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교 공간혁신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5초

충남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의 공간혁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Innovation of Public Libraries Belonging to Chungcheongnam-do Office of Education)

  • 임정훈;오형석;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103-126
    • /
    • 2021
  • 본 연구는 충청남도교육청 소속 19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교육·문화복합공간으로서의 도서관 재구조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공공기관 복합화 시설의 사례 조사, 이용자 설문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래 공공도서관이 갖추어야 할 공간으로 배우는 공간(종합자료실, 테마 자료 탐구실, 미래교실, 블렌디드 러닝센터, STEAM 교육실, 원격강의학습실), 표현하는 공간(포이어, 메이커 룸, 디지털 매체 창작실, 원격강의제작실), 나누는 공간(동아리·모둠학습실, 웰빙 복합문화공간, 생활·편의공간, 휴게실·브라우징), 즐기는 공간(퍼포먼스·생각 놀이터, 유아·어린이 자료실, 디지털 가상체험실, 특화 알코브실, 야외독서실) 등으로 구분하여 공간 재구조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건축 규모, 장서 규모, 서비스 및 공간 수준 등을 고려하여 선도모형, 기본모형, 이음터 모형, 최소모형 등 도서관별로 특화된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의 재구조화 모형을 제안하였다.

배움 공간 혁신 방안으로서의 녹색환경제공에 관한 효과와 영향 분석 연구 -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A Study on Effects and Impact analysis as innovation plan of learing space by providing green environment - Focused on children and adolescents -)

  • 임채영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0권2호
    • /
    • pp.22-30
    • /
    • 2021
  • 2020년 개최된 OECD의 한국교육 분석 중간보고에 따르면 발표자 안드레아스 슐라이허 OECD 교육국장은 '한국 학생들은 실패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감, 초조함을 많이 보인다'며 시험 점수가 괜찮아도 긴장감을 느끼는 모습에 대하여 말했다. 단적인 예시이지만 최근의 교육 발표에 언급된 만큼 한국의 학생들에게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모습이며 교육을 받으며 쉽게 겪는 일이다. 한국이 인적자원 양성 있어서 관심과 열의가 높은 만큼 그 방법에도 여러 가지 것이 고려되고 연구되고 현재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과 개선점, 발전 방향이 제시되어야 하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학교 교육의 질 개선에 있어서 배움 공간 혁신의 방안에 대해 생각해보았으며, 그 방법과 수단 중에서도 녹색환경제공의 효과와 영향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분석·정리하였다. 기존에 제시된 학생들의 복합적 양상의 사회적 문제 해결에 본 학술이 작은 한 가지의 해결책과 역할이 될 수 있길 바란다.

교실은 어떻게 '스마트'해지는가?

  • 정한별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9권3호
    • /
    • pp.201-246
    • /
    • 2019
  • 정보통신기술은 교육을 큰 위기에 빠트리는 위험물질 취급을 받기도 하고, 위기에서 구원하는 구원자로 비추어지기도 한다. 한국 정부는 2011년 스마트교육 정책을 통해 정보통신기술을 적극 공교육의 학교들로 끌어들여 교육을 혁신하고 인재대국을 건설하겠다고 발표했다. 스마트교육은 타블렛 PC나 노트북과 같은 기기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표준 교실 모델을 정립해 각 학교에 확산, 정착시키고자 했다. 이 논문은 스마트교육 정책이 꿈꾸었던 스마트교실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어떤 마찰을 일으켰는지 분석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교육 정책의 방향과 이상을 분석하고, 실제로 스마트한 교실 환경을 구축하고 있는 학교 세 곳에 방문해 시설 견학 및 심층 인터뷰를 수행했다. 스마트교육 정책이 제안한 이상적 교실은 모델하우스처럼 깔끔한 공간에 스마트폰처럼 다양한 기능을 한 번에 갖춘 패키지였지만 일상적으로 보통 교실처럼 활용되기 어려웠다. 각 학교는 모델을 수용하는 대신 규모, 지역 특성, 학생들과 교사의 사회경제적 상황, 교사의 경험, 기존 인프라의 유무 등의 요인들이 조합되는 방식에 따라 각자의 방식으로 "스마트"해졌다. A 초등학교에서는 기계가 학교의 공간을 길들여 자신만의 공간을 만들어내는 한편 이동을 위해서는 학교의 규칙에 따르게 되었다. B 초등학교에서는 학교 전반을 아우르는 인프라가 만들어지지는 못했지만 선생님의 경험에 힘입어 조직화했으며, C 초등학교에서는 특정 교실에 밀집되어 선생님의 전문성을 증진시켰다. 스마트교실의 구성하고 있던 기기들은 분해되고, 맥락에 맞게 재조합되어 각 학교의 교실들을 "스마트"하게 만들었다.

