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중 전달경로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42초

전달경로 해석 사례 (Transfer Path Analysis)

  • 이상엽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9-349
    • /
    • 2010
  • 전달 경로 해석 기법은 NVH 문제 해결 프로세스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법으로서 소음원 X 전달 경로= 응답 모델을 사용한 접근방식입니다. 수음(응답)점에서 문제의 진동 및 소음 응답을 고체 및 공기 음원이 응답에 미치는 기여도 또는 개별 경로, 모드, 판넬 기여도의 합으로 세분화하여 표시함으로써, 문제의 원인을 규명하고, 문제 해결 및 대책 방안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하며, NVH 문제의 해결을 위해 사용되는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본 강좌에서는 건물에 설치되는 설비의 작동 시 고체 음원 평가 및 철도 소음의 공기음과 구조음 기여도 평가를 위해 적용된 전달 경로 해석 기법 사례를 소개할 것입니다. 설비 작동시의 전달 경로 해석 기법에 의해 평가된 고체 음원의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bullet$ 직접 측정된 하중 데이터와 역행렬 기법에 의해 예측된 하중 비교 및 $\bullet$ 가진 햄머로 가진시의 가진력과 측정된 가속도 신호를 사용하여 역행렬 기법으로 계산된 하중의 비교를 수행하였습니다. 철도 소음의 공기음 및 고체음 기여도 평가를 위해서는 $\bullet$ 열차 주행중 철로에서 측정된 가속도를 사용하여 철로면에 가해지는 하중을 역행렬 기법으로 계산하였으며 $\bullet$ 철로 주변에서 거리별 측정된 소음중, 고체음의 기여도 파악을 위해서, 전달 경로 해석기법으로 예측된 고체음과 측정된 소음을 비교하였습니다.

  • PDF

스터드 커넥터로 연결된 H형강보의 인장하중 전달성능 (Tensile Load Transmission Capacity of H-shaped Beam by Stud Connectors)

  • 이명재;최완철;김원기;김재희;이상호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통권69호
    • /
    • pp.267-274
    • /
    • 2004
  • 본 실험의 목적은 H형강보에 작용하는 매달림 하중 중 연직하중인 인장하중을 그 대상으로 구조설계시 적용되는 설계하중에 대하여 인장하중이 스터드 커넥터를 통하여 슬래브에 전달되는 하중전달 경로와 그 성능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스터드 커넥터의 기초실험을 실시하고 2개의 실대형 시험체를 제작하여 인장하중에 대한 전달성능을 파악하였다. 실험의 변수로는 H형강보의 크기가 적용되었다. 인장하중 가력실험결과 현행 강구조계산기준을 따라 설계하면 스터드 커넥터에 의한 H형강보의 인장하중의 전달성능은 설계하중을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스터드 커넥터로 연결된 H형강보의 모멘트 하중의 전달성능 (Moment Transmission Capacity of H-shaped Beam by Stud Connectors)

  • 이명재;최완철;이상구;김재희;김희동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5권6호통권67호
    • /
    • pp.639-648
    • /
    • 2003
  • 연구의 목적은 H형강보에 작용하는 매달림 하중 중 면내 및 면외 모멘트를 그 대상으로 구조설계시 적용되는 설계하중에 대하여 면내 및 면외 모멘트가 스터드 커넥터를 통하여 슬래브를 전달되는 하중전달 경로와 그 성능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면내 및 면외 모멘트를 받는 경우에 대하여 각각 2개의 실험체를 대상으로 가력실험 및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실험의 변수로는 H형강보의 크기가 적용되었다. 면내 및 면의 모멘트 가력실험결과 현행 강구조계산기준을 따라 설계하면 스터드 커넥터에 의한 H형강보의 모멘트 전달성능을 설계하중을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제공동 육해상 정상운반시험의 데이터 분석 (Data Analysis of International Joint Road and Sea Transportation Tests Under Normal Conditions of Transport)

  • 임재훈;조상순;최우석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8권2_spc호
    • /
    • pp.275-289
    • /
    • 2020
  • 2017년 미국 DOE 주도하에 수행된 국제공동 복합모드운반시험 중 도로트럭운반시험, 연안항해시험, 대서양항해시험에서 측정된 가속도 및 변형률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먼저 각 운반모드 별로 발생한 하중이 전달경로에 따라 하중이 증폭되는지 감쇄되는지가 조사되었다. 그 결과 운반모드 및 하중경로 내 어떤 부분이냐에 따라 발생한 하중이 모의핵연료집합체에 전달되는 특성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변형률 데이터를 분석하여 육상 및 해상운반동안 발생한 변형률이 사용후핵연료에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측정된 변형률은 사용후핵연료의 건전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정도로 작은 크기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가속도와 피로평가 결과는 예정된 국내 정상운반시험조건에서의 운반시험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열차 하중 작용 시 특정형상 인공자갈이 혼합된 도상층에서의 침하 거동 평가 (Evaluation of settlement behavior of ballasted layer mixed with specially shaped artificial ballasts under train loading)

