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교행복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6초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우리나라 대학생의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사전요인 분석 (Happiness: Identifying Important Determinants of Happiness from University Students' View Point)

  • 이한녕;하정;이희정
    • 지식경영연구
    • /
    • 제20권2호
    • /
    • pp.137-153
    • /
    • 2019
  • This study aim to identifying important determinants of happiness from university students' view point.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happines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 carrying content analysis, five main categories were identified: 'Enjoying the present(enjoy the hobby, group activities and trivial things)', 'Self-regulation not dictated by anyone', 'Pursuing self-generated personal goals(goal-oriented, process-oriented)', 'Enjoying hassle-free moment(physical comport, psychological comforts being alone), 'Forming a good relationships (wide range of relationships, quality of relationships). This result is expected to provide deep understanding of students' happiness in planning programs and policies.

데이터 마이닝 기반 대학입시를 위한 학교생활기록부 분석시스템 (Analysis System of School Life Records Based on Data Mining for College Entrance)

  • 양진우;김동현;임종태;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9-58
    • /
    • 2021
  • 대한민국 교육과정과 입시제도는 수많은 변화들을 통해 진화해 왔다. 현재 우리나라 대학진학률이 약 70%에 육박하고 있고, OECD회원국 중 가장 높다. 이러한 환경 속에 대학진학에 관심이 높고 또한 우리나라 교육제도에서 가장 비율이 높은 수시전형 중 학생부종합전형에 필요한 학교생활기록부의 중요성을 높아져가고 있다.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지만 적극적인 학교생활을 통해 나의 미래와 행복을 동시에 찾을 수 있다. 학교생활기록부 분석시스템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흥미와 진로를 찾을 수 있고, 가고자하는 대학, 학과에 맞는 요소들을 분석하고 보완하여 성공적인 진학에 한발 더 나아갈 수 있다. 학교생활기록부의 각 항목을 3가지로 분리시켜 필요 단어와 불필요한 단어들을 구분해 분석한다. 분석한 데이터를 시각화&수치화 하여 학교생활에서 보완할 수 있는 분석시스템을 구축한다. 기존 선행연구로 단어빈도와 유사도 분석을 이용한 다중주제 회의록 요약시스템을 응용하여 다른 요소의 문장을 간결하게 요약하고 단어를 추출함으로써 데이터 마이닝을 통한 분석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다.

대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 마음과 행복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A Study on Design of Ontologies for Wounded Heart Healing)

  • 고시용;백현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641-64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성함양을 위한 마음과 행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연구에서 실시된 프로그램은 인성함양을 위한 선행연구와 이주희, 박희현, 박은민(2010)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인성함양 교육프로그램 지침서와 '심성계발 지도의 실제'(김여옥, 1999)자료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대학생에게 적용이 가능한 내용으로 재구성하여 작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대학에서 한 학기 동안 교양선택 강좌로 활용할 수 있도록 13회기로 구성되었으며 매 회기는 강의 50분과 실습 활동 프로그램 50분으로 이루어져있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전라북도에 소재한 W대학교의 인성함양을 위한 마음과 행복 프로그램에 참여한 88명을 실험참여집단으로 선정되었으며 주 1회 100분씩 총 13주간 마음과 행복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프로그램 만족도를 파악하고자 각 항목들에 대한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참여자들의 자아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점수 간의 평균차이를 비교하는 대응 t-검증을 실시하고, 효과의 크기를 알아보기 위하여 Cohen's d를 산출하였다. 따라서 인성함양을 위한 마음과 행복 프로그램을 대학의 교양강좌를 통해 실시한 연구결과 대학생들에게 있어 자아효능감과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프로그램 종료 후 대학생들이 본 프로그램을 다른 학생들에게 추천하겠다고 평가를 하였다.

