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프로젝트 교육

Search Result 88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Proposed Curriculum for the Basic Education of Video Image Design (영상 기초 교육 방법론에 관한 연구 - 단계별 프로젝트 중심의 영상 기초 교육과정 제시 -)

  • 원경아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1 no.1
    • /
    • pp.269-278
    • /
    • 1998
  •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video-film related industry, the need for establishing the education of the video image design is now rapidly growing in a variety of video art institutes. The video image design IS therefore being more classified and systematized than ever to maxImize its effectivity and facilitate its creativity. This paper is thus aimed to suggest the basic curriculum and project class schedule on the video image design which can be utilized in class activities.

  • PDF

A study on the direction of team project education based on new industry (신산업체 기반 팀 프로젝트 교육 방향에 관한 연구)

  • Sang-ju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223-224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코로나 19로 인한 환경의 변화는 팀 프로젝트 교육에도 많은 변화를 가지고 왔다. 개인적인 성향이 매우 강해졌고, 비대면 환경에 3년 가까이 노출된 학생들은 현재 대면을 통한 팀 프로젝트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그렇다면 현재 산업체 또한 비슷한 어려움이 있을 것인데, 산업체에서는 어떻게 극복하고 있는지, 신산업 분야의 산업체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팀 프로젝트의 실무실태를 파악하고 학생 교육에 필요한 프로세스 및 필요 조건 등을 분류하여 개선 방향 및 효과적인 적용 방법을 제시하여 수업의 질적 양적 향상에 기여 하고자 한다.

  • PDF

Java Programming Tutoring Contents Based on Projects (프로젝트 기반 자바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 개발)

  • 이은주;최영미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961-96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초보자를 위한 프로젝트 기반 자바 프로그래밍 교육 컨텐츠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특히, 컨텐츠 설계과정을 학생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항해설계, 정보설계, 표현설계로 체계화하였다. 구현한 컨텐츠는 학생들이 직접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과정을 PDLC 단계로 진행함으로써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대한 핵심 소프트웨어공학 기법을 자연스럽게 습득하고, 실습 과정에 라이브 코드의 제공은 프로그래밍 기본개념 이해 증진 및 다른 프로젝트로의 응용을 향상시킨다.

  • PDF

Analysis of learning effects of the problem based method and the project team teaching method in engineering education- A case study (공학교육에서 PBL 교수법과 Project-team 교수법의 학습효과 분석-사례연구)

  • Kim, Jae-Saeng;Hyun, Je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71-472
    • /
    • 2019
  • 많은 나양한 교수법들이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공학 교과목에서는 PBL교수법과 프로젝트 팀 교수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18년 2학기 공학 프로그래밍 교과목을 3개를 선정하여 PBL 교수법과 프로젝트팀 교수법을 적용하였고, 두 교수법의 학습만족도, 교육성장도, 학업성취도를 설문조사하여 학습효과를 분석하여 보았다. 그 결과는 저학년은 PBL법이, 고학년은 프로젝트 팀 교수법이 학습효과가 좋았다. 따라서 같은 프로그래밍 교육이지만 학년에 따라 교수법을 달리 선택할 필요가 있다.

  • PDF

The Development of the Web-Based Project Learning System Focusing on the Learner (학습자 중심의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 시스템 개발)

  • Lm, Byung-Min;Kim, Hyun-B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6 no.2
    • /
    • pp.131-140
    • /
    • 2002
  • In this study, we will explain the concept of an organized and collective web based project learning system and suggest a basic structure concentrating on the learners. The web-based project learning system enables learners to use the divers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ny where, any time. Also the project system aims to go beyond classroom education and achieve learner-focused education with a project based on the students' tastes.

