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교기반

검색결과 2,449건 처리시간 0.035초

웹기반 초등학교 과학과 발견학습 시스템 (The Web based Elementary Science Discovery Learning System)

  • 이종화;한규정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89-97
    • /
    • 2008
  • 제 7차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특히 탐구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단위 시간과 학습자료의 부족이라는 현실적인 이유 때문에 학교 교육 현장에서는 실제적인 적용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웹기반 발견학습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검증 과정으로 초등학교 4학년 과학과의 용수철 늘이기 단원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발견학습 모형을 적용한 비교집단과 웹기반 발견학습 시스템으로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의 학업성취도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적용 결과, 웹기반 발견학습 시스템으로 수업을 한 경우, 전통적인 발견학습 모형 그대로 적용한 경우보다 학업 성취도가 높았다.

  • PDF

문헌정보교육학의 학문적 생성 담론 (The Discourse for Academic Generation of 'School library Education Science')

  • 함명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23-241
    • /
    • 2008
  • 본고는 문헌정보학과 교육학의 통합 연구를 기반으로 문헌정보교육학의 학문적 생성 담론을 다룬다.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의 역할이 학교 교육 속에서 정착되기 위한 기초로, 문헌정보교육학의 연구 영역과 과제를 논의하고 방향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학교도서관 연구의 질적 향상에 기여한다. 학교도서관의 연구 영역은 문헌정보학적 측면과 교육학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통합한다. 학교도서관의 연구 추세는 국내 학회지의 논문 게재 빈도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통합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 문헌정보교육학의 정립 이론은 도서관기반교육론과도서관기반학습, 연결거점론, 통합거점론, Top456접근법, 교육과정기반접근법, 관점접근법, 정보와 도서관 교과교육학 등을 제시한다. 연구 논점은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기초, 운영, 전자도서관 구축, 교육 활동의 측면에서 논의한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우리나라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의 현실을 진단하고 해결책을 문헌정보교육학의 관점에서 제공한다.

초·중등학교 (A Study o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 함명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9-99
    • /
    • 2002
  • 교육인적자원부는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을 담은 초ㆍ중등학교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을 승인하였다. 학교도서관의 사서교사들이 실시하는 도서관이용지도, 독서교육, 정보활용교육, 협동수업 등을 모두 통합하여 학교 교육과정에 포함한 것이다. 학교 교육은 기본적으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따라서, 학교에서의 모든 교육 활동은 학교 교육과정 속에서 인정받는 것이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의 편성 내용을 바탕으로 연결거점론, 통합거점론, Top456접근법, 교육과정기반접근법을 제시하고 있다.

학교도서관 이용동기가 도서관 서비스품질인식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기반 연구 (The Influence of School Library Use Motivation on the Library Service Quality Perception: A Study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 이성인;박지홍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1-78
    • /
    • 2020
  • 최근 자기주도적 학습, 평생교육이 강조되면서 교육과정에서 학교도서관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학교도서관의 구조적, 제도적, 운영적 관점에서의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학교도서관이 자율성 기반의 자기주도적 교육 운영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학교도서관 이용자의 자율적 내적동기와 같은 미시적인 주제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을 기반으로 학교도서관 이용 동기에는 어떠한 유형이 더 중요한지, 학교도서관 이용 동기가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학교도서관 이용 동기와 서비스 품질 인식이 도서관 이용자의 학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예비 연구를 기반으로 서울에 소재한 4개의 고등학교와 2개의 중학교 학생 588명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 이용 동기가 도서관 서비스 품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서비스 품질, 그리고 서비스 품질 요소 중 서비스 감성, 정보제어, 도서관 장소를 종속 변수로 각각 설정하였을 때, 네 가지 경우 모두 내재적 동기요인이 외재적 동기요인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중학생과 고등학생 집단을 각각 별도의 대상으로 설정하였을 때에도 두 집단 모두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서비스 품질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을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적용하였다는 점, 이론을 토대로 구분한 동기 유형의 영향력을 측정하였다는 점, 그리고 학교도서관 서비스 향상을 위해 미시적 요인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위치 기반 초·중·고 학교 정보 매쉬업 서비스 (Location-based Mashup service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formation)

  • 김해진;김해란;한순희;조혁현;정희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651-656
    • /
    • 2010
  • 16개 시 도 교육청의 누리집의 학교 정보 서비스는 대부분 정적인 지도 이미지에서 지역을 클릭 했을 때 해당 지역의 학교 정보를 제시하거나 검색에 의한 텍스트 위주의 결과 정보를 나열한다. 그리고 동기적 전송에 의한 검색으로 서버 부하 및 느린 전송 속도 등 여러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치기반의 학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구글 지도의 Open API를 이용하고 검색 시 서버 부하 감소 및 전송 속도 향상을 위해 비동기적 전송 방식의 Ajax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학교 정보 매쉬업 서비스를 구현 하였다. 이 서비스는 학생, 교사, 학부모 등 다양한 계층의 교육 가족에게 동적 지도상에 위치기반의 학교 정보를 서비스함으로써 효율성과 편리함을 줄 수 있다.