건강관리 성공사례담-운동장해의 주범 어린이 심장병 (김정현)

  • 오일민
    • 건강소식
    • /
    • 제10권10호통권95호
    • /
    • pp.2-8
    • /
    • 1986
  • 김정현은 9세의 어린학생.(대구시 만촌초등학교 5학년. 여) 언제나 행복한 생활을 하고 있던 정현이는 건협 대구지부에서 심전도 검사를 받았다. 그 결과 요정밀진단 요망이라는 판정을 받고 전진곤 박사(대구지부 심전도 판독의사)로부터 무료정밀진단을 받은 그는 심장 우심방과 좌심방 벽에 구멍이 뚫린 상태였다. 그는 성공적인 수술결과로 건강이라는 광명을 되찾을 수 있었다.

  • PDF

학교생활에서의 행복에 관한 교원의 이야기 분석 (Teachers' Happy School Life: Their Story)

  • 박소영;김대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145-15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nd analyze teachers' happy school life from teachers' perspectives.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administrators were analyzed to describe and interpret the meaning of teachers' happy school life. The result indicated that teachers' happy school life could be understood with teachers' professional instruction, rational communication among members, understanding for meaning of works.

학교 밖 청소년 현장전문가의 활동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Meaning of Services based on Practitioner's Experiences: With Practitioners for Out-of-School Youths)

  • 박병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00-112
    • /
    • 2017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 관련 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현장전문가들의 활동경험에 대한 본질적 주제와 의미를 탐색하고 이해함으로써 학교 밖 청소년복지 실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들은 7명이며,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학교 밖 청소년 관련 기관 현장전문가의 경험은 진술한 의미를 가지고 주제 17개로 재조직화 후 5개의 범주로 합치기가 되었다. 경험의 5개의 범주는, "즐겁지 않은 학교", "행복하지 않은 가족", "아픔 뒤에 혹은 핑계 뒤에 숨는 아이들", "찾을 수 있을 때까지 같이 가보자", "세상이 바뀌었으면"으로 나타났다. 학교 밖 청소년들이 학교를 떠날 것을 결심하는 것에서부터 학교를 떠나고 학교를 떠난 후 생활에 대한 과정을 직접 듣고, 함께 생활하면서 겪은 현장전문가들의 실질적 지원과정의 경험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복지정책에 기여하고 실천적 지원방안 모색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학교'에 대한 실증적 검토 - 행복농촌만들기 콘테스트 수상마을을 대상으로 - (Empirical Review on 'Schools' for Community Revitalization - Focusing on Villages That Have Won "Contest for Making Happy Rural Communities" -)

  • 변경화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37-45
    • /
    • 2023
  • This study is conducted to provide an empirical review on how schools play a pivotal role in the regional communities. For this, the use of closed schools, activities to revive small-scale schools, and activities related to nearby schools outside the village were analyzed for villages that have participated and have been awarded in the Contest for Making Happy Rural Communities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The results of this are as follows. Out of 204 villages that won the contest, there were 19 cases of school closures. Of these 19 cases, there are 17 cases in which the closed school facilities still exist. For the two remaining cases, there are no buildings and only the site remains. To summarize the use of these schools, the functions are being combined and are determined within the range that local residents can operate. The impact or success factors on the region can be summarized into five main categories through the revival of schools in the crisis of closure. First, it was an opportunity to lay an organizational foundation for village projects in the future by reorganizing the village's organization, such as the formation of a village promotion committee to revive the schools. Second, it did not just introduce outsiders to increase the population, but supported housing and jobs for them to successfully settle down. Third, a cultural community was created with senior and junior residents, and finally, the residents became teachers or formed a village education communities such as lifelong educa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schools existing outside the village, activities with members of the surrounding schools and linked activities are being carried out in the sense of "school".

