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교밖 청소년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6초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애가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 on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Self-esteem and Depress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 이래혁;이재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431-445
    • /
    • 2021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애가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사회복지 실천 함의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구축해놓은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 조사의 원자료 중 일부를 활용하여 PROCESS macro 분석 방법을 통해 진로장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을 검증하였다. 먼저, 분석을 통해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애는 스마트폰 중독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은 진로장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으나 자아존중감은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은 진로장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매개하고 있었다. 즉, 진로장애는 자아존중감을 낮췄고, 낮아진 자아존중감은 우울을 증가시켰으며, 증가된 우울은 최종적으로 스마트폰 중독을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개입하기 위한 다양한 실천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학교 밖 청소년 부모의 양육태도가 흡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for the Influence of Parental Attitudes on Smoking in Out-of-School Youths)

  • 임소연;박민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33-340
    • /
    • 2020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흡연여부에 따른 건강 및 심리적 특성을 확인하고, 부모 양육태도가 흡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는 서울과 충남 지역에 있는 학교 밖 지원센터에 등록되어 있는 282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2018년 3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설문지를 통해 자료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x2-test, 독립표본 t-test,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학교 밖 청소년의 흡연에 성별, 아버지 교육수준, 음주, 성관계 경험, 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부모의 양육태도 점수가 높은 집단에서 흡연의 가능성이 높아졌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 양육태도를 고려한 학교 밖 청소년의 흡연 예방 및 금연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수학과 음악의 융합인재교육으로 변화된 학교 밖 청소년의 수학학습 특성 분석 (An Analysis Study on Mathematics Learning Characteristics of Out-of-School Youth through STEAM Education with Mathematics and Music)

  • 김영인;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313-334
    • /
    • 2022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수학중심 융합인재교육을 통한 수학학습의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수학교육의 사각지대에 있는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융합인재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미래사회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필요성으로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과 음악의 융합인재교육을 통해 학교 밖 청소년들의 수학학습의 특성이 어떻게 변화될 수 있는지 고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광역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에서 고등학교 졸업 검정고시 수학 학습반을 수강하고 있는 학교 밖 청소년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수학-음악 융합인재교육을 위한 자료 개발 및 수업적용, 적용결과에 대한 자료 분석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검정고시와 연계한 수학과 음악 융합인재교육을 실시한 결과,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서 수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 및 문제풀이 전략의 긍정적 변화를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들의 수학학습 발전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기점으로 학교 밖 청소년들을 위한 수학중심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다양한 유형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학중심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한국 학교 밖 청소년 건강검진의 현황과 과제 (Status and Challenges of Korean Out of School Children Health Check-up)

  • 김양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546-558
    • /
    • 2019
  • 건강불평등은 사회적 취약계층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건강상의 차이를 일컫는다. 여러 학자들은 경제적, 사회적 불평등이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건강 불평등을 축소하려는 사회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여성가족부가 지난 2016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학교 밖 청소년 건강검진을 한국 사회의 건강불평등 감소 정책의 일환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국가건강검진제도에서 소외됐던 학교 밖 청소년을 검진제도 내로 편입한 것은 국가차원의 건강불평등 완화 정책으로서 큰 의미를 갖는다. 지금까지 학교 밖 청소년은 한국 사회에서 소외집단이었을 뿐 아니라, 건강검진제도 내에서도 사각지대에 있었다. 이중의 상당수는 가족주의가 굳건한 한국사회에서 가족의 보호와 지원을 받지 못한 채 거리로 쫓겨난 어린 노동자임에도 불구하고 '일탈적인 10대', '가출 청소년', '비행 청소년' 등으로 불리며 차별받았다. 현행 학교 밖 청소년 건강검진은 대안학교에 다니거나 쉼터에 거주하는 등 비교적 주거파악이 쉬운 청소년 위주로 실시되고 있다. 이 제도의 실질적인 성과를 위해서는 주거가 불안정한 가출 청소년까지 검진제도 내로 포섭하는 접근성 확대 정책이 필요하다. 그리고 검진 사후관리, 예방접종과 정신건강, 검진주기 단축 등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기 위한 방법과 실행이 더해져야 할 것이다.

학교 밖 비행청소년의 도박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Gambling Experiences of delinquents Juvenile Dropouts)

  • 김진웅;김주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29-23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밖 비행 청소년의 도박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도박경험이 갖는 내용과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소년법 보호처분을 받은 청소년 6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한 자료를 수집하고 4단계의 분석과정을 통해 도박경험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위구성요소 6개, 하위구성요소 18개가 도출되었다. 즉, 학교 밖 비행청소년의 도박경험은 '근접한 도박의 유혹', '도박의 굴레에 갇힘', '변질된 삶', '비공식망의 관계 훼손', '일그러진 존재가 됨', '도박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들'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금까지 연구된 바 없는 학교 밖 비행청소년의 도박경험의 본질적 의미와 경험구조를 파악했다는 점과 학교 밖 비행 청소년의 복지 및 도박중독의 관점에서 융합적으로 연구되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밖 비행청소년의 도박문제 예방 및 치료에 관한 실천적,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학교 밖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애착, 또래 애착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Depression Perceived by Out-of-school Youths)

  • 문숙자;이윤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355-363
    • /
    • 2021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 애착과 또래 애착이 우울 간의 관계에서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제5차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를 활용하였고, 총 145명의 학교 밖 청소년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분석,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 애착과 또래 애착은 생활만족도에 직접적인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활만족도와 또래 애착은 우울에 직접적인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 애착(𝛽=-.23, p=.006, 95% CI: -0.33~-0.12)과 또래 애착(𝛽=-.18, p=.002, 95% CI: -0.31~-0.08)은 생활만족도를 통해 우울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만족을 향상하고 우울을 개선할 수 있는 가능한 정책 및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학교밖 중도입국 청소년의 진로준비에 대한 현상학적 융합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Career Preparation Out of School)