학교시설에서 CPTED 적용방안 및 원칙 따른 시뮬레이션 (Application of CPTED Principles for School Facilities : With Simulations from Field Survey in Noen New-town, Daejeon Korea)

  • 이형복;임윤택;최봉문;김낙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424-437
    • /
    • 2012
  • 최근 학교폭력 등 청소년범죄의 증가에 따라 안전한 학교공간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학교공간의 안전은 CCTV 등의 물리적 요소, 순찰 등의 관리적 요소 외에 CPTED 원리 등 공간계획적 요소가 함께 적용되어야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및 주변지역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학교시설 및 주변지역의 공간계획 현황을 CPTED적 관점에서 조사하여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공간계획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대전 노은택지개발지구 내에 위치한 7개 초 중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CPTED의 5대 원칙에 기반한 체크리스트에 따라 현장조사를 시행하였다. 현장조사에서 분석된 문제점들을 CPTED의 5가지 원리에 따라 분류하고 각각의 항목에 대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CPTED 적용을 위한 디자인적 기본구상과 이를 적용한 컴퓨터 그래픽 시뮬레이션 사례를 제시하였다. 학교가 범죄로부터 안전한 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CPTED 적용을 위한 기본 환경디자인 원칙과 이에 기반한 가이드라인을 수립하여 적용함으로써 자연적 감시, 영역성의 확보 그리고 유지관리 등 CPTED 원리에 기반을 둔 안전한 공간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독서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학생 인식 연구 (A Study of student's perceptions on the Reading-Based Project Learning)

  • 이연희;김기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8년도 제25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65-68
    • /
    • 2018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독서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사회 교과 연계 독서 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구안하여 실시하고, 이에 지속해서 참여한 학생 여덟 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교과연계 독서와 수업 공간으로서의 도서관 등 학교도서관의 프로젝트 학습 전반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교과 연계 독서기반 프로젝트 학습의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 PDF

블록체인 기반의 학교폭력 도우미 일기 서비스 (Blockchain-based school violence helper service)

  • 변재영;김지우;이아랑;한찬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19-1222
    • /
    • 2021
  • 학교폭력에 대한 내용을 일기 형태로 작성하고, 사진 및 자세한 피해 사실이 명기된 기록을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저장하여 신고 시 이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전문가와 상담 및 대응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LCL 필터의 성능 검증을 위한 SPWM 제어기반의 3상 인버터 출력 파형 발생 장치 개발 및 적용 연구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ree-phase Inverter Output Wave Generator based on SPWM Control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LCL filters)

  • 임동균;강창균;하원진;촐롱바타르;고윤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841-852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LCL 필터의 성능 검증을 위한 SPWM 제어기반의 3상 인버터 출력 파형 발생 장치를 개발하였다. 필터의 성능 검증을 위한 검사 신호를 얻기 위해 먼저, DSP 기반의 3상 SPWM 신호 생성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동시에 3개의 하프 브리지 게이트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SPWM 게이트 구동 신호들로부터 3상 SPWM 출력 파형을 발생시키기 위한 3상 전압형 인버터 회로를 설계하였다. 다음, 개발된 SPWM 기반 3상 인버터 출력 파형 장치의 검사 신호 발생 장치로서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하나의 LCL 필터가 실험, 제작되었으며, DSP 기반의 성능 검증 시스템이 실험적으로 구축되었다. 끝으로, 주어진 시비율을 가지는 출력 제어 실험에서 LCL 필터의 전 후의 3상 전압 파형을 비교함으로써 SPWM 기반 3상 인버터 출력파형 발생 장치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블록 기반 프로그래밍과 텍스트 기반 프로그래밍의 선호도와 효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Efficiency of Block-Base Programming and Text-based Programming)

  • 전현모;김의정;정종인;김창석;강신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86-489
    • /
    • 2021
  • 현재 초, 중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블록 기반 프로그래밍 언어가 학생의 흥미를 끌고 학습 동기를 가지게 하는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또 블록 기반 프로그래밍 언어가 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얼마나 많은 도움을 주고, 고등학교에서 배울 텍스트 기반 프로그래밍의 학습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각광받는 인공지능과 프로그래밍이 연계된 교육의 방향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여 초등학교에서부터 고등학교까지 소프트웨어나 정보 교육은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양과 질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하지만 인공지능 분야에서는 이제 논의가 시작되긴 하였지만 아직 우리 교육에 자리를 잡았다고 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블록 기반 프로그래밍과 텍스트 기반 프로그래밍이 어떻게 인공지능과 접목되어 교육되면 좋을지 논의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