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폴리에틸렌

Search Result 1,10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폴리에틸렌의 가교반응에 미치는 삼관능성 단위체와 산화장지제의 영향 (Effect of Trifunctional Monomers and Antioxidants on the Crosslinking Reaction of Polyethylene)

  • Hyung Chick Pyun;Young Chul Lee;Kil Jeong Kim;Byung Mok Yoo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4권2호
    • /
    • pp.70-77
    • /
    • 1982
  • 전자선을 이용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가교시킬때의 삼관능성 단위체와 산화방지제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가교촉진제로서는 삼관능성 단량체인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TMPTA),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TMPTM)과 Triallyl cyanurate(TAC)가 사용되었고, 산화방지제로서는 Irganox 1010(Pentaerythritol-tetrakist[3-(3,5-di-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Santo-nox R(4,4'-Thio-bis(3-methyl-6-t-butylphenol)), Nocrac D(N-phenyl-$\beta$-naphthylamine)와 Bisphenol A(4,4'-Iso-propylidene bisphenol)가 사용되었다. 삼관능성 단위체중에서 TMPTA가 폴리에틸렌의 가교도를 제일 크게 높였으며 또한 산화안정성도 부여했다. 산화방지제중에서 Nocrac D가 폴리에틸렌에 가장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폴리에틸렌 왁스와 무수 말레인산의 그라프팅 중합 반응에서 용매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lvent on the Grafting Polymerization of Polyethylene Wax with Maleic anhydride)

  • 유시원;최중소;나재식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3권1호
    • /
    • pp.48-5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제조공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폴리에틸렌 왁스를 대상으로 무수말레인산을 그라프트 반응 시킬 때, 반응 용매가 가지는 성질의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측정결과, 자일렌이 톨루엔보다 우수한 모노머 용해성, 팽윤성, 혼화성을 가지며, 그라프트 반응을 더욱 촉진함을 알 수 있었고, 반응 용매의 함량에 따라서는 0 ~ 200% v/w영역에서 200% v/w 조건이 최대의 그라프트 율을 보이고, 그이상의 용매가 사용될 경우에는 그라프트 율이 다시 감소하다가 일정해짐을 확인하였다. 가교도 함량 값은 용매 존재 하에 거의 생성되지 않았으며, 용매가 용매분자로 사슬이동반응 시켜 가교반응을 방지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40^{\circ}C$에서 측정된 용융 점도 값은 폴리에틸렌 왁스에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 된 후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균일계 티타늄 촉매에 의한 폴리에틸렌 왁스의 제조 (Preparation of Polyethylene Wax Using Homogeneous Titanium-based Catalyst)

  • 최병렬
    • 공업화학
    • /
    • 제8권5호
    • /
    • pp.844-852
    • /
    • 1997
  • 균일계 티타늄 촉매를 이용한 결정성 폴리에틸렌 왁스의 중합에서 중합온도, 중합 시간, 공촉매, 수소분압, 공단량체 등의 중합인자가 촉매성능과 폴리에틸렌 왁스의 물성(분자량, 분자량 분포, 밀도, 결정화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C_2H_5)_3Al$, $(i-C_4H_9)_3Al$, $(C_2H_5)_2AlCl$, $(C_2H_5)_3Al_2Cl_3$을 사용하여 공촉매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C_2H_5)_3Al/(C_2H_5)_3Al_2Cl_3$의 혼합 공촉매계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중합시간, 중합온도, 수소분압은 촉매의 활성과 생성 폴리에틸렌 왁스의 물성에 영향을 주고, 이러한 중합인자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물성을 갖는 결정성 폴리에틸렌 왁스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부텐-1과의 공중합에 의해 0.91 g/cc까지의 저밀도형 왁스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폴리에틸렌 카누의 구조해석과 제조에 관한 연구 (Study on Structural Analysis and Manufacturing of Polyethylene Canoes)

