Multi-dimensional Learning Strategy test) 학습전략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학사경고를 받은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 두 집단 간 동기와 학습전략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사경고를 받은 학생의 경쟁 동기 점수가 일반 학생들 보다 낮았으며 학사경고 학생들의 시간 관리와 노트필기 요인의 점수가 일반 대학생 보다 낮았다.

초등학교 5학년 수학 영재 학생의 확산적 산출물의 분석 및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zing and Assessing the Divergent Products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5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 임문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1-194
    • /
    • 2006
  • 보다 효과적인 초등 수학 영재교육을 위해서는 이에 관한 실제적인 학습 지도에 관한 다양한 연구의 집적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초등 수학 영재교육을 위한 다양하고 확산적인 사고활동을 통해 창조성 육성의 학습 지도에 초점을 두었다. 초등학교 5학년 수학 영재 학생들에게 <다양한 계산식 만들기>와 <두 수 사이의 관련성 찾기>를 적용하여, 학생들의 산출물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평가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수학 영재 학생들은 다양하고 많은 계산식을 만들었으며, 두 수 사이의 관련성 또한 다량으로 발견하였다. 이러한 실천적인 연구의 집적을 통하여, 초등학교 수학 영재 학생들의 학습 지도와 평가 방법 및 교재 개발 등 영재교육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E-catalog를 활용한 학습효과 제고를 위한 시스템 구현 (The System Implementation for a Learning Effect Improvement using an E-catalog)

  • 함호종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33-241
    • /
    • 2008
  • 학습자의 수준을 적은 시간에 크게 높일 수 있는 방법은 강의 내용을 학습자 수준에 맞도록 스스로 조절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전문대학과 같은 수업 환경은 한 과에 수 개의 반과 각 반에 해당하는 교수와 많은 학생들이 수업을 수강하게 되며 학생들의 수준과 욕구도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에 따른 각 교수들의 강의 내용을 해당 반 학생들 이외의 같은 과목을 수강하는 다른 반 학생들에게 다른 반 교수들의 강의한 학생들의 첨삭지도내용을 볼 수 있다면 학생들이 타 학습자의 내용과 수준을 활용한다면 학업 성취도는 향상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시스템을 만들었다. 또한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유 무선에서 첨삭지도 내용과 결과를 볼 수 있도록 했으며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는 방법의 하나로 e-catalog 개념을 활용하였다.

  • PDF

디지털 멀티모달 스토리텔링: 학습자 인식에 대한 이해 (Digital Multimodal Storytelling: Understanding Learner Perceptions)

  • 정선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74-184
    • /
    • 2021
  • 본 연구는 다중양식의 대학 전공수업에의 적용 가능 여부와, 학생들의 다중양식 과업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를 위해 28명의 영어를 전공하는 학생들이 전공수업의 일환으로 디지털 스토리텔링 과제를 수행하였다.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설문지와 성찰지를 분석해 본 결과, 디지털 스토리텔링 과제가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와 동기부여를 제공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디지털 스토리텔링 과제는 학생들에게 더 많은 정신적 노력을 요구하고 더 많은 긴장을 초래한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기술을 공부하게 하고 학습 과정 중에 다중양식 측면을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고 유의미하고 재미있는 결과를 가져오는 자기주도 학습을 유도할 수 있다.

초등학교 2, 3학년 학생들의 패턴에 대한 이해 실태 조사 (An Analysis of Second and Third Graders' Understanding of Patterns)

  • 방정숙;김리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4호
    • /
    • pp.697-715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2학년과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패턴에 대한 이해 실태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0개 학교에서 학년별 12학급을 선정하여 2학년 216명과 3학년 223명을 대상으로 46개 문항으로 구성된 검사지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2, 3학년 학생들의 패턴에 대한 이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예외적으로 패턴의 구조를 파악하기 문항 중 8개의 항에서는 2학년, 2개의 문항에서는 3학년 학생들의 정답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2, 3학년 학생들이 전반적으로 어려움을 보인 문항의 내용은 하나의 패턴에서 다양한 구성 요소를 탐색하기, 패턴 간 구조를 비교하기, 열린 패턴의 특정한 항을 추측하기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2, 3학년 학생들의 패턴에 대한 이해 실태와 추가적인 지도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