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생활동

검색결과 3,411건 처리시간 0.045초

미술작품을 통한 미술교육: 수학 원리를 중심으로 (Art Education through Artwork: Focusing on the Mathematical Principle)

  • 정경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447-457
    • /
    • 2010
  • 미술작품이나 건축물에 수학 원리가 내재해 있다. 중등학교 학생들이 미술작품에서 이러한 원리를 찾는 일은 중요하다. 하지만, 미술작품이나 건축물에 내재한 수학 원리를 찾는 것 자체만의 학생 활동은 미술교육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미술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미적 체험과 작품 감상을 통하여 학생들 스스로 미술작품에서 수학 원리를 찾고, 이 원리를 응용한 새로운 작품을 구성하고, 감상하고, 표현하는 활동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수학 원리가 내재한 몇 몇 미술작품이나 건축물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학생 스스로 미술작품에서 수학 원리를 찾고, 이 원리를 이용하여 새로운 작품 구성 활동 능력을 기대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델을 구성하였다. 또한, 수학 원리가 내재한 Escher의 작품을 예로 들어 프로그램에서의 교사활동과 학생활동을 가상적으로 구성하였다.

모델링 활동에 대한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식 (Perception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on Modeling Activity)

  • 하지희;이화종;강성주
    • 영재교육연구
    • /
    • 제19권1호
    • /
    • pp.187-205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자의 사고과정을 반영한 모델링 탐구를 적용한 후 모델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기체의 확산, 이온의 전도도, 이온의 이동에 대한 모델링 모듈을 과학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모델링 모듈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터뷰, 실험보고서, 대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모델링 탐구가 과학자의 연구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활동이며, 모델링 탐구는 '생각의 근육'을 키우는 활동, '새로운 시각'과 '다양한 표현'이 필요한 활동, '실험 디자인' 과정이 포함된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앞으로 다양한 모델링 모듈의 개발이 필요하다.

고등학교 도서반 학생들의 활동에 관한 연구 : - S고등학교와 K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Study on Activity of Student Assistants in a High School Library : focusing on case study of S High School and K High School)

  • 조미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05-331
    • /
    • 2013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에서 고등학교 도서반 활동과 도서반 활동의 서비스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사립인 S고등학교와 공립인 K고등학교 도서관을 방문하여 도서반의 신입회원 선발, 도서반 조직 운영, 활동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면담법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4개 고등학교 도서반 학생 77명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에서의 봉사활동과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학교도서관을 이용하는 일반 학생 386명을 대상으로 도서반 학생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인식에 관해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도서반 학생들의 학교도서관 봉사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 학생들의 도서반 학생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 조작.실험을 통한 탐구활동이 평면도형의 성질 이해 및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quiring Activities through Manipulative Materials-Experiment on Geometrical Properties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 임근광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701-722
    • /
    • 2010
  • 기하를 학습하기 위해 학생들은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대상과 다른 구체적 자료를 사용해서 조사하고, 실험하고, 탐구해 보아야 한다. 구체적 조작활동은 수학적 모델링을 하는 과정에서 수학적 개념이나 절차를 이해하게 하고 이것을 기호로 나타내 주는 것을 도와주고 컴퓨터를 활용한 실험활동은 추상적인 학습내용을 시각화하여 직관적, 탐구적 활동에 초점을 둘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체물과 탐구형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구체적 조작 실험 활동을 할 수 있는 활동지를 개발하여 평면도형의 성질을 탐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구체적 조작 실험의 수업은 중위 수준과 하위 수준의 학생들에게 평면도형의 성질 이해하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상위수준 및 하위수준의 학생들에게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조작 실험 활동을 할 때 활동에 필요한 자료의 특성을 먼저 파악해야 하며 학생들에게 활동을 선택하게 할 때 교사의 치밀한 계획과 관찰이 요구된다. 또한 조작활동 후 수학적 의미를 연결짓기 위한 토론 활동이 요구된다.

  • PDF

논의기반 탐구에서 협상이 중학생들의 주장-증거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egotiation in Argument-Based Inquiry on Middle School Students’ Claim and Evidence)

  • 장경화;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39-47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논의기반 탐구 활동에서 협상이 중학생의 주장과 증거 생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논의기반 탐구 활동에서 학생들이 작성한 주장과 증거의 수준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남녀공학 중학교 1학년 4개 학급 학생(126명)을 대상으로 1년에 걸쳐 5개의 활동을 적용하였다. 활동을 분석하기 위한 평가틀을 개발하여 주장과 증거를 분석하였으며 주장과 증거의 생성 과정을 알아보고자 활동 후에 학생 인터뷰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논의기반 탐구 활동에서 학생들이 제시한 주장과 증거는 개별 활동에서 조 활동으로 진행됨에 따라 주장과 증거의 수준이 높아졌고, 활동이 거듭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는 논의기반 탐구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이 내적 및 외적 협상을 경험하면서 수준 높은 주장 및 증거를 형성하게 된 것임을 보여준다.

