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면항원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19초

인공 항원제시세포의 표면 분자의 특성 및 상호작용이 T 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perties and interactions of surface molecules in antigen presenting cells on T cell activation)

  • 민영실;강윤중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64-176
    • /
    • 2020
  • 인체 적응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데 중요한 항원 특이적 T 세포를 활용한 면역 세포 치료에서 T 세포를 체외에서 배양하고 클론 확장시키는 과정은 매우 섬세하고 복잡하여 조절하기가 쉽지 않아 T 세포의 활성화와 클론 확장을 유도하면서도 조절 및 취급이 용이한 인공 항원제시세포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인공 항원제시세포는 인체의 항원제시세포의 세포 표면 분자와 작용을 모방하게 되는데, 기본적인 신호 분자인 MHC-항원 복합체, 공동 자극 분자, 그리고 용해성 면역 조절 분자를 필수적으로 발현하여야 한다. 또한 T 세포가 항원과 접촉할 때, 이들 분자들이 잘 조직화되어 작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T 세포 활성화에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인공 항원제시세포 제작 방법과 세포 표면 분자들의 결합 방법과 물리적인 특성이 T 세포와의 상호작용에 중요함을 고찰하였으며, 효과적인 T 세포 활성화를 유도하며 면역세포치료에 적용 가능한 인공항원제세세포의 제작 방법을 살펴보았다.

일부 대학생의 B형간염 표면항원과 표면항체 양성률 (Sero-Prevalence of Hepatitis B Virus in University Students)

  • 나지현;조형민;정권태;최성우;박민정;손석준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1권3호
    • /
    • pp.245-253
    • /
    • 2006
  • 남학생 3,391명과 여학생 5,136명 총 8,52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2004년 조사결과 B형간염 표면항원 양성률은 2.7%이었으며 표면항체 양성률은 61.1%이었다. 성별로 표면항원 양성률은 남학생에서 3.3%, 여학생에서 2.3%로 남학생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 .05) 표면항체 양성률은 남학생에서 59.6%, 여학생에서 62.1%로 여학생에서 양성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 .05). 출생년도에 따른 B형간염 표면항원 양성률은 1980년 이전 출생군 3.8%에서 1986년 출생군 2.3%까지로 최근 출생군에서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일정한 양상은 보이지 않았다. 출생년도에 따른 B형간염 표면항체 양성률은 1980년 이전 출생군 38.7%에서 1984년 출생군 71.7%까지로 1983년 출생 이후군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일정한 양상은 보이지 않았다. B형간염 표면항원 양성자의 39.6%에서 e항원 양성률을 보였으며 비정상 간기능은 19.1%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적극적인 보건교육, B형간염 예방접종 등으로 인하여 B형간염 바이러스 감염의 유행지역으로 불리는 우리나라에서도 B형간염 표면항원 및 표면항체 양성률이 상당히 개선되었음을 보여주었다.

  • PDF

질편모충의 표면항원 분석 (Identification of surface antigen of Trichomonas vaginalis)

  • 민득영;임미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4호
    • /
    • pp.243-248
    • /
    • 1994
  • 질편모충 항원 분석의 일환으로 막항원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수확 세척된 질편모충 HY-l의 homogenate를 sucrose step-gradient를 이용하여 differential centrifugation하였으며 25%/45%의 sucrose 경계면으로녁터 막분회을 얻었다. 분리된 막분회은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를 통하여 순수 분리되었는지 확인하였고 효소면역 전기영동 이적법(EITB)을 이용하여 항원성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분리된 막분획은 투과전자 현미경상에서 extended sheet나 concentric vesicle의 형태가 거의 균질하게 분포하고 있었으며 막 분획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trilaminal appearance를 보여 질편모충의 막분획이 순수 분리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었다. 분리된 막분획은 EITB상에 토끼의 항혈청과 반응하였을 때 46, 60, 110, 120, 130 및 150 kfDa에서 항원성이 있는 반응대가 관찰되었으며 N-hydroxysuccinimido-biotic으로 표지하여 분리된 표면항원의 녁획과 비교하였을 때 60 KDa의 항원 분획이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60 kfDa 의 항원 분획은 료면 항원임을 확신할 수 있었다.

  • PDF

전자현미경 기법을 이용한 Herpes simplex 2형 바이러스 항원의 면역학적 분석 (Immunoelectron Microscopic Localization and Analysis of Herpes simplex Virus Type 2 Antigens)

  • 김천식;오명환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3-28
    • /
    • 2004
  • 단순포진 바이러스 감염을 유발하는Herpes simplex2형 바이러스의 감염에 관여하는 항원들과 중화항체 생산을 유발하는 주요 항원들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Vero cell에 감염하였을 때 48시간 동안 31, 43, 59, 69 kDa 바이러스 항원들이 지속적으로 발현되었으며, 감염된 쥐에서 생산한 항체와의 반응에서는 51 kDa 항원이 가장 강한 반응을 보였다. 면역전자현미경으로 위치를 확인한 결과 colloidal gold가 바이러스 표면에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이 항원이 바이러스 표면에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형광현미경 분석은 이 항원들이 감염된 세포 내에서 전반적으로 발견되었고 특히 세포 표면에서 많이 발현되고 있었다.