  • 박찬균;김민건;조석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5권3호
    • /
    • pp.309-316
    • /
    • 2011
  • 일반적으로 카누는 목재나 FRP 등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기존의 재료에 비하여 염가이면서 친환경 재료를 선호한다. 특히, 선진국에서는 일부 선박에 대하여 FRP 선체 제조를 금지하는 법안을 발표하고 이에 따른 국제협약을 제정하였다. 폴리에틸렌은 식료품 용기나 의료용 용기로 널리 사용되는 재료로서 리사이클 가능한 재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카누 선체 재료로 폴리에틸렌으로 선정하였으며 선형설계는 상용 선형 설계 프로그램인 3D Boat Design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카누 구조하중은 우선 ANSYS CFX R12.1을 이용하여 선체에 작용되는 압력 분포를 구하고 이것을 ANSYS WORKBENCH R12.1로 넘겨 선체 압력 하중과 패들러 하중을 동시에 고려하였다. 카누 각 치수를 설계변수화하여 응력과 무게를 최소화하는 최적화 과정을 반응표면방법과 만족도 함수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개발된 카누는 운항시험에서 직진성이나 안정성은 우수하나 운반성과 선회성 및 속도는 보통인 것으로 판단된다.

열매유형 용융전기방사장치를 이용한 폴리에틸렌 혼합물의 용융점도와 섬유직경의 상관관계 연구 (Effects of Melt-viscosity of Polyethylene Mixtures on the Electrospun-fiber Diameter Using a Oil-circulating Melt-electrospinning Device)

  • 양희성;김효선;나종성;서영수
    • 폴리머
    • /
    • 제38권4호
    • /
    • pp.518-524
    • /
    • 2014
  • 용융전기방사법은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용액전기방사법에 비하여 친환경 기술로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용융전기방사법으로 제작된 섬유의 직경은 수 마이크론에서 수십 마이크론에 이르고 있어 그 응용성에 제한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체 제작한 용융전기방사 장비를 사용하여 용융점도에 따른 방사섬유의 직경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연구하였다. 장비가 허용하는 온도 범위에서 방사 가능한 용융점도를 갖도록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폴리에틸렌모노알콜과 폴리에틸렌 왁스를 혼합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 고분자 혼합물들을 사용하여 용융점도의 변화에 따라 수 마이크론에서 수십 마이크론까지의 크기를 가진 고른 표면의 섬유를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산화된 폴리에틸렌 왁스를 혼합물에 사용하여 고분자의 극성에 따른 직경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부가적으로 인가 전압과 방사 거리 등이 방사섬유의 직경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말토덱스트린 첨가에 의한 당근 절편의 탈수, 건조와 기존 건조 방법과의 비교 (Dehydration of Carrot Slice Using Polyethylene Glycol and Maltodextrin and Comparison with Other Drying Methods)

  • 김민기;김민희;유명식;송영복;서원준;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11-115
    • /
    • 2009
  • 폴리에틸렌글리콜과 말토덱스트린을 30, 50, 80% 농도로 처리하여 당근 절편을 건조한 후 동결건조와 열풍건조 처리된 시료와 복원율, 색도, 카로틴 함량, 관능평가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당근의 건조시간에 따른 탈수 양은 두 탈수제 모두 탈수제의 농도가 높을수록 최종 탈수되는 수분량이 많게 나타났으며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탈수 양이 말토덱스트린보다 많았다. 폴리에틸렌글리콜 처리 당근의 복원율과 카로틴 함량은 다른 건조 방법에 의한 시료보다 61, 67% 정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색도와 관능 평가에서는 두 탈수제 첨가 처리에 의한 건조방법이 동결건조와 열풍건조와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폴리에틸렌글리콜과 말토덱스트린을 이용한 당근의 건조는 시료의 영양 성분 손실 및 세포의 파괴를 최소화하고 신선한 시료 본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효율적인 건조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폴리에틸렌 플레저 보트의 구조설계에 관한 연구 (Study of Structural Design of Polyethylene Pleasure Boat)

  • 조석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6권12호
    • /
    • pp.1551-1561
    • /
    • 2012
  • 플레저 선박은 주로 FRP(Fiber reinforced plastic)를 주재료로 제작되고 있으나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 FRP 선체에 대한 환경오염 및 해양안전에 관한 법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즉, FRP는 재활용이 불가능하며 폐기시 자연에서 분해되는 데 100년이상 걸리는 매우 반환경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일반 선체 재료로서는 강, 알루미늄, FRP를 제안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구조설계규격 및 재료설계강도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소형 선박에 적합한 염가 재료에 대한 연구는 전혀 진행되지 않고 있으며 단지 소형조선산 업계에서 카누나 카약 선체를 폴리에틸렌을 이용하여 제작하여 판매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 밀도 폴리에틸렌을 이용하여 보트를 설계 및 제작하기 위하여 실적선을 기초로 선체의 선형을 완성한 뒤 ISO 12215-5의 소형 선체에 대한 구조설계기준을 적용하여 선체 치수를 결정하였다.

