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포도석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1초

거도광산 열수변질대의 광물상과 상평형 연구 (Mineral Phases and Phase Diagram of Hydrothermal Alteration Zone in Geodo Mine, Korea)

  • 최진범;김수진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9-63
    • /
    • 2003
  • 흔히 발견되지 않는 광물상들이 후기 열수변질광물로서 거도광산에서 관찰된다. 열수광물들은 스카른 광물들을 열수변질시키거나 공간충진 정출작용으로 산출된다. 즉, 투휘석, 석류석 및 장석들을 교대하여 녹니석과 포도석, 일라이트 및 펌펠리아이트 등을 산출하거나 열극이나 정동에서 정출한 것으로 포도석, 펌펠리아이트, 클리노조이사이트, 일라이트 및 Ca-불석(스틸바이트와 스텔러라이트) 등이 있다. 이들 열수광물들에 대해 X-선 회절분석,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및 전자현미분석을 통해 광물상과 산출상태 등이 상세히 규명되었다. 후기 공간충진 열수광물들을 대상으로 슈라이네마크 작도법에 의한 상평형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등온-등압 $\mu$$H_2O$-$\mu$$CO_2$상평형도를 작도하였다. 그 결과 초기에 정출된 포도석, 펌펠리아이트, 클리노조이사이트, 일라이트 및 녹니석은 비교적높은 $CO_2$분압과 낮은 $H_2$O 분압 하에서 먼저 정출되었으며, 그 후 $H_2$O 분압이 증가하면서 일라이트와 수반되어 스틸바이트와 방해석이 정출되었다.

포도에 발생하는 장님노린재(노린재목, 장님노린재과)의 종류, 피해 및 기주식물 (Mirid Bugs (Heteroptera: Miridae) on Grapevine: Their Damages and Host Plants)

  • 이승환;이관석;고현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3-41
    • /
    • 2002
  • 포도의 장님노린재 피해조사 결과 전국 159개 조사포장 가운데 113개의 포장에서 피해가 확인되었으며(발생포장율 71%), 산간지 등 격리된 소규모 재배지보다는 김포, 안성, 나주, 김천. 부여. 대전, 예산 등 포도 집단재배지에서 피해가 심했고. 1999년의 경우 심한 포장의 피해순율이 나주에서 85%, 김포에서 65%에 달했다. 포도나무의 생육초기에 발생하는 장님노린재의 종류로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초록장님노린재, 명아주장님노린재가 확인되었으며, 이중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가 다른 종보다 채집개체수에서 월등히 많았다.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와 초록장님노린재는 거의 전국적으로 발생이 확인되었으며, 기주식물로는 애무늬장님노린재의 경우 포도, 살구나무, 벚나무 등 10종이 확인되었으며, 초록장님노린재는 더위지기, 쑥 등 10종이 확인되었다.

천연 항산화제로서 포도씨 분말 첨가가 육용계의 성장 및 항산화 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Ground Grape Seed on Growth Performance and Antioxidant Status in the Intestine and Liver in Broiler Chickens)

  • 장인석;고영현;강선영;문양수;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8
    • /
    • 2007
  • 본 연구는 포도씨 분말 첨가 사료가 육계의 성장, 사료 이용성 및 체 조직내 항산화 효소 및 관련 생화학 지표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전체 50수 3일령 육계를 2주간 예비 실험 기간을 거친 다음 각 군당 10수씩 선발하여 대조구 및 포도씨 분말 1% 첨가구 등 2개 구를 설정하여 3주간 사양 시험을 실시하고 혈액 생화학 성분 및 체조직의 항산화 지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육계 사료내 1% 수준의 포도씨 분말 첨가는 체중, 일당 증체량, 사료 섭취량, 사료 요구율 및 장기 무게 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혈액내 total antioxidant status(TAS)는 포도씨 첨가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으며, 혈중 생화학적 성분과 조직 손상을 나타내는 AST, ALT, LDH 등의 수준은 모든 구에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3. 포도씨 분말 첨가는 소장 점막 세포내 SOD 활성도를 유의적으로(P<0.05) 증가시켰다. 그러나 간 조직내 GSHPx, SOD, GST 등과 같은 항산화 효소, 환원형 glutathione 및 지질 과산화(MDA) 수준은 대조구 및 포도씨 분말 급여구간에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천연 항산화제로서 포도씨 분말 1% 첨가 사료는 성장 및 사료 이용성에 특이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혈액내 TAS 및 소장내 SOD활성도를 현저히 증가시키므로 육계에서 천연 항산화원으로서의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충북지역 포도원 잡초방제별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ield and the Grape Growth each of Weed Control Methods on at the Vineyard in Chungbuk Province)

