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행

Search Result 1,81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Teaching Perpendicularity and Parallelity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초등학교 수학에서 수직과 평행의 지도 방안 탐색)

  • Kim, Jeong Won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23 no.4
    • /
    • pp.481-506
    • /
    • 2019
  • Perpendicularity and parallelity are important concepts in Mathematics as well as real-life contexts. However, those concepts are rather reduced in 2015 revised curriculum compared to previous 2009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firstly analyzed teaching method related to perpendicularity and parallelity in a series of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 Singapore and Japan. Moreover, the unit of perpendicularity and parallel was redesigned in a way to understand the concepts meaningfully and to giv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xplore how to make perpendicular and parallel lines. The results showed that noticeable changes has been as the curriculum was revised in Korea. Also, three countries showed some differences in concepts definition and learning activit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how to teach perpendicularity and parallelity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PDF

Regular Polyprism Parallel Coordinate Plot as a Statistical Graphics Tool (통계적 그래픽스 도구로서의 정다각기둥평행좌표그림)

  • Jang, Dae-Heung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1 no.4
    • /
    • pp.695-704
    • /
    • 2008
  • The parallel coordinate plot is a graphical data analysis technique for plotting multivariate data. The parallel coordinate plot overcomes the visualization problem of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for dimensions greater than 4. But, using different ordering of coordinate axes in the parallel coordinate plot of the same data may make different interpretations. Hence, we can use the regular polyprism parallel coordinate plot as an alternative for overcoming the variable arrangement problem of the parallel coordinate plot.

통계적 그래픽스 도구로서의 정다각기둥평행좌표그림

  • Jang, Dae-H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75-180
    • /
    • 2005
  • 탐색적자료분석을 위한 도구로서 그래픽 방법들을 자주 쓰게 되는 데 이러한 그래픽 방법 중 평행좌표그림을 대상으로 이 방법을 확장하여 볼 수 있다. 이러한 확장된 그림인 정다각기둥평행좌표그림은 탐색적자료분석 도구로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 PDF

Study on a Folded Diple Antenna parallel to Conductive Pole (도전성지주에 평행한 포울디드.다이폴안테나에 관하여)

  • 박정기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 /
    • v.5 no.4
    • /
    • pp.9-19
    • /
    • 1968
  • In this paper, I introduced the theoretical formulas for calcuating the input impedance of a folded dipole antenna which is held in parallel with the conductive supporter. Through the comparision of the above impedance formulas with the imput impedance formulas of a half wave dipole antenna which is parallel to the conductive supporter, it was found that the former can be made in identically same form as the latter, if some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equivalent conditions mentioned above are derived also and the manufacturing of a vertically polarized omni-drectional antenna is apossible by the use of above equivalent conditions, because a half wave dipole antenna in parallel with a conductive supporter is already illustrated to become an omni-directional vertical polarization antenna. Some experimental data are shown together.

  • PDF

Stiffness and Load Matrix for Finite Parallelogrammic Plate Bending Element (평행사변형 유한요소의 강성 매트릭스와 하중 매트릭스)

  • 조병완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1989.04a
    • /
    • pp.28-32
    • /
    • 1989
  • In the recent years, parallelogrammic shape structures were often introduced in the Civil Engineering. Especially parallelogrammic shape highway slabs, which were used in the portions of Interstate-75, U.S.A., were a unique one to result in only one wheel crossing the joint at any one time. In this reserch, major efforts were made to provide an appropriate subroutine program and to study an analytical behavior of paralleloqrammic plate bending element by developing the stiffness and load matrices.

  • PDF

Vergence Control Method of a Parallel-axis Stereo Camera (평행축 스테레오 카메라에서의 주시각 제어 방법)

  • 이광순;김형남;허남호;안충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2.11a
    • /
    • pp.297-301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신호처리를 이용한 평행축 입체 카메라의 주시각 제어 방법을 제시한다. 평행축 입체 카메라는 양안식 입체 카메라 중 가장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좌, 우 영상센서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어, 물체의 거리 변화에 따른 입체 영상 시차 조절 기능인 주시각 제어 기능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영상 센서 (CCD) 와 렌즈를 분리하고 영상 센서가 평행하게 수평으로 움직이며 주시각을 제어하도록 하는 수평 이동축 입체 카메라는 평행축 입체 카메라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지만, 실제 구현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시각 제어를 위한 CCD의 이동은 실제 영상에서 피사체의 이동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평행축 입체 카메라로 얻은 영상에서, CCD의 이동으로 인해 사라지는 부분만큼 제거하고 영상의 수평 수직 방향에서 원래 영상의 크기로 복원하기 위해 보간하는 과정을 통해 주시각 제어를 구현한다. 제안된 방법을 통해 얻어진 실험 결과는 CCD의 이동량에 따라서 화질의 열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남을 보여 주지만, 실제 시스템에서 CCD의 이동량은 크지 알기 때문에 화질 열화를 거의 느끼지 않으면서 주시각이 제어된 입체 영상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arallel Beam Optic for X-ray (엑스선용 평행빔 광학소자 개발 및 평가)

