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평면디자인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31초

두뇌활용영역에 따른 디자인 사고 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Design Thinking Type based on Brain Conjugation Area)

  • 석재혁;한정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355-36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사고 과정에서 디자이너의 시각적 표현도구 중 하나인 '에스키스(esquisse)'를 분석하였다. 결과물 이미지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F.G.I를 통해 M, N, O, P, Q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Ned Herrmann의 두뇌 4분할 이론에 근거한 두뇌선호도검사(HBDI)를 통해 두뇌활용영역의 선호유형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5가지 에스키스 유형과 이에 따른 두뇌유형의 비교 대조분석을 통해 상관관계를 찾아내어 디자인 사고 유형을 정의하였다. 구조적인 좌뇌형(M), 감성적인 변연계형(N), 시각적인 우뇌형(O), 평면표현을 선호하는 우뇌형(P), 텍스트표현을 선호하는 우뇌형(Q)의 5가지 디자인 사고 유형을 통해 디자이너의 다양한 성향과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며, 또한 두뇌의 결핍영역을 보완시켜 창의적인 결과물을 도출해낼 방법을 찾아내는 연구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가상 공간 개념 스케치를 위한 음향 반향을 포함하는 새로운 곡선 모델링 도구 (A New Curve Modeling Tool with the Acoustic Reflection for the Virtual Spatial Conceptual Sketch)

  • 최상민;김학수;채영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81-28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공간 스케치에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깊이 입력 오차를 줄이는 효과적인 공간 입력을 구현하기 위해 깊이 값 인지를 도와주는 한 면 혹은 두 면의 가상 음향 반향판을 통한 새로운 상호작용 기술을 소개하고, 다양한 실험을 통해 음향 반향판을 가진 가상의 벽이 현실적인 가상 개념 디자인을 위한 효과적인 피드백으로 사용된 것을 보여 준다. 제안된 아이디어를 이용하여 깊이 값이 일정한 평면에서는 한 면 가상 음향 반향판의 피드백을 이용하여 모델과의 일치도를 약 35% 높일 수 있었고, 기울어진 평면에서는 두면 반향을 이용하여 한 면에 비해 악 4%의 일치도를 증가시킬 수 있었으며, 곡면 꽃병에서는 약 15%의 일치도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

  • PDF

센서네트워크에서 평면 그리드 기반의 키 선 분배 기법 (Plat-Based Key Pre-Distribution Scheme in Sensor Network)

  • 맹영재;;이경희;양대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5C권1호
    • /
    • pp.1-8
    • /
    • 2008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센서 노드의 제한된 자원이 보안 기법을 디자인 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적은 자원을 요구하는 보안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대칭키 암호는 키 선 분배를 필요로 하지만 요구하는 연산 량이 적기 때문에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보안 연구로 주목받고 있다. 키 선 분배는 전체 네트워크의 통신채널 보안을 위해서 노드를 배치하기 전에 키 또는 키의 재료를 각 노드에 할당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 졌지만 연결성과 탄력성은 아직 풀어야할 과제로 남아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연결성 향상과 높은 탄력성을 제공하면서도 적은 자원을 요구하는 그리드 기반의 키 선 분배 기법을 보인다. 제안하는 기법은 평면 기반의 그리드를 이용하여 다항식을 할당하고 키를 생성한다. 제안하는 기법과 다른 키 선 분배 기법들의 네트워크 연결성, 자원의 사용량, 보안성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제안하는 기법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서울과 상해 소형아파트의 평면구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Small-Sized Apartment Plan Composition in Seoul and Shanghai)

  • 박수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173-180
    • /
    • 2014
  • Dwelling connotes characteristics like social and cultural and technical climatic conditions, lifestyles and demands of regions, and especially, apartment, as one of dwelling types, shows various aspects of modern society. With the economic development centering on large cities, apartments have been established as universal housing forms in Seoul and Shanghai. The deepening of economic development in cities has increased small households consisting of one or two persons by affecting the population and household structure, and they've become information consumer groups. This has also influenced the size of apartment and increased the demand for small-sized housing. If the floor area is small, it is possible to use space widely according to the plan composition, so there is a need for floor planning to understand natural environment, physical environment and residents.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plan compositions of small-sized apartments which have been parceled out for the recent three years in Seoul and Shanghai.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using cultures and users in the two countries depending on natural environments, living habits and spatial functions by analyzing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of public spaces like living room, dining room and kitchen, and private spaces like bedroom which have absolute effects on room arrangement and traffic lin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rom the perspective of natural environments, in Seoul, two-sided open cross-ventilation structure where is favorable to lighting and ventilation, occupied the biggest proportion of public space, while in Shanghai, most public spaces had lighting and ventilation structures through windows in each room. In Seoul, 3R type occupied the largest proportion of private space(87.7%), and privacy was maintained and space scale was adjusted using spaces with diverse functions such as bathroom in the couple bedroom, dress room and powder room and variable walls. But 2R type occupied the largest proportion of private space(60.2%) in Shanghai, and they emphasized private space and privacy of each room depending on major living habits. In conclusion, this study for comparing and analyzing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of small-sized apartment plan compositions in Seoul and Shanghai will provide proper guidelines for small-sized apartments to be built in Seoul and Shanghai in the future, if strong points and weak points of plan compositions in the two countries will be additionally analyzed and remedied.