Pre-surface antigen 지역과 poly(A) addition site가 포함된 B형 간염 표면항원 유전자의 재조합 (Cloning of the Hepatitis B Surface Antigen Containing Pre-surface Antigen Region and Poly(A) Addition Site)

  • Kim, Sang-Hae;Kim, Yong-Sok;Park, Mee-Young;Park, Hyune-Mo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66-178
    • /
    • 1985
  • 한국형 B형 간염바이러스(HBV) DNA의 표면항원 유전자를 포유동물 세포에서 발현시켜 항원의 검출과 유전자의 분자유전학적인 연구를 하기 위하여 pre-surface antigen 지역과 표면항원 유전자 그리고 poly(A) addition site가 포함된 DNA 조각을 simian virus 40(SV 40)의 DNA 복제 원점과 promoter가 포함된 유전자 운반체에 재조함 시켰다. 우선, HBV DNA가 들어있는 pHBV 107을 Bam HI으로 부분절단한뒤 self-ligation시켜 두 HBV DNA가 같은 방향으로 들어간 pHBVD 107을 만들었다. 이 plasmid를 Bgl II로 절단하였을때 pre-surface지역과 표면항원 유전자 그리고 poly(A) addition site가 함께 포함된 2.7 kb의 insert DNA 조각을 얻었다. 유전자 운반체로는 포유동물세포에서 복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SV40의 DNA 복제 원점부위와 72 bp repeats(enhancer)가 포함된 pSVOE를 만든다음 이 vector의 Pvu II 절단자리에 Bam HI linker를 붙여 insert DNA가 vector의 SV40 late promoter지역 가까이에 들어갈 수 있도록 변형시킨 pSVOB를 만들었다. 이상과 같이 만들어진 pre-surface 지역-표면항원유전자-poly(A)-addition site가 포함된 2.7 kb DNA 절편을 pSVOB promoter 뒤의 Bam HI site에 삽입하여 재조합된 plasmid pSVBS를 얻었다. 예비실험으로 pSVBS를 T-antigen이 생산되는 COS cell에 이주시켰더니 $HB_sAg$가 발현됨을 보았다.

  • PDF

Biotin 표지법에 의한 질트리코모나스의 표면 항원 분리 (Identification of surface antigens of Trichomonas vaginalis)

  • 우남식;민득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1호
    • /
    • pp.37-42
    • /
    • 1993
  • 질트리코모나스(Trichomonasvqqin is)의 항원성 변이를 관찰하기 위해 원충의 표면 항원 (surface antigen)을 N-hydmwsuccinlmide-biotin(N반5-biotin)으로 표지 하고 표지된 표면 단백질과 토끼의 항혈청으로 면역침전(Immunoprecipitation; IP)시켰으며 sodium dodec낀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와 전기영동이적법을 시 행하였다. 살아있는 원충을 NHS-biotin으로 표지하여 표면 단백질을 분리하고 이를 질트리코모나스에 면역된 토끼 항혈청과 면역침전 시켰던 바 46, 60, 68, 90, 130 그리고 220 kDa에서 6개의 단백질이 항원성을 나타내었으며 질토리코모나스의 분리주인 HY-1, HV-15 및 ATCC 50148 주간에 차이는 없어 이들 6개 분획이 표면 항원성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재조합 효모 세포내에서의 간염백신 생산 (The Production of HBsAg in the Recombinant Yeast Cells)

  • Park, Cha-Yong;Lee, Hei-Cha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455-460
    • /
    • 1986
  • 간염 보균자의 혈액으로부터 Dane 입자를 분리하였다. Dane 입자의 핵으로부터 분리해낸 DNA는 $\alpha$-($^{32}$P) dNTP 존재하의 DNA 폴리머레이즈 반응 후 액체 씬틸레이션 카운터와 한천 전기영동 및 가이거 뮐러 카운터에 의하여 간염의 DNA임이 확인되었다.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을 막기 위한 백신으로서의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항원을 생산하기 위하여 산성포스파테이즈 프로모터를 갖는 재조합 프라스미드를 함유하는 효모균주를 사용하였다. 재조합 프라스미드는 pHBV 130 및 pAM 82로부터 제작되었으며 대장균에 변환되어진 후 효모균주에 전달되었다. 간염 표면항원은 조절된 무기 인산 농도하에서 버크홀더 최소배지에서의 저해 해제로 생산되었다. 간염 표면항원의 생산 속도도 조사하였다. 전체 간염 표면항원 활성은 인산이 없는 배지에 옮겨진 뒤 3시간 내지 6시간에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9시간째에 최대에 도달하였다. 인산이 없는 배지에 옮기는 것은 고농도 인산 배지에서의 세포 배양을 6시간동안 수행한 뒤에 하는 것이 최적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마우스와 기니픽에서 PDT-Hepa의 효능시험