  • 이기열;김선국;이재웅;이윤상;이석호;홍의연;박용석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0-26
    • /
    • 2013
  • 본 시험은 충북지역 포도원 잡초방제별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2010년부터 2011년까지 포도연구소(충북 옥천군 청성면 산계리 소재)에서 3년생 캠벨얼리가 구당 2주가 식재된 포도원에서 18개 구획(구획당 가로 3.5 m, 세로 5.5 m)에서 수행되었다. 제초제처리구는(Glufosinate ammonium SL 18.0%, Paraquat dichloride SL 23.1%)를 각각 3회 살포, 부직포 피복구, 들묵새 초생재배구, 기계제초구(3회), 무처리구로 포도의 생육 및 수량 및 7~8월 우점잡초와 처리별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잡초는 총 16종으로 생육초기인 5월 하순경에는 명아주, 크로버가 우점하였고, 생육중기인 7월 중순에는 망초, 피, 명아주가 우점하였으며 생육후기에도 망초, 피, 명아주가 우점하였다. 3차 방제 후 10일차 방제효과는 부직포 100%, 들묵새 95.3%, 기계제초 81.9%, glufosinate ammonium 가 98.1%, paraquat dichloride 처리가 90.4%로 나타났다. 캠벨얼리의 생육은 주간경, 절간장, 절간경, 엽장, 엽폭 그리고 신초장을 개화전과 수확 후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제초제 처리구와 기계제초구에서 전반적으로 생육이 좋았다. 수량은 1주당 glufosinate ammonium, paraquat dichloride 3회 처리구에서 각각 12.7 kg, 12.3 kg로 다른 처리구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녹차, 메밀, 포도잎 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급여 흰쥐의 지질대사, TBARS 및 혈액응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een Tea, Buckwheat and Grape Leaves Extracts on Lipid Metabolism, Antioxidative Capacity, and Antithrombotic Activity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s)

  • 김영언;오세욱;권은경;한대석;김인호;이창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79-98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Sprague Dawley 종 수컷 흰쥐에게 콜레스테롤이 1% 함유된 사료를 급여하여 고지혈증을 유발시키면서 녹차추출물, 메밀추출물, 포도잎추출물 추출물을 500 mg/kg B.W.의 농도로 4주간 매일 같은 시각에 경구투여하여 흰쥐의 혈액과 간장 내의 지질조성과 혈액응고기전 및 체내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군에서 식이섭취량과 체중증가량 및 식이효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실험식이가 정상적인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녹차추출물투여군은 고콜레스테롤 급여 대조군에 비해서 흰쥐의 꼬리에서의 출혈시간을 증가시켜서 항혈전효과가 있었다. 고콜레스테롤 급여로 인해 흰쥐에게 고지혈증이 유발되었으며 실험 시료를 경구투여하는데 따른 혈액중의 지질대사 개선효과는 없었다. 고콜레스테롤 급여로 흰쥐의 간장은 비대해지고 간장내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함량도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녹차추출물, 메밀추출물, 포도잎추출물은 간장 내 총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켜 간장 내 지질대사의 개선효과가 있었다. 고콜레스테롤의 급여는 혈장 내의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을 증가시키며 포도잎추출물은 체내 지질과산화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간에서는 메밀과 포도잎추출물이 지질과산화를 억제하였다.

녹차, 메밀 및 포도잎 추출물 첨가식이가 동맥경화유발식이를 급여한 F1B Golden Syrian 햄스터의 지질대사와 대동맥의 지방 축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s Included Green Tea, Buckwheat and Grape Leaf Extract on Lipid Metabolism and on Regression of Fatty Streak Lesions in F1B Golden Syrian Hamsters Fed the Atherogenic Diet)