AR 디스플레이 연결을 통한 감각시각화에 대한 표현 검토 (Study on the Expression of Sensory Visualization through AR Display Connection - Focusing on Eye Tracking)

  • 마소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357-363
    • /
    • 2024
  • AR 디스플레이 가상기술이 대중 학습 생활에 광범위하게 들어오면서 현실과 가상이 연결을 하는 디자인 전달 방식도 변화하고 있다. 본 논문은 평면의 시각적방향 감각 정보 시각화 경험을 통하여 3D 연결 감각 정보 시각화 경험과 가상 현실적 증강 사이의 표현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AR 디스플레이 대한 고찰과 평면 시각화 사례의 현재 적용과 비교하여 기본 설정하는 방법을 조사하여 분석된다. AR 디스플레이 연결 디자인에서 제스처 연결, 안구추적, 음성 연결 및 센서의 4가지 범주에서 안구 추적 기술을 중심으로 감각 시각화와의 관계를 통해 사용자가 더 나은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 논문의 범위이다. AR 디스플레이 상호작용에 대한 고찰과 평면 시각화 사례의 현재 적용 및 비교 분석 과정을 통해 AR 디스플레이 상호작용을 통한 안구 추적 기술을 중심으로 감각 시각화의 요소 시각 도형의 기하학적 일관성, 빛과 색상의 일관성, 다감각 상호작용 방식의 조합, 합리적인 내용의 표시, 스마트 푸시는 가상현실에서의 감각 시각화를 보다 사실적이고 편리하게 표현하여 수용자에게 간단하고 편리한 감각 시각화 경험을 제공하였다.

아파트 실내 이미지 선호와 성격유형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partment Interior Image Preference ana Personality Types.)

  • 이종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229-240
    • /
    • 2003
  • 주거공간의 질적 만족도 향상과 거주자의 다양하고 개성있는 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계획된 이 연구는 개인주택과는 달리 다수의 불 특정인을 대상으로 디자인되어야 하므로 다양한 평면계획을 세리 건설하기보다는 보편적인 디자인으로 계획할 수밖에 없는 공동주택(아파트)의 한계점을 극복해 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를 위하여 조사대상자 360명을 선정하였고, 실 거주자의 선호도를 파악했던 선행연구에 의해 검증된 아파트 실내이미지 유형과 MBTI라고 하는 성격유형검사와 연계하여, 조사대상자의 성격유형에 따라 실내이미지 선호가 달라지는가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거주자가 요구하는 실내공간의 이미지 특성 및 이에 따른 각종제품에 대한 선호를 예측, 공급할 수 있게 하여, 아파트에서 살기를 원하는 거주자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V음악쇼 LED모션그래픽 조형이미지 구성 연구 (A Study on LED Motion Graphic Formative Image on TV Music Show)

  • 오호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823-834
    • /
    • 2015
  • 본 연구는 TV음악쇼 프로그램에서 가수 등의 공연자를 중심으로 배경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LED백드롭(backdrop)의 모션그래픽 이미지 조형구성을 분석하였다. 모션그래픽 LED 화면은 평면조형으로 구성되는데, 백드롭의 배경으로써의 기능이 공감각과 시각요소의 감성전달이라는 목표가 있는 것이므로, 감성전달 요소가 되는 컬러와 모션 방향과 속도에 대한 감성적 개념을 분석하였다. 감성전달 요소 중 그래픽 조형에 대한 분석으로는, 이를 이루는 형의 종류와 응용요소를 구분하고 그러한 요소들이 음악 곡의 전개인 인트로, 벌스, 브릿지, 코러스 부분에서 어떠한 모션 패턴과 배치가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남성과 여성 공연자의 배경으로써 어떠한 디자인 특징이 있는지 연구하였다. 사례연구로, 모션그래픽 배경이미지 디자인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지상파TV 3사의 청소년 대상 음악 순위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곡 전개에 따라 주로 디자인 되는 조형의 종류와 모션 패턴 그리고 모션 배치 유형을 도출하였다.