  • 강경선;이영순;임윤규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4-140
    • /
    • 1991
  • B형 간염바이러스의 표면항원, 파상풍, 디프테리아균의 toxoid, 백일해의 혼합백신인 PDT-Hepa의 효능을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시험물질을 기니픽에 접종하였을 때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표면 항원과 파상풍 및 디프테리아균의 toxoid에 대한 항체형성이 뚜렷이 관찰되었으며, 항체형성의 정도는 접종용량에 비례하였다. 백일해의 경우는 시험물질을 마우스에 접종시킨 후 마우스에 감수성이 있는 Bordetella pertussis 18323주로 직접 공격 접종하여 이 균에 대한 방어력이 형성되어 있음을 관찰하였으며, 이러한 방어정도는 투여 용량에 비레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일부(一部) 도시(都市), 농촌(農村), 해안지역(海岸地域) 주민(住民)의 B형간염(型肝炎) 표면항원(表面抗原) 양성률(陽性率)에 관(關)한 비교연구(比較硏究) (A Study on the Positivity of HBsAg in Urban, Rural and Coastal Area)

  • 손석준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9권1호
    • /
    • pp.45-55
    • /
    • 1986
  • 우리나라에서는 국면 10%정도가 B형간염환자나 보균자로 추정되고 있으며 매년 신생아에 있어서의 발병률과 보균자 접촉에 의한 신환자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B형간염 바이러스 표면항원 검사 중 최근 널리 임상에서 이용되고 있는 역수신혈구응집법을 사용하며 일부 도시, 농촌, 해안지역 주민 2,849명을 대상으로 혈청내 간염 표면항원 양성률을 조사하여 연령별, 성별 역학적 인자와의 관계 및 세지역의 분포양상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대상 2,849명 중242명이 양성을 나타내어 간염 표면항원 양성률은 8.49%였으며 남자가 9.07%, 여자가 6.79%로 남녀의 성비는 1.34 : 1이었다. 2) 지역별로는 도시지역의 8.67%, 농촌지역 7.43% 해안지역 8.37%로 도시, 해안, 농촌지역의 순이었으나 지역별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성별로는 도시지역에서 남자 9.26%, 여자 6.44%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농촌, 해안지역에서는 남녀간에 비슷한 양성률을 보였다. 4) 연령별로는 도시에서 30대가 9.26%로 가장 높았으며 20대, 40대, 50대 순으로 나타났으며 농촌지역에서는 50대가 11.70%로 가장 높았고 해안지역에서는 30대와 40대에서 각각 10.94%로 가장 높았다. 전체적으로 남자에서는 20대, 30대, 40대 순으로 높고 연령이 증가하면서 감소하였고 여자에서는 50대에서 높은 양성률을 보였다. 5) 간염 표면항원 양성자 중 SGOT치가 정상보다 상승된 경우는 13.6%로 대부분 남자에서 나타났으며 음성자에서 상승된 경우인 3.4%보다 의의있게 높았다. 따라서 양성자의 대부분은 B형간염의 만성보균자, 급성바이러스 잠복기, 건강 보균자로 추정되었다.

  • PDF

Cryptosporidium parvum Sporozoites 에 감작된 Hybridomas 에서의 Monoclonal Antibody 생산 (Produc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by Hybridomas Sensitized to Sporozoites of Cryptosporidium parvum)

  • Cho, Myung-Hwa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94-498
    • /
    • 1989
  • AIDS 환자의 치명적인 2차 감염을 유발하는 Cryptosporidium parvum 의 Infective stage 인 sporozoites의 단일군 항체를 분리하였다. Oocysts를 효소처리하여 sporozoites를 excystation시킨 후 Isopycnic percoll gradients를 이용하여 sporozoites를 순수분리한 후 단일군 항체 생산을 위한 항원으로 사용하였다. 두 달된 BALB/c 쥐를 immunize한 후 splenocytes와 P3-X63-Ag8 myeloma cells를 융합시킨 후 hybridoma 기술을 이용해 Kor1(IgGl), Ea2(Ig2a) 두 clones을 분리하였으며 정제된 sporozoites를 SDS-PAGE로 분리한 후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단일군 항체 Kor1과 Ea2는 20,000 daltons 크기의 항원을 인식하였다. Immunofluorescent assay에서 단일군 항체가 sporozoites 표면에 반응하는 것으로 보아 20-kDa 단백질 항원은 sporozoites 표면에 위치하는 항원으로 밝혀졌으며 C. parvum에 감염되었을 때 항체생성에 관여하는 중요 항원 중 하나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