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평행

검색결과 1,815건 처리시간 0.028초

초등학교 수학에서 수직과 평행의 지도 방안 탐색 (A Study on Teaching Perpendicularity and Parallelity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김정원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81-506
    • /
    • 2019
  • 수학의 기본 개념인 수직과 평행은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 이전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 비하여 축소되어 제시된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에서 수직과 평행 개념의 지도 방안을 탐색하기 위하여 한국의 2009 개정 및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그에 따른 교과서에서 수직과 평행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고, 한국과 싱가포르, 일본 교과서에서 수직과 평행 개념의 지도 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교과서 분석을 바탕으로 4학년 2학기 4. 사각형 단원에서 다루어지는 수직과 평행 수업을 재구성하여 실행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로 변화할 때 단원명 및 차시 구성의 차이가 있었으며, 한국과 싱가포르, 일본 교과서는 수직과 평행의 개념 정의 및 활동 내용에서 차이를 드러냈다. 수업의 계획 및 실행에서는 수직과 평행 개념의 의미를 이해하고, 수선 및 평행선 긋는 방법을 탐색하며, 실생활과의 연관성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초등학교 수학에서 수직과 평행을 의미 있게 지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통계적 그래픽스 도구로서의 정다각기둥평행좌표그림 (Regular Polyprism Parallel Coordinate Plot as a Statistical Graphics Tool)

  • 장대흥
    • 응용통계연구
    • /
    • 제21권4호
    • /
    • pp.695-704
    • /
    • 2008
  • 평행좌표그림은 다변량자료를 시각화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평행좌표그림은 4차원 이상의 직각좌표계 표시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그림이다. 그러나 변수 축의 배열에 따라 같은 자료에 대하여도 다른 해석이 가능하다. 변수 선택 문제를 해결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서 우리는 정다각기둥평행좌표그림을 제안할 수 있다.

통계적 그래픽스 도구로서의 정다각기둥평행좌표그림

  • 장대흥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5-180
    • /
    • 2005
  • 탐색적자료분석을 위한 도구로서 그래픽 방법들을 자주 쓰게 되는 데 이러한 그래픽 방법 중 평행좌표그림을 대상으로 이 방법을 확장하여 볼 수 있다. 이러한 확장된 그림인 정다각기둥평행좌표그림은 탐색적자료분석 도구로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 PDF

도전성지주에 평행한 포울디드.다이폴안테나에 관하여 (Study on a Folded Diple Antenna parallel to Conductive Pole)

  • 박정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9-19
    • /
    • 1968
  • 길이 3/2λ의 도전성지주에 좁은 간격으로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를 평행하게 놓았을때(앞으로 이와같은 경우를 평행 2선식 안테나계라 함)의 급전임피이던스와, 같은 지주에 역시 좁은 간격으로 포울디드 다이폴 안테나를 평행하게 놓고 포울디드 다이폴 안테나의 급전단이 아닌쪽의 중점과 도전성지주의 중점 사이를 지주에 수직한 도체로 연결한 경우(앞으로 이와같은 경우를 평행 3선식 안테나계라 부름)의 급전임피이던스의 이론식을 각각 구하였다. 위의 두 식의 비교에서 급전임피이던스의 값이 평행 2선식 안테나계의 4배가 되기는 하지만 똑같은 꼴의 급전임피이던스를 갖는, 즉, 평행 2선식 안테나계와 똑같은 모양의 방사를 하는 평행 3선식 안테나계를 얻는데 필요한 조건을 유도했다. 위의 평행 2선식에 등가한 평행 3선식 안테나계로 수직편파전방향성 안테나계를 실현할 수 있다는 것에 착목하여 도체주에 포울디드 다이폴 안테나 1단을 취부하였을 때의 급전임피이던스를 측정고찰하였다.

  • PDF

평행사변형 유한요소의 강성 매트릭스와 하중 매트릭스 (Stiffness and Load Matrix for Finite Parallelogrammic Plate Bending Element)

  • 조병완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1989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8-32
    • /
    • 1989
  • 최근에 건설된 여러 토목구조물에서 평행사변형 모양으로 이루어진 구조 요소들이 점차 생겨나고있다. 특히 미국의 일부 I-75 고속도로에서 쓰여진 평행사변형 모양의 슬라브구조나 지형학적 또는 구조역학적인 이유로 인한 고량의 평행사변형 모양 슬라브는 하중의 편심재하로 인한 구조역학의 정확한 해석의 필요성을 야기시켰다. 이에 본 연구는 유한요소법에 의한 평행사변형 요소의 강성매트릭스와 하중매트릭스를 유도하여 평행사변 유한요소를 해석할수있는 구조해석용 서브루틴 프로그램(Subroutine Program)을 만들고 특히 경사 죠인트를 가진 도로구조 해석용 쇼프트웨어(Software)를 만드는데 목적이있다.