원가기반의 공동주택 마감재 정보관리 방안 연구 (A Cost-Based Interior Information Management for an Apartment Housing Project)

  • 이훈구;이윤선;문혁;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76-84
    • /
    • 2009
  • 최근 장기간에 걸친 주택경기 침체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에 의한 정적재고 증가, 수요자의 주거선호 변화 등으로 인해 차별화의 개념이 주택시장에서 경쟁우위 확보의 주요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동일한 단위 평면 안에서 마감재 디자인 요소의 차별화에 의해 수많은 마감재 정보가 발생되고 고급화된 사양 선택으로 인하여 공동주택 단위 세대 내부의 마감 원가가 상향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행 마감재 설계 단계의 프로세스를 대상으로 마감재 설계 및 대안 선정 시 발생되는 원가관리 측면에서의 문제점과 대규모 공동주택 건설 시 대량으로 발생하는 디자인정보, 원가정보, 작업정보 관리 측면에서 마감재 정보관리 문제점을 도출하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마감재 설계 및 대안 선정 시 원가관리와 정보를 관리 할 수 있도록 마감재의 디자인, 원가, 작업 정보를 통합하였다. 또한 프로젝트 원가관리 요소별 개선을 통해 원가기반의 마감재 정보 관리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플로팅건축의 유형 및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rchitectural Type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Floating Architecture)

  • 박성신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07-414
    • /
    • 2011
  • 플로팅건축물은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의 상승, 소득 증대 및 관광행태 변화에 따라 급증한 해양 레포츠 수요에 대응하는 효과적인 건축물이다. 국내 플로팅건축은 이미 전문회사들이 등장한 유럽과 비교하여 초보적인 도입기 이다. 플로팅건축은 프로그램, 형태, 건축규모, 층수, 위치, 접근방법, 이동성, 에너지 자립도 등 8가지 기준에 따라 유형 구분이 가능하다. 또한 시공된 주거시설을 대상으로 분석 한 결과 플로팅건축의 디자인 특성은 (1) 2층 규모, (2) 면적 비율이 높은 데크, (3) 장방형의 균형감 있는 매스, (4) 조망 극대화, (5) 친수공간 확보, (6) 공간의 통합적 사용 및 합리적 면적 배분의 평면계획, (7) 수면 반사를 고려한 단면계획, (8) 모듈화 및 유닛화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국내 펜트하우스(하늘채)의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에 위치한 펜트하우스의 평면 계획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enthouse Apartmaent Planning in Korea - Focus on the case analysis of penthouse in Seoul -)

  • 최광민;허범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172-181
    • /
    • 2011
  • Many of penthouse apartments began to be built and distributed in Korea from the 2000s. However, we have a transformed definition from the international concept of penthouse. It seems that the penthouse apartments in Korea have a confined definition as a luxury and privileged house-we often find it out from advertisements of newly built apartments. In this thesis, therefore, it needs to make a clear and substantial definition of penthouse. And on the base of this definit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planes of penthouse apartments which are distributed recently. It is in order to find out positive aspects of penthouse apartments and to make practical application of this analysis. The process of this study for plane-planning is as follows. Firstly, it is investigated and analyzed that external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plane-planning such as locations and types of penthouse apartments. Secondly, an interior of penthouse apartments are divided into a private, public and outward area. And properties of each area through this research show the way of division and arrangement of plane. Thirdly, methods of connection between spaces is analyzed on the base of results of research for the way of partition. Finally, specific characters of penthouse apartments planning is derived from synthesis of research. In conclusion, analysis of plane-planning of penthouse apartments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majority of penthouse apartments is arranged to small portions of households and on higher stories in apartment which is situated around Han River or public parks. These external factors influence the plane-planning in both the interior and exterior way. For the exterior planning in space, it becomes important to design bays as many as possible in contact with outside in order to satisfy demands for fine prospects. It is also important to plan extra places naturally such as a terrace in order to provide virtual grounding. In the interior planning, a large size of interior induces to develop space for linking between each area, such as corridors or extra rooms. This makes it possible that the private area is linked to each other, at the same time it has its own distinctiveness according to its u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