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브루타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1초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위한 하브루타 학습모델 개발 및 적용가능성 탐색 (Development of a Havruta Learning model and exploring its applicability in non-face-to-face real-time online classes)

  • 변길희;최대훈;조우홍;윤경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129-13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주도적 학습을 돕는 하브루타 학습방법을 대학의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하브루타 학습모델 개발과 그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하브루타 학습법 적용사례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과 관련 이론들을 분석하고 하브루타 수업운영 경험자 2인의 인터뷰를 통해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 적용 가능한 학습 모델안을 고안할 것이다. 이를 하브루타 수업 운영 경험이 풍부한 6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수업 모델안의 적절성과 적용가능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위한 하브루타 학습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비대면으로 수업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학습자의 주도적 학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높여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 PDF

대학도서관 하브루타 기반 서비스를 위한 인식조사 연구 (An Study on Perceptions of the Havruta-based Services for University Libraries)

  • 김성훈;조형래;정지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75-201
    • /
    • 2019
  • 4차 산업혁명시대에 있어 학습자는 의사소통, 논리적, 창의적 사고 등의 영역에서의 발전이 요구된다. 이에 대학도서관은 이용자들이 새로운 사회적 상황에 적합한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새로운 서비스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하브루타는 이러한 필요를 채울 수 있는 교육 접근법으로서 대학도서관이 적용가능한 방안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하브루타의 개념 조사,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하브루타 기반 서비스 사례 조사, 선행 국내 대학도서관 하브루타 기반 서비스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대학도서관에 적용할 수 있는 하브루타 서비스를 제안하여 하브루타에 대한 인식, 하브루타 서비스의 공간 및 콘텐츠, 하브루타 서비스의 제공 및 이용 의사에 대해 운영자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하브루타 서비스의 하브루타 주제 제공, 그룹 조직, 교재 대여, 공간 예약 간소화, 자료 공유, 동기부여 체계 영역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하브루타 학습법의 사용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Education Applying Havruta's Method on Communication Competency, Problem Solving Capabilit, and Self-Esteem of Nursing Students')

  • 김화영;나은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47-56
    • /
    • 2023
  • 본 연구는 하브루타 학습법의 사용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3학년 중 성인간호학 수업을 수강한 학생 9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2023학년 1학기 시작과 종료 시점에 2회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고, SPSS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하브루타 학습법을 사용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t=3.31, p=.001), 자아존중감(t=2.84, p=.019), 문제해결능력의 9개 하위요소에서도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의사소통능력(t=1.78, p=.079)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로 하브루타 학습법이 간호대학생의 역량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하브루타 학습법의 적용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며, 친구 가르치기와 문제 만들기 이외의 다양한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비대면 하브루타 활동을 적용한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 일개 대학 2학년 학생 대상으로 (The Effect of Classes Applying Non-face-to-face Havruta's Activities on Communication Competency,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Immersion in Nursing Students)

  • 이지혜;문숙자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7호
    • /
    • pp.79-88
    • /
    • 2022
  • 본 연구는 비대면 하브루타 활동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연구이다. 연구는 2021년 9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자료수집은 간호대학생 69명의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이용하여 분석되었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적 통계로, 비대면 하브루타 활동 전후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비대면 하브루타 활동 전에 비하여 후에 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이 유의하게 상승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비대면 하브루타 활동을 수업에 적용하고 싶은 교수자들에게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of Communication Ability by Havruta Teaching-Learning Method

  • Jae-Nam Kim;Seong-Eun Ch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0호
    • /
    • pp.197-205
    • /
    • 2023
  • 본 연구는 하브루타 교수-학습법을 대학생들의 전공 수업에 적용하여 의사소통 능력의 효과성 평가와 하위요인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의사소통 능력 점수는 하브루타 교수-학습 전·후에 따라 달라졌으며 하브루타 교수-학습 전보다 하브루타 교수-학습 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 효과는 직접 효과에서 해석 능력과 역할수행 능력의 목표설정 능력 간의 관계를 제외한 잠재 변수들 간의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에서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하브루타 교수-학습 방법은 창의력과 사고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또한 사회성 발달과 의사소통 능력은 물론 자신과 다른 의견들을 경험해보면서 문제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교수-학습법이라는 것을 재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호모마키나 시대에 걸맞은 철저한 학생중심 교수-학습법의 연구는 지속되어야 하고 교육현장에서의 적용이 반드시 실행되어야 될 것이다.