  • 김민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49-258
    • /
    • 2020
  • 본 연구는 학교밖 중도입국 청소년들이 진로준비 경험을 통해 구성해 낸 진로준비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탐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대상은 서울시, 경기도, 충청도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학교밖 중도입국 다문화청소년 7명을 대상으로 심층적으로 인터뷰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7월에서 2019년 9월 까지 행해졌으며 자료의 분석은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총 56개의 의미를 기반으로 하여 경험의 본질적 구조인 14개의 주제와 5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14개의 주제는 친구와 좋은 관계, 빠른 습득력, 배려하는 성격, 꿈이 없음, 꿈이랑 상관없는 취미 즐기기, 배움에 대한 두려움, 내 미래에 미치는 직업의 영향력, 진로에 미치는 어머니의 강력한 영향력, 모국어와 관련된 직업찾기, 진로에 대한 무개념, 자신의 관리를 못함, 돈많이 버는 직업 원함, 다이어트 노력, 시험에 대한 부담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도입국 청소년에게 진로준비에 있어 객관적 진로검사와 자신에 대한 탐색이 있어야 하고, 현실적인 직업의 개념과 진로행동을 유도해야 하며, 문화적 고려가 있어야 한다.

고졸검정고시를 준비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장벽의 관계 : 소외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s among Out-of school Adolescents preparing for Qualification Examination for High School Degree: Mediating Effects of Alienation)

  • 이정림;조영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90-102
    • /
    • 2017
  • 최근 들어 학교 밖 청소년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의 진로문제가 중요한 청소년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졸검정고시를 준비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사회적 지지의 유형 및 사회적 지지원 간의 관계를 밝히고, 이들의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소외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장벽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5개 권역의 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과 검정고시 학원의 학교 밖 청소년 207명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진로장벽, 소외감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활용하여 변인간의 관계와 소외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진로장벽, 소외감과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었으며, 소외감과 진로장벽은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장벽과 소외감은 사회적지지 중에서도 부모의 지지와 평가적 지지와 가장 높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소외감은 부모지지 및 교사 지지와 진로장벽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으며, 친구지지와 진로장벽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다. 소외감은 정보적, 물질적, 평가적, 정서적 사회적 지지의 모든 유형과 진로장벽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다. 이는 고졸 검정고시를 준비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경우 부모 및 교사, 친구들이 제공하는 여러 유형의 사회적 지지를 향상하여 소외감을 낮춰줌으로써 진로장벽을 낮춰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학교 밖 청소년의 자살시도 영향요인 (Predictors of Suicide Attempts in Out of School Youths)

  • 이윤정;박문경;정영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41-552
    • /
    • 2022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자살 시도 예측 변수를 조사하기 위해 학업중단청소년 패널조사 1차년도 조사자료를 사용한 2차 데이터 분석 연구이다. 자료 분석은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에 포함된 776명의 참가자 중 62명(8%)에서 학업중단 이후 자살 시도가 보고되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학업중단 이전의 자살시도 경험(OR=10.66), 폭력피해 경험(OR=6.97), 음주(OR=3.73), 우울(OR=2.62), 부모애착(OR=0.47), 또래와의 관계(OR=0.63)가 학업 중단 이후 자살 시도의 유의한 예측인자였다. 따라서 학교 밖 청소년의 자살 시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학업 중단 전의 자살 시도 경험을 확인해야 한다. 또한 심리적 상황, 대인관계, 폭력경험 등을 고려한 융합적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수립이 필요하다.

Dating Violence Among Adolescents: A Review of Empirical Studies

  • Jang, Si-Won;Coulter, Martha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7-64
    • /
    • 2008
  • 연구배경: 데이트 폭력은 청소년을 포함한 젊은 인구집단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협하는 중요한 공중보건 문제이다. 친밀한 남녀관계에서 시작되는 데이트 폭력의 위협에 노출되는 시기가 바로 청소년들이 생애주기 상 가장 급격히 발달하면서 많은 변화를 겪는 시기라는 것이 더 민감한 관심을 끈다. 그러나 이 문제 또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들의 정도와 심각성을 이해하기 위한 구조적인 노력은 그다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청소년과 성인 초기 연령집단의 데이트 폭력 예방, 측정 도구, 위험 요인, 이환정도에 대해 지금까지의 관련 연구자료 고찰하여 일반적인 경향을 소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1990년부터 2007년까지 발표된 청소년과 성인 초기 인구의 데이트 폭력에 관한 60개의 논문을 검색하여 고찰하였다. 사회과학과 보건과학 관련 연구논문의 검색모듈을 활용하였는데 PsycInfo, Pubmed, 그리고 CINAHL였다. 연구결과: 데이트 폭력의 위험요인은 크게 개인적 요인, 심인적 요인, 가족 요인, 학교 및 친구 집단 요인으로 나뉘어진다. 개인적 요인으로는 자아존중감, 성, 인종, 약물사용, 성상대자 수, 과거 폭력경험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의 다른 개인적 요인, 즉 심인적 요인으로는 자기효능감, 식습관, 반사회적 행동 등이 있었다. 가족 요인으로는 가족 구조, 부모 성향이 유의미한 특성들이었으며 이 밖에 학교, 친구, 지역사회의 환경적 요인이 관련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