  • PDF

평행축 스테레오 카메라에서의 주시각 제어 방법 (Vergence Control Method of a Parallel-axis Stereo Camera)

  • 이광순;김형남;허남호;안충현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2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 /
    • pp.297-301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신호처리를 이용한 평행축 입체 카메라의 주시각 제어 방법을 제시한다. 평행축 입체 카메라는 양안식 입체 카메라 중 가장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좌, 우 영상센서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어, 물체의 거리 변화에 따른 입체 영상 시차 조절 기능인 주시각 제어 기능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영상 센서 (CCD) 와 렌즈를 분리하고 영상 센서가 평행하게 수평으로 움직이며 주시각을 제어하도록 하는 수평 이동축 입체 카메라는 평행축 입체 카메라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지만, 실제 구현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시각 제어를 위한 CCD의 이동은 실제 영상에서 피사체의 이동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평행축 입체 카메라로 얻은 영상에서, CCD의 이동으로 인해 사라지는 부분만큼 제거하고 영상의 수평 수직 방향에서 원래 영상의 크기로 복원하기 위해 보간하는 과정을 통해 주시각 제어를 구현한다. 제안된 방법을 통해 얻어진 실험 결과는 CCD의 이동량에 따라서 화질의 열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남을 보여 주지만, 실제 시스템에서 CCD의 이동량은 크지 알기 때문에 화질 열화를 거의 느끼지 않으면서 주시각이 제어된 입체 영상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엑스선용 평행빔 광학소자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arallel Beam Optic for X-ray)

  • 박병훈;조형욱;천권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477-481
    • /
    • 2012
  • 엑스선 회절분석기는 비파괴적인 방법으로 시료의 정보를 정성 및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엑스선 회절분석기에는 다양한 광학소자가 사용된다. 평행빔 광학소자는 광축에 평행한 빔을 통과시키고 발산하는 빔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와이어 컷 제작과 스테인리스 스틸 평판을 연마하여 평행빔 광학소자를 제작하였고 엑스선 영상장치를 이용하여 그 평행도를 평가하였다. 설계된 6 mrad과 매우 가까운 6.6 mrad의 평행도를 갖는 평행빔 광학소자를 제작하였다. 엑스선 영상을 이용하면 개개의 평판의 평행도를 예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광학소자 평가에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수렴타입의 스테레오 영상 획득방법을 모사하는 변형평행타입에서의 주요인자의 정의 (Key-factors in the Modified Parallel Type to Convert Toed-in Type Stereoscopy)

  • 이광훈;김동욱;김성규
    • 한국광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6-286
    • /
    • 2008
  • 스테레오 카메라를 사용하여 입체영상을 획득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수렴 및 평행방식이 있다. 본 연구는 수렴 및 평행타입의 장점을 갖추고 자연스런 입체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평행타입 기반의 변형평행타입 입체영상 획득 방법을 사용하여 수렴방식의 입체영상 획득방법을 모사할 수 있는 인자들의 추출 및 정량적 분석을 통하여 중요 핵심인자를 정의하였다. 결과적으로 변형평행 타입에서 수렴타입을 모사할 수 있는 인자들은 스테레오 카메라의 간격, 화각 및 수렴각이고, 융합영역 내에서의 핵심인자는 수렴각의 변화이다. 결론적으로 변형평행타입으로 수렴타입을 완벽히 모사할 수 있는 인자들의 정량적 범위는 사용환경에 따라 다르며, 초점길이가 짧을 수록, 수렴각이 작을수록 근거리 물체에 대한 수렴타입과 변형평행타입의 영상좌표의 오차량은 적다.

평행평판형이온함을 이용한 전자선 흡수선량결정에 대한 연구

  • 라정은;서태석;신동오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2004년도 제29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49-152
    • /
    • 2004
  • 물 흡수선량 표준에 토대를 두고 있는 프로토콜에서는 저에너지 전자선의 경우 평행평판형이온함의 사용과 기준 선질 $^{60}$CO 감마선의 물 흡수선량 교정정수를 받은 원통형이온함을 사용하여 고에너지 전자선에서 평행평판형이온함을 교차교정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원자력기구의 프로토콜(IAEA TRS-398)에서 권고하고 있는 절차에 따라 저에너지 전자선에 대한 원통형이온함의 선질보정정수를 계산하고, 원통형이온함과 평행평판형이온함의 교정방법에 따른 흡수선량을 상호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전자선에너지 10 MeV 이상에서는 두 이온함간의 선량이 잘 일치하였으나 전자선에너지 6, 9 MeV에서 최대 3.3%까지 선량 차이를 보여 저에너지 전자선에서는 반드시 평형판판형이온함의 사용하여 선량측정 할 것을 권고한다. 교정방법 차이에 의한 평행평판형이온함의 선량은 서로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표준기관에서 직접 교정받은 $^{60}$Co 감마선의 물 흡수선량교정정수를 사용하여 전자선 물 흡수선량을 결정해도 큰 영향은 없을 듯하다. 또한 평행평판형이온함을 교차 교정하기 위한 전자선 에너지에 따른 흡수선량을 상호 비교한 결과 20MeV이외 12, 16 MeV의 전자선 에너지에서도 잘 일치하여 교차교정을 위한 전자선의 기준 선질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 PDF

Science Technology - '신비한 TV 서프라이즈'는 놀랍지 않다?

  • 최원석
    • TTA 저널
    • /
    • 통권141호
    • /
    • pp.22-23
    • /
    • 2012
  • 영화 <평행이론 (2010)>은 인기 TV프로그램인 <신비한 TV 서프라이즈>를 통해 알려진 '평행이론'이라는 독특한 소재를 다루고 있다. 평행이론은 다른 시대를 살고 있지만 같은 운명을 지닌 사람들이 존재한다는 것으로 대표적인 것이 '에이브러햄 링컨과 존 F. 케네디'이다. 두 사람은 저격으로 사망한 미국 대통령이라는 것 외에도 많은 공통점이 발견되면서 도저히 우연의 일치라고 보기 어려운 초자연적인 운명이 존재한다는 평행이론의 예로 많이 거론된다. 이와 같이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는 도저히 일어날 것 같지 않은 수많은 일들이 우리 주변에서 벌어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사람들의 흥미를 끌고 있다. 그렇다면 세상에는 왜 이렇게 납득하기 어려운 일들이 많이 발생하는 것일까?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