하브루타 학습법이 방사선과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및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Havruta Learning Method on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and Communication Skills of Radiology Students )

  • 나길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009-1015
    • /
    • 2023
  • 본 연구는 하브루타 학습법의 적용이 방사선과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및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된 단일군 사전-사후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는 2023년 5월 1일부터 6월 23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전라남도 1개 대학교 방사선과 2학년을 대상으로 방사선기기학을 수강하는 38명을 대상으로 6주 동안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을 사용하였으며,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측정변수에 대한 사전값과 사후값은 기술통계, 하브루타 학습법의 전과 후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하브루타 학습법은 학업적 자기효능감(t=-2.70, p<.001), 학업성취도(t=-2.87, p=.006), 의사소통능력(t=-2.76, p=.00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하브루타 학습법은 방사선과 대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및 의사소통능력을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학습법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하브루타 학습법의 확대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하브루타 기반 교수학습방법이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만족도,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Havruta-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n Nursing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Stress)

  • 장양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366-137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하브루타 기반 교수학습방법이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만족도,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사후설계로 간호학과 2학년 9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하브루타 기반 수업설계는 5단계이며 1단계는 사전학습단계, 2단계는 도입 및 전개단계, 3단계는 수업 내용의 조직화 단계, 4단계는 질문하고 가르치는 단계, 5단계는 정리 및 통합단계로 구성되어있다. 4주간의 하브루타 기반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으로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실험처치의 효과측정을 위한 종속변수의 검증은 paired t-test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하브루타 기반 교수학습방법의 적용이 학업적 자기효능감(t=-3.711, p<.000), 학습만족도(t=-2.580, p=.012), 학업스트레스에(t=6.500, p<.000)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하브루타 기반 교수학습방법은 대상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만족도를 높이고 학업스트레스를 낮추는 효과적인 교수법임이 확인되어 추후 다른 전공교과목에서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하브루타 수업이 고등학생의 지리학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avruta Class on High School Students' Geographical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 강은정;조철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20-436
    • /
    • 2017
  • 이 연구는 지리수업에 하브루타 학습방법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하브루타 수업을 적용한 후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리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등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하브루타를 적용한 지리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 및 참여도에 있어서 효과적이었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수업 이해도, 문제해결력 및 사고력 향상에도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은 활발한 대화와 질문을 통한 상호작용의 결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설명해 주는 하브루타 활동으로 지리수업에 대해 흥미를 느끼고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자세로 수업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하브루타 수업을 적용한 수업 이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변화를 통계처리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는 얻지 못했다. 이 연구는 4차시의 짧은 기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단원의 내용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으므로 하브루타를 적용한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단기간의 하브루타 수업이후 학업성취도의 효과를 기대하기보다 학습 태도와 같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NCS 기반 학습평가 사례: 전문대학 방사선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Examples of NCS-based Learning Assessment: For the College of Radiotechnology)

  • 박정규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407-414
    • /
    • 2019
  • 최근 NCS 교육기반으로 개편된 이후 NCS에서 요구하는 직업기초능력과 직무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학습방법이 모색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평가방법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 방사선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NCS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직무능력과 직업기초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평가 사례로 메타인지 학습과 하브루타 학습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적용한 결과, 메타인지 학습 대응 표본 통계량에서는 사전 메타인지학습 설문을 5점 척도로 했을 경우 평균 2.6883, 사후 메타인지 학습 설문 평균은 4.2468로 나타나 약 1.55점 향상되었다. 상관계수는 0.782, 유의확률은 0.045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하브루타 학습 대응 표본 통계량에서는 사전 하브루타 학습 설문을 5점 척도로 했을 경우 평균 3.1515, 사후 하브루타 학습 설문 평균은 4.3853으로 나타나 약 1.23점 향상되었다. 상관계수는 0.631, 유의확률은 0.049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메타인지 학습과 하브루타 학습이 상관관계가 있는지 이변량 상관계수를 통하여 알아 본 결과, 메타인지의 평균은 3.4675, 하브루타의 평균은 3.7684로 나타났으며 메타인지 학습과 하브루타 학습은 -0.042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방법은 교과목 특성을 고려하여 적용해야 할 것이다.

하브루타 교수법을 적용한 학교도서관 수업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pplying Havruta method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 for School Library)

  • 최은비;김예진;박지영;권선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7년도 제24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73-77
    • /
    • 2017
  •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함에 따라 창의적 인재 육성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의 수업방식에 변화를 주어 창의력 향상을 도모하는 하브루타가 각광받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정규 교육과정에 주어진 시수와 인력부족으로 인해 하브루타 모델을 적용하는 것이 쉽지는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에서 진행할 수 있는 하브루타 모델을 적용한 수업모형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