지식공간론을 활용한 학습과제분석 지원도구의 개발 (Development of a Tool to Support Learning Tasks Analysis Using the Knowledge Space Theory)

  • 조형철;임진숙;김성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29-139
    • /
    • 2004
  • 정보화로 급변하는 사회는 학교 교육이 전통적인 교수-학습 방식에서 탈피하여 수업의 혁신과 효율성을 달성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효율성 있는 수업이 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사전 지식에 대한 분석과 이에 따른 수업계획이 필요하다. 지식공간론은 학습자의 지식상태에 대한 효과적인 분석 방법을 제공해 준다. 본 연구는 지식공간론을 활용한 학습자 지식상태분석의 여러 방법들을 개발하여 교실수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학습과제분석 지원도구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상업계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에 관한 현황분석(광주광역시 중심)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about the Computer Education of Commercial High School placing empasis on Gwang-Ju city area)

  • 안주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906-909
    • /
    • 2007
  • 급변하는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에서는 근대사회의 합리적 공간인 학교가 디지털 공간의 기능적 효과로 파생된 시대적 흐름에 편승하기 위해 혁신적 변화를 추구하지 않을 수 없게 됨으로써, 상업계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은 현실적이고 교육 패러다임의 특성에 맞도록 교육을 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광주광역시 상업계고등학교 총 4개교의 컴퓨터 교과를 담당하는 교사 및 컴퓨터 교육을 받는 학생을 대상으로 컴퓨터 교육의 현황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교차분석인 $X^2$과 빈도분석을 산출하여 상업계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이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에서 원하는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최적화된 양질의 컴퓨터 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개선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 PDF

학교공간혁신사업 운영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교육청 미래교실사업 매뉴얼 중심으로 - (A Study on Guidelines for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 focused on the Manual for Project of Future Classroom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

  • 박열;최진희;오승주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11-16
    • /
    • 2020
  • Today, the paradigm of education is changing from teacher-centered, facility-centered, supplier-centered to student-centered, people-centered, and user-centered. In 2019, the Ministry of Education promoted the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to provide a school space as a balanced life space, such as learning, play, and rest, through educational activities led by students, who are the leaders of the future society. Based on this, Incheo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prepared a manual for practice while carrying out a project to build a future classroom. In those projects 'user participatory design' is applied as a new design approach and facilitators play an important role as experts in the process of user participatory design. However, it is different from the guideline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erms of facilitator role; facilitator in Incheon's future classroom projects can be in charge of designer part.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 design scope was limited to the classroom space and the construction permit work was not applied, and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eems to be able to successfully implement the plan derived through 'user participatory design' under the responsibility of the facilitator. However, this may be considered to be inconsistent with the basic purpose of the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In the case of the school unit project, it is considered that more systematic supplementation is necessary.