  • 김대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35-40
    • /
    • 2020
  • 도상 자갈층은 열차하중을 분산하고 지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나, 큰 공극으로 인하여 열차 동하중 작용시 침하가 발생하여 지속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특정한 형상의 인공자갈 3종류 (정사각 형상, 테트라 포드 형상, 육각 형상) 를 혼합한 도상 자갈층을 2 차원 개별 요소 해석법을 이용하여 모델링하고, 열차 동하중에 의한 도상 층의 침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침목에 의한 반복 재하 시험을 실시하였다. 동 해석 결과 침목 하부에서 작은 힘의 전달경로가 형성된 테트라 포드형의 인공 자갈이 포함된 도상 층에서 침하가 가장 작게 발생하였다. 또한, 도상층 내 접촉력 분포로부터 오목 형상을 갖는 테트라 포드 형상을 포함한 인공 자갈 혼합 도상에서 힘의 다중 전달 경로를 형성하기 쉬우며, 이를 통하여 도상 층으로 전달된 열차 하중이 보다 다양한 경로로 균등하게 분산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반복 열차 하중 재하 시 오목 형상의 인공 자갈이 혼합된 도상 층에서 훨씬 효과적으로 침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상 층에서의 이와 같은 침하 저감 효과는 유지보수를 절감할 수 있는 자갈궤도 구조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준다.

콘 크러셔의 전달 하중 및 기여도 분석 (Transfer Force and Contribution Analysis of Cone Crusher)

  • 김대지;정진태;;이창선;송창헌
    • 드라이브 ㆍ 컨트롤
    • /
    • 제19권4호
    • /
    • pp.77-84
    • /
    • 2022
  •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ransfer force delivered to cone crusher housing and contribution of force transmission. The rock crushing condition caused vibrations in the cone crusher housing, which were experimentally measured, and frequency response functions (FRF) were also found through modal impact tests. Vibration data and frequency response functions were applied to the transfer path analysis (TPA) model. Next, transfer forces delivered to the cone crusher housing were quantified via the TPA method. Contribution of force transfer was also analyzed based on force estimation results. Finally, this study describes basic concepts and components of the TPA method and reviews its applicability to rotating machinery that experiences impact vibrations and forces.

굽힘 곡선을 이용한 공작기계 주축의 취약부 규명

  • 이찬홍;이후상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9-453
    • /
    • 1994
  • 공작기계의 가공정밀도는 공구와 공작물간의 상대변위 크기로서 평가되는데, 이 상대변위는 가공중에 발생 하는 절삭력이 공구-척-주축-기계구조물-안내면-가공테이블-공작물로 이어지는 하중전달 폐곡선을 흐르면서 경로상의 정적, 동적 취약부의 주된 영향을 받아 생기거나 각 요소부품의 변형이 누적되어 생겨난다. 본 연구에서는 주축의 취약부를 규명하기 위하여 정적으로는 정적 처짐곡선을 이용하고, 동적으로는 진동모우드의 굽힘곡선을 이용하여 주축선단의 처짐에 가장 영향을 많이주는 부위를 파악하였다. 취약부의 개선방법으로는 주축지름을 변화시켜 주축선단 근처에서 굽힘이 집중되지 않도록 유도하였다. 그리고 구조개선의 효과를 확인 하기 위해서 기존 주축시스템과 개선 주축시스템의 정적, 동적 특성변화를 비교하였다.

  • PDF

TPA 기법을 이용한 건물 내 설비 동하중 산정 (Estimation of Dynamic Load of the Utility in Building by TPA Method)

  • 정민기;이성수;김용구;안상경;이상엽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8호
    • /
    • pp.773-780
    • /
    • 2009
  • The facility equipments generate dynamic force on building floor and the force can be measured with force transducer. However, this method depends on the measuring capacity or range of sensor, or mounts installation condition of equipments. Because of this restricting condition on force measuring system, this paper suggests a indirect method, the TPA(transfer path analysis) method, that produces a closely approximate dynamic force of equipments. This method calculates the dynamic force by using transfer response function. Firstly, the calculated dynamic force of impact load and continuous load was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sensor-measured value to examine the accuracy of TPA method. After that, the dynamic force and response induced by large facility equipments - a cooling tower, AHU and a large ventilator - were calculated by TPA method and the validity of these value were examined.

TPA 기법을 이용한 건물 내 설비 동하중 산정 (Estimation of the Dynamic Load of the Utility in Building by TPA Method)

  • 정민기;김용구;안상경;이상엽;이성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52-457
    • /
    • 2008
  • In this paper, the vibrations of floor systems of which buildings are under construction are studied by experimental and analysis method. The first step is to measure the operational response data and FRF at the supporting points of the utility and the second step is to calculate the dynamic load by TPA Method which provided by LMS VirtualLab System Analysis Module. The dynamics we used to identify is expressed by below equation; $$\{F_{oper}\}=[H]^{-1}\;{\cdot}\;\{{.. \atop x_{oper}}\}$$ Where, H(Transfer function between position of the force and response) and x(response) are measured by vibration test.

  • PDF

쇄석기의 충격하중 정량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Load Quantification of the Jaw Crusher)

  • 홍성주;양해정
    • 드라이브 ㆍ 컨트롤
    • /
    • 제16권2호
    • /
    • pp.1-7
    • /
    • 2019
  • Jaw crusher is a device that breaks rock collected from mines or quarries to produce aggregates of the size desired by user. A representative method for measuring load is to measure them by attaching force sensors directly to the part where the load is generated. However, the direct method has many limitations such as high-impact loads generation in equipment or space constraints, sensor capacities and costs. Therefore, Transfer Path Analysis (TPA) was used to indirectly measure impact loads by attaching acceleration sensors. In this study, both direct and TPA methods were used to measure the impact load of Jaw crusher. This study finally quantifies the impact of the load generated by the Jaw crusher using direct method and TPA method, and comparing the impact load measured calculated the derive the error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