  • PDF

A Study on the Practical Talent Training Method Based on Team Project Using CK-AR/VR PBL (CK-AR/VR PBL을 활용한 팀 프로젝트 기반의 실무형 인재 양성 교수법 연구)

  • Jung-S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449-452
    • /
    • 2023
  • 본 연구는 신산업분야 특화 선도전문대학 지원사업 연구를 통해 개발된 CK-AR/VR PBL 교수법을 팀 프로젝트 기반의 캡스톤디자인 정규 교과목 수업에 적용해봄으로써, 해당 교수법의 장점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CK-AR/VR PBL 교수법은 기존 PBL(문제중심수업) 교수법의 특징과 장점을 유지하고 AR/VR 게임콘텐츠 특성에 맞는 특징을 중심으로 구축된 교수법으로 15주 정규교과목 수업인 '취업과창업을위한차세대게임창작프로젝트(캡스톤디자인)' 수업과 '취업과창업을위한차세대게임 포스트프로덕션(캡스톤디자인)' 수업을 수강한 200여 명의 학생에게 적용하였고 장단점을 파악하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게임 개발 팀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운영 중인 교육 관계자들이나 앞으로 유사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준비 중인 교육 관계자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The Analysis of Features of Project Based Learning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 (스마트러닝 환경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전략 및 요인 분석)

  • Kim, Soohwan;Han, Seonk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7 no.3
    • /
    • pp.243-252
    • /
    • 2013
  • In this paper, we analyzed and suggested an educational strategy and features for project-based learning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 Smart learning environment is different of e-learning environment, therefore the educational strategy for smart learning is needed. In this paper, we conducted project-based learn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 and we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a normal project-based learning and a project based learning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 and suggested the educational strategy and the considerations through questionnaire, interview, and observation, Furthermore, we figured out factors that affecte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student. As a result, students thought that there is difference of smart project-based learning in some factors: technology and devices, software, and participation for learning. Also, we found main factors to affect educational satisfaction are two factors: technology and devices, and always-on.

The Development of Project-Based instructional Model for Promoting the creative convergent Competency (창의융합역량향상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 모형개발)

  • Kim, Youngmi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0 no.11
    • /
    • pp.2172-2180
    • /
    • 2016
  • As increasing the emphasis of competence-based learning, Project-base instruction is adopted more with frequency at the educational field.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the methodology of project-based instructional system. The first one is to manage the project independently not to link with any module. The second one is to link a project to a module. And the third one is to link a project to the more than two major modules. Also It suggests the tool for project based instruction. Before & after class conducting the inspection for increasing satisfaction of instruction by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improvement, the project base instruction shows the positive effect to promote the creative persona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e contentment of the class increases 7% more at the 2nd year than the 1st. As a result, it can derive the evaluation of the pupils' higher achievement rate.

Study on Improving of Creativity of Gifted Students using the Project-based Task (프로젝트 수행 활동을 통한 영재들의 창의성 신장에 대한 연구)

  • Yang, Hee-Sun;Hong, Jin-Gu;Shim, Kew-Cheol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8 no.1
    • /
    • pp.111-13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earning materials and teaching model for the gifted, and to examine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of them in middle schools. Subjects were 126 gifted students, who were the 7th or 8th graders and have been taught in gifted classes of the adjacent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of Boryeong Education Districts, Chungnam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Divisions of gifted Classes were logical reasoning, mathematics, foreign language, science. After the instruction of project-based task, gifted students had improved creativity. Especially, instruction using project-based task was more effective o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Most gifted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instruction using project-based task, and attractive in it.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the instruction using project-based task should be actively used for the gifted students.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in KMTNet Project

  • Byeon, Jae-Gyu;Baek, Chang Hyun;Lee, Dong-Joo;Kim, Seung-Lee;Oh, Seok-Kyu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1 no.1
    • /
    • pp.52.2-52.2
    • /
    • 2016
  • 해외의 대형 과학 연구 프로젝트에서는 연구 활동에 대한 대국민 홍보와 교육적 활용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제작하여 배포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연구 활동과 성과의 대국민 홍보 부족과 교육적 활용이 저조하여 과학 연구에 대한 대국민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천문학 연구에 대한 홍보와 일반인들의 이해 증진을 위하여 대형 천문학 연구에 대한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보급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발표에서는 2015년 구축이 완료된 KMTNet 연구 프로젝트의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 Apple iBooks Author를 활용한 e-book과 교육활동지 개발을 소개하고자 한다. 개발된 교육 콘텐츠를 배포하여 많은 국민들이 천문학 연구 및 성과에 대한 관심을 갖고 또한 천문학 연구 활동에 대한 올바른 인식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다른 대형 천문학 프로젝트들의 다양한 교육매체 개발 및 활용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천문학 대중화에 관심 있는 여러 사람들의 의견을 들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