폴리에틸렌 코팅 가스배관의 광범위탐상을 위한 유도초음파 모드 선정 및 결함 검출 (Guided Wave Mode Selection and Flaw Detection for Long Range Inspection of Polyethylene Coated Steel Gas Pipes)

  • 송성진;박준수;신현재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06-414
    • /
    • 2001
  • 폴리에틸렌 코팅 가스배관의 결함탐상을 위해 광범위 비파괴탐상기법인 유도초음파를 적용하였다. 가스배관의 내경은 190.7mm, 두께는 5.3mm, 그리고 바깥 표면은 $1.9{\pm}0.5mm$의 폴리에틸렌 층으로 코팅되어 있다. 폴리에틸렌 코팅 배관의 외면에 0.5MHz 탐촉자와 가변각 웨지를 사용하여, 비축대칭 유도초음파를 가진 시켰다. 주파수와 위상속도 조정을 통하여 가스배관의 결함 탐상을 위한 적절한 모드를 찾아내고, 모드의 특성을 단시간 퓨리어 변환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함탐상 결과를 두께 손실 및 원통형 관통결함에 대한 인위결함에 대해 나타내었다. 그리고 가스배관에 인위적으로 삽입한 두께 손실과 원통형 관통결함에 대한 검출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친환경 저수조를 위한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저열성 콘크리트 합성재료 개발 (Material Development of Eco Water Tank with High Density Polyethylene and Low-temperature Concrete)

  • 장준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133-140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열 시멘트를 활용한 콘크리트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활용한 친환경 저수조를 평가하는 것이다. 친환경 저수조의 강도와 파괴모드를 평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복합체의 인장강도 시험, 다양한 종류의 콘크리트 수화열 실험, 다양한 혼화재를 활용한 수화열 실험 등을 수행하였다. 수행결과 전단키가 콘크리트와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복합체로 거동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규명하였고, ㄱ 타입의 전단키가 V 타입보다 40% 이상 인장강도를 증진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 새로운 친환경 저수조는 기존의 콘크리트 저수조보다 안전성을 개선시키며, 보다 적용성과 활용성이 많은 것으로 기대된다.

변성 폴리에틸렌의 제조 및 물성 : 2. 필름의 물성 및 열접착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Modified Polyethylenes: 2. Physical and Heat-Seal Properties of Films)

  • 이재흥;이상헌
    • 접착 및 계면
    • /
    • 제3권3호
    • /
    • pp.15-21
    • /
    • 2002
  • Poly(ethylene-co-methylacrylate)(PEMA)를 KOH, 암모니아 수용액과 반응시켜 측쇄에 -COOK, $-CONH_2$, -COOH를 갖는 변성 폴리에틸렌 수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수분산액을 캐스팅하여 필름으로 제조한 후 열적, 기계적, 열접착 특성을 조사하였다. 변성 폴리에틸렌 필름은 열이력에 따라 유리전이온도는 변화하지 않았으나 용융피크는 큰 변화가 관찰 되었다. 1차 가열 시 3개의 용융피크가 관찰되었으나 2차 가열 시에는 1개의 용융 피크가 관찰되었다. 아마이드 그룹의 함량을 증가시키면 인장 모듈러스가 증가하였으며 -COOK를 증가시키면 측기 중의 70 몰% 부근에서 최저의 인장강도를 나타내었다. 변성 폴리에틸렌 필름의 열접착은 폴리에틸렌 필름 보다 낮은 약 $80^{\circ}C$부터 가능하였으며 $90^{\circ}C$에서의 열접착 강도는 측기 중 약 70 몰% -COOK 농도에서 최저값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