초등학생의 e-NIE 활동이 ICT 소양능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an e-NIE Activity on the ICT Competence of the Elementary Students)

  • 방주혜;이용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83-19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ICT 능력이 중요시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웹 신문을 활용한 교육(e-NIE) 활동을 수행했을 때 특히 초등학생들의 ICT 소양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객관적인 평가를 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우선 ICT 소양교육 5개영역을 반영한 e-NIE 사이트를 구축하여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e-NIE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으며, 두번째 e-NIE 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ICT 소양능력 평가지를 제작하여 e-NIE 활동 전과 후에 평가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평가 결과는 초등학생들의 e-NIE 활동이 ICT 소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수학동화 쓰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 특성 분석 (An Analysis on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in Mathematical Fairy Tale Writing Activities)

  • 설정현;백석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7-160
    • /
    • 2007
  • 최근 수학교육에서는 수학 쓰기 활동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동화'라는 쓰기 활동을 새롭게 구안하여 학생들에게 적용해 보고, 이를 통해 나타나는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을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수학동화 쓰기 활동을 하면서 많은 학생들이 이미 학습한 수학적 지식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통해 학습한 수학 내용을 재구성하고 응용하였다. 또한, 수학동화 쓰기 활동을 하는 동안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 활동이 매우 활발해졌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학습한 수학적 지식에 대한 재학습의 기회를 갖게 되었다. 학생들은 수학동화 쓰기 활동을 통해 수학의 실제적인 활용 장면을 스스로 찾을 수 있게 되었으며, 수학 학습에 대한 필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활동 과정에서 많은 학생들이 수학 학습에 대한 즐거움과 성취감을 느끼게 됨으로써 긍정적인 수학적 성향을 형성해 나갔으며, 스스로 의지를 가지고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수학학습에 집중하게 되었다. 수학동화 쓰기 활동을 하는 동안 학생들이 보여준 이와 같은 특성은 오늘날의 수학교육이 추구하고자 하는 긍정적인 측면들을 많이 보여주고 있으므로, 학교 현장에서 적극 활용해 볼 만 하다.

  • PDF

10대 학생들을 위한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 설계 및 개발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Online Learning Community for Teenagers)

  • 조미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79-89
    • /
    • 2007
  • 10대 학생들의 지속적인 인터넷 이용률 상승과 높은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율을 고려할 때, 그들이 인터넷 이용을 통해 경험할 수 있는 역기능을 최소화하고 긍정적인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학생들은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서 다양한 사회성을 경험하고, 자아성을 탐색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상당수의 온라인 커뮤니티들이 사회적인 배려와 관심을 제공하지 못하여 학생들의 가치관 혼란이나 잘못된 행동을 유도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본 연구는 10대 학생들의 요구를 수용하면서 동시에 그들의 요구를 학습 활동과 연계할 수 있는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에 초점을 두고, 활발한 공동체 활동과 학습 활동을 진행할 수 있는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를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커뮤니티는 운영 취지를 소개하고, 알림방, 요구함 등을 제시하는 'e-Tivity소개', '이벤트홀' '자료파크' 'e-Tivity센터' 등으로 구성된 커뮤니티 활동 공간, '교사연구실' '관리실'로 구성된 교사와 관리자 공간, 'My Room' 아바타 꾸미기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학생 개인 공간 등으로 구성되었다.

  • PDF

과학 영재아의 창의적 과제 수행과정에서의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Performance Processes in the Creative Tasks)

  • 박종원;지경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70-78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박종원(2004)의 과학적 창의성 모형과 3단계 수업모형(박종원, 박종석, 이강길, 2008)에 따라 개발된 과학적 창의성 활동을 과학 영재아에게 적용하여, 학생들의 과학적 창의성 활동에서 나타난 여러 가지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지로학생의 반응을 조사하였고, 학생의 활동지로부터 수업모형의 효과성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학생의 창의성 활동 과정을 녹화한 자료로부터 학생의 여러 가지 행동특성을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과학적 창의성 활동이 어려운 편이었지만, 흥미 있어 하였고, 창의성에도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또한 끝가지 과제를 수행하고 싶어 했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과제 수행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동과정 중에 제시한 '안내'는 학생들의 발산적 사고에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학생의 행동특성을 분석하여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과학적 창의성 지도를 위한 제안들을 추출할 수 있었다.

소집단 과학 논변 활동에서 초임 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의 특징과 한계 탐색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Exploring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a Novice Teacher's Responsive Teaching Practice in Small Group Scientific Argumentation: Focus on Framing)

  • 김봉준;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739-753
    • /
    • 2019
  • 본 연구는 과학 논변 활동을 생산적으로 프레이밍하는 초임 과학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의 특징과 한계에 대해 프레이밍 관점에서 분석했다. 논변 수업을 해본 적이 없는 초임 교사와 2개 학급 총 52명의 중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자극과 반응 단원에서 논변 활동을 도입하였다. 학생들은 귀의 구조와 기능을 학습한 뒤, 고막이 찢어지면 들을 수 없을까에 대한 개인의 논변을 구성하고 논의를 통해 소집단 논변을 구성하는 활동에 참여하였다. 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이 활발한 집단 중에서 소집단 구성원의 특징이 유사하였으나 논변 활동의 양상이 달랐던 두 소집단을 초점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학생들의 소집단 논의 과정과 교사 면담, 학생 면담, 학생 추가 면담은 녹화·녹음 되었다. 이를 전사하여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위치 짓기 프레이밍의 관점에서 반응적 교수 실행의 특징과 한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논변 활동에서 촉진자로서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공유시킨 후, 서로 다른 의견을 합의해야 한다고 프레이밍하고 있었다. 이는 반응적 교수 실행에서 일치하게 나타났다. 교사는 소집단 과학 논변 활동에서 촉진자로서 학생 사고를 이끌어내고 탐색함으로써 학생 의견을 더욱 명료하게 제시하도록 논의를 아이디어 공유 논의로 프레이밍한 후, 서로 다른 의견의 불일치를 부각시키며 논의를 논쟁적 논의로 전환시키고자 노력하였다. 하지만 교사의 생산적인 프레이밍이 학생들의 생산적인 실행을 보장하지는 않았다. 초임교사는 학습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학생들의 추론을 정교화시킬 때 개념을 활성화시켜주는 데에 한계를 보였으며, 학생들의 인식론적 프레이밍에 주목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보였다. 본 연구는 과학 수업에서 학생에게 반응적인 교수를 실행하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