  • Park, Byunghun;Cho, Hyungwook;Chon, Kwons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6 no.6
    • /
    • pp.477-481
    • /
    • 2012
  • An X-ray diffractometer which has various X-ray optics can giv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formation for a sample using a nondestructive analysis method. A parallel beam optic passes the parallel beam and removes divergent beam generated from an X-ray tube. The parallel beam optic used in the X-ray diffractometer was fabricated by wire cut and grading of stainless steel plates and was evaluated its performance using an X-ray imaging system. The measured parallelization of 6.6 mrad for the fabricated the parallel beam optic was a very close to the expected value of 6 mrad. An X-ray imaging technique for evaluating the parallel beam optics can estimate parallelization for each plate and can be used to other X-ray optics.

Key-factors in the Modified Parallel Type to Convert Toed-in Type Stereoscopy (수렴타입의 스테레오 영상 획득방법을 모사하는 변형평행타입에서의 주요인자의 정의)

  • Lee, Kwang-Hoon;Kim, Dong-Wook;Kim, Sung-Kyu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9 no.4
    • /
    • pp.276-286
    • /
    • 2008
  • The representative alignments for taking a stereo image by using a stereoscopic camera are the toed-in and the parallel alignment. In this paper, we tried to find important factors in the process that captures the stereo image by modifying parallel type 3D camera alignment to take the same object information as, for instance, when toed-in type was used. The modified parallel type 3D camera has merits in both types. As a result, three important factors are found by simulation to be inter-camera distance, field of view and convergence angle for both types. And the change of the convergence angle is known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at the stereo fusible area in processing. The effective ranges of these factors to simulate perfectly toed-in type by modified parallel type are strongly dependent on a user's circumstances such as mobile, official, theater and so on. Additionally, the error of the simulation is reduced when the focal length of the stereo camera is short and the convergence angle becomes smaller.

평행평판형이온함을 이용한 전자선 흡수선량결정에 대한 연구

  • Ra, Jeong-Eun;Seo, Tae-Seok;Sin, Dong-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Conference
    • /
    • 2004.11a
    • /
    • pp.149-152
    • /
    • 2004
  • 물 흡수선량 표준에 토대를 두고 있는 프로토콜에서는 저에너지 전자선의 경우 평행평판형이온함의 사용과 기준 선질 $^{60}$CO 감마선의 물 흡수선량 교정정수를 받은 원통형이온함을 사용하여 고에너지 전자선에서 평행평판형이온함을 교차교정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원자력기구의 프로토콜(IAEA TRS-398)에서 권고하고 있는 절차에 따라 저에너지 전자선에 대한 원통형이온함의 선질보정정수를 계산하고, 원통형이온함과 평행평판형이온함의 교정방법에 따른 흡수선량을 상호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전자선에너지 10 MeV 이상에서는 두 이온함간의 선량이 잘 일치하였으나 전자선에너지 6, 9 MeV에서 최대 3.3%까지 선량 차이를 보여 저에너지 전자선에서는 반드시 평형판판형이온함의 사용하여 선량측정 할 것을 권고한다. 교정방법 차이에 의한 평행평판형이온함의 선량은 서로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표준기관에서 직접 교정받은 $^{60}$Co 감마선의 물 흡수선량교정정수를 사용하여 전자선 물 흡수선량을 결정해도 큰 영향은 없을 듯하다. 또한 평행평판형이온함을 교차 교정하기 위한 전자선 에너지에 따른 흡수선량을 상호 비교한 결과 20MeV이외 12, 16 MeV의 전자선 에너지에서도 잘 일치하여 교차교정을 위한 전자선의 기준 선질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 PDF

Science Technology - '신비한 TV 서프라이즈'는 놀랍지 않다?

  • Choe, Won-Seok
    • TTA Journal
    • /
    • s.141
    • /
    • pp.22-23
    • /
    • 2012
  • 영화 <평행이론 (2010)>은 인기 TV프로그램인 <신비한 TV 서프라이즈>를 통해 알려진 '평행이론'이라는 독특한 소재를 다루고 있다. 평행이론은 다른 시대를 살고 있지만 같은 운명을 지닌 사람들이 존재한다는 것으로 대표적인 것이 '에이브러햄 링컨과 존 F. 케네디'이다. 두 사람은 저격으로 사망한 미국 대통령이라는 것 외에도 많은 공통점이 발견되면서 도저히 우연의 일치라고 보기 어려운 초자연적인 운명이 존재한다는 평행이론의 예로 많이 거론된다. 이와 같이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는 도저히 일어날 것 같지 않은 수많은 일들이 우리 주변에서 벌어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사람들의 흥미를 끌고 있다. 그렇다면 세상에는 왜 이렇게 납득하기 어려운 일들이 많이 발생하는 것일까?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