농어촌 소규모 중학교 영어 교육과정 편성·운영 개선 방안 사례연구 (A Case Study for Exploring the Ways of Improving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for Small Rural Middle Schools)

  • 박상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92-10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어촌 소규모 중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사·학생 면담과 수업관찰을 통하여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와 요구를 분석하였다. 전국을 5개 권역으로 나누어 권역별 2개교 씩 총10개 농어촌 소규모 중학교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과정 측면에서 통합운영학교의 학교(급) 간 교육과정 연계 미흡, 지역사회 측면에서 농어촌 지역 내 교육 시설 및 문화 공간 부족, 교사 수급 측면에서 농어촌 소규모 중학교 교사 수급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 필요와 같은 쟁점을 도출 할 수 있었다. 논의된 쟁점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교육과정 편성·운영 개선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교육과정 측면에서 내실 있는 학교(급) 간 통합운영학교 및 공동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서는 농어촌 소규모 중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권을 대폭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역사회 측면에서 농어촌 지역 내 교육 시설 및 문화 공간 부족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교육 및 문화 중심지로서의 학교 공간 혁신과 학생 교육활동 안전 및 편의성 증진을 위한 교통 시스템 구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 측면에서 순회교사 운영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육청 수준에서 교·강사 인력풀의 체계적인 확대 및 운영 등을 제안하였다.

초등학교 창의융합교실의 음향성능 조사 (Investigation of acoustic performances of the creative convergence classrooms in elementary schools)

  • 조아현;한찬훈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85-297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 학교 교실 중 학교공간혁신사업을 통해 도입된 9세 이하 초등학생이 사용하는 1, 2학년 창의융합교실의 음향성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창의융합교실 3개를 대상으로 음향성능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음향인자는 배경소음, 잔향시간(Reverberation Time, RT), 음성명료도(D50), 음성전달지수(Speech Transmission Index, STI) 및 양이간 상호상관도(Inter-Aural Cross Correlation, IACC)였다. 또한 벽체의 차음성능분석을 위해 투과손실(Transmission Loss, TL), 표준화음압레벨차(DnT) 등을 측정하였고, 교실의 문과 창문의 개폐 여부에 따른 소음레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배경소음은 공조기를 가동하지 않았을 때 평균 28.0 dB(A) ~ 32.8 dB(A)로 나타났으며 잔향시간은 0.6 s를 초과하지 않았다. 다양한 책상 배치에 따라 양이간 상호상관도(IACC)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중심선과 음원 근처 좌석에서 IACC 값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음원을 정면으로 바라보는 중심선의 좌석에서 더 높은 IACC가 측정되었다. 문과 창문의 개폐에 따른 교실 내 소음레벨은 모든 창문과 문을 열었을 때와 복도측 창문과 문을 열었을 때 기준을 초과하였다.

학교시설의 사용자참여설계프로세스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연구 및 사업백서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User Participation Design Process in School Facilities - Focused on the Research Reports and White Papers -)

  • 이광수;류수훈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39-49
    • /
    • 2019
  • School is where students spend a lot of time. However, it is made up spaces which have got no consideration for students. Public buildings, such as schools, were designed by experts, not by users, while the opinions of users were reflected in a small part. As a result, school has become an uncomfortable place for students. User participation design has been proposed as a way to improve it. Recently, in designing schools, user participation design called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has been carried out actively and many kinds of guidelines have been suggested in project. But because it is unsystematic, In fact, it is hard to apply on site. Comparing and analyzing various User Participation Processes to figure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we want to suggest the result as a data that can be used as guidelines for project related to User Participation Design.

5까지의 수 학습을 위한 수준별 웹 코스웨어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 Based Courseware by Level Differentiated Curriculum for learning Number 0 to 5)

  • 김순옥;인치호
    • 정보학연구
    • /
    • 제5권4호
    • /
    • pp.89-97
    • /
    • 2002
  • 본 논문은 초등학교 수학1-가 (5까지의 수) 단원의 수준별 학습을 위하여 웹을 기반으로 하는 코스웨어를 설계$cdot$구현하였다. 학습자의 능력차를 고려하여 수준별 학습 내용과 문제를 제공하고, 학습자의 그 해결 여부에 따라 적절한 피드백을 주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웹 기반 코스웨어를 구현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로 인하여 수준별 학습$cdot$개별화 학습을 실현하고 학습자의 학습 흥미와 학업성취도를 높였다. 또한 주의 집중시간이 매우 짧은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주의 집중력의 향상과 학습자의 바른 학습 참여 자세를 유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