  • 김영언;권은경;오세욱;한대석;김인호;이창호;이호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62-969
    • /
    • 2005
  • 7주령의 F1B golden Syrian 햄스터에게 동맥경화 유발식이에 녹차추출물, 메밀추출물 및 포도잎 추출물을 함유한 타블렛 제품을 각각 5%와 10%로 첨가하여 7주간 사육하였을 때 햄스터 체내의 지질성분과 대동맥 내에서의 지방의 축적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녹차, 메밀, 포도잎 추출물을 함유한 타블렛 제품은 동맥경화유발식이를 섭취하는 햄스터의 혈중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치를 감소시켰고, 대동맥궁내에서의 지방의 축적을 예방하였고, 간장내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를 첨가한 군보다 10%를 첨가한 군에서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어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녹차, 메밀 및 포도잎 추출물 분말을 이용하여 식이 보조제의 형태로 개발한 타블렛 제품이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식품으로써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과수류의 농약사용 실태조사 (Survey of Pesticide Usage on Fruits in Korea)

  • 임양빈;김경선;경기성;김남숙;하헌영;이희동;오경석;김정원;류갑희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58-263
    • /
    • 2003
  • 국내 과수용 농약에 대한 농가사용실태를 파악하여 농산물의 안전성과 농약관리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국내 주요 과수류인 사과, 감률, 포도, 복숭아, 배, 감 등 6종의 과수를 대상으로 재배면적별 35지역 150농가를 선정하여 국내 과수재배 환경중 농약의 사용량을 조사 분석하였다. 과수용 농약의 년간 살포 회수는 배가 15.2회로 가장 많았고, 감은 7회로 가장 적었다. 단위면적당 농약사용량은 감률 39.5, 사과 22.1, 배 21.5, 복숭아 11.9, 감 10.8, 포도 6.7 a.i. kg/ha이었으며, 사과, 감률, 포도, 감의 사용량은 1999년도 사용량 다 약간 감소하였다. 주요 사용농약은 살균제는 mancozeb, propineb, dithianon 등, 살충제는 fenitrothion, chlorpyrifos, methidathion 등이었다. 조사대상 과수 6종에 사용된 농약의 총 주성분량을 계산한 결과는 2,834.7 M/T으로 2002년도 원예용 농약 출하량 대비 18.3%를 차지하였다. 또한, 국내 과수별 단위면적당 농 약사용량을 2001년도 미국의 농약사용량과 비교한 결과 사과는 22.la.i. kg/ha로 한국이 많았으나 감률 등 나머지 작물에서는 미국의 사용량이 많은 편이었다. 본 시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농약의 위해성 감소, 농업환경 보존 및 농약관리를 위해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S-2 system을 이용한 황색포도구균에 대한 moxalactam과 fosfomycin의 병용효과 측정 (Efficiency of Combined Action of Moxalactam and Fosfomycin Determined by MS-2 System Against Pen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 박찬석;안태휴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81-385
    • /
    • 1986
  • Twenty strains of penicillin(PC)-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IC{\geqq}32U/ml$) were chosen randomly from recent isolates and submitted to the present experiment to see what effect the combined antibiotic action of moxalactam(MX) and fosfomycin(FM) would bring about on the cells, using MS-2 system. 1. The conventional agar dilution method and the rapid automatic MS-2 system were used in measuring the MICs of MX and FM against each strain and the comparison of the data obtained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hods in the titer and distribution of the MICs. 2. The automatic MS-2 system was, therefore, used alone in determining the combined growth inhibitory effect of MX and FM because of its more rapidness, and the obtained results were that most of the PC-resistant strains(16 out of 20, 80%) were synergistically inhibited by the two antibiotic combination while additive effect was observed in the remaining 4 strains(20%). 3. Thus, it is suggested that the growth of PC-resistant staphylococcal cells may be synergistically inhibited by MX and FM combination and the efficiency of two antibiotic action as well as MIC of single antibiotic may be more rapidly determined by the MS-2 system than by the conventional method.

  • PDF

분리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MF10003의 빵반죽 발효 팽창력 (Leavening Ability of the Isolate Saccharomyces cerevisiae MF10003 in Bakery Dough)

  • 오정석;민응기;안창현;한영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22-227
    • /
    • 2013
  • 건포도 발효 배양액으로부터 이산화탄소 생성능이 우수한 효모를 분리하였다. 분리 효모는 18S rDNA ITS 유전자 상동성을 비교하여 Saccharomyces cerevisiae로 동정하고 Saccharomyces cerevisiae MF10003로 명명하였다. 분리 효모 S. cerevisiae MF10003은 풍미 발생 야생효모인 S. ellipsoideus KCTC7243에 비하여 각각 1.9배 및 3.1배 우수한 이산화탄소 생성능 및 dough 발효 팽창능을 나타냈었다. 분리 효모는 glucose, fructose, sucrose, maltose를 기질로 하여 4시간 이내에 이산화탄소 발생력을 보여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