대안학교 중 특성화 중학교의 가정교과 운영실태 및 인식에 관한 연구 (Recognition and Oper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pecialized Middle Schools among Alternative Schools)

  • 배소영;신혜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7-152
    • /
    • 2008
  • 대안학교 중 정규학교 형태의 특성화 중학교를 대상으로 가정교과의 편성 및 운영 실태를 조사하고, 가정수업에 대한 담당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6개 특성화 중학교의 교사와 면접을 실시하였고 그 중 3개 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205부의 응답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중학교의 기술 가정교과 교육은 대부분 국민공통기본교과인 기술 가정 교육과정 형태로 운영되나, 학교의 이념이나 특성에 맞게 상이하게 운영하는 학교도 있었다. 시수는 제7차 교육과정의 편성과 비교해 4개 학교에서 주당 1시간 적게 편성되고 있었다. 또한 각 학교별로 가정교과와 관련된 특성화 교과가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특성화 중학교의 가정교과 운영 실태를 보면, 가정교과는 가정(부)전공 교사가 대부분 운영하고 있었으며, 자체 제작교재를 쓰는 한 학교를 제외하고는 모든 학교가 검정 교과서를 주 교재로 사용하였다. 교수학습 방법 및 교수매체는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 있었으며, 평가는 대부분의 학교가 지필평가와 수행평가를 고루 반영하고 있었다. 셋째, 가정교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 중 가정교과 교육의 의의는 가정의 행복 추구였으며, 목표는 가정의 행복을 실현, 세상을 보는 안목을 길러주는 것에 있었다. 교과 운영의 어려운 점으로는 열악한 실습실 여건을, 일반학교와의 차이점은 학생과의 의사소통이 활발한 점을 들었다. 넷째, 학생들은 기술 가정교과의 목표를 보통이하로 인식하였고, 가정수업에 대해서도 대부분 부정적이었다. 학생들의 가정수업에 대한 인식은 학교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수업시수가 많고, 특성화 교과가 운영되는 경우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학교만족도가 높고 가정(부)전공 교사에게 배운 학생들이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상에서 특성화 중학교의 가정교과 교육은 대부분 제7차 교육과정에 준해 운영되나 시수편성이 일반학교보다 적어 기초적인 교육내용의 이론위주의 가정수업이 될 수 있으므로 시수의 증편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체험을 할 수 있는 특성화 교과 운영은 가정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교사의 교과전문성에 따라 인식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결과는 교사 역할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수업 전반에 걸친 담당교사의 지속적인 노력과 특성화 중학교의 가정전공 상근 교사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 PDF

성격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 대중문화 예술인의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the Strength of Characters on the Happiness of Youth Popular Culture Artists)

  • 유현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487-494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대중문화예술인들의 행복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 성격강점기반 집단상담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및 경기도 소재 연예기획사와 예술고등학교 소속 예술인 중 16명을 모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정하고, 두 집단 모두에게 성격강점과 행복검사지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은 주 1회, 회기당 60분씩 총 8회기의 성격강점 프로그램을 시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무처치 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의 성격강점과 행복감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어 성격강점을 강화하는 훈련은 청소년 대중문화 예술인들의 행복을 증진시켜 보다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대중문화 주체들의 정신건강을 관리하는 시작점을 만들었다는데 그 의미가 있으며, 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중등학교 진로교육을 위한 컴퓨터과목의 단계별 교육내용의 계열화 연구 (Study on Categorization of education contents by steps of computer course for Career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 이현숙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911-915
    • /
    • 2007
  • 진로 교육은 진학 지도와 직업 지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우리가 삶을 어떻게 살아가느냐에 따라서 인생이 행복할 수도 있고, 불행할 수도 있다. 일생을 행복하고 보람 있게 살아가는 방법이나 길을 안내하여 주는 것이 진로 교육이라고 볼 때, 컴퓨터 교과의 진로 교육이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해 연구한다. 본 연구는 첫째 컴퓨터 교과를 분석하여 핵심 내용을 추출하고 둘째 해당 단원과 관련 있는 학문 및 직업에 대해 조사하고 셋째 핵심 내용에 따라 학업 진로 및 직업진로의 범위를 정하고 핵심 내용을 단계별로 계열화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