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가 준거

검색결과 324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형 질분만만족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Scale for Measuring Maternal Satisfaction in Normal Birth)

  • 김선희;이유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366-38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질분만을 한 여성의 만족을 측정하기 위해 질분만만족 측정도구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한국형 질분만만족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한국형 질분만만족 측정도구는 205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평가하였고, 준거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해 분만경험지각을 측정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6요인, 23문항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좋은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보였고, 요인간 상관관계는 0.11~0.57이었다. 한국형 질분만만족 측정도구는 분만경험지각 측정도구와 좋은 동시타당도를 나타냈다. 전체 문항의 내적일관성 신뢰도인 Cronbach alpha는 .91, 하부요인은 .80에서 .90 사이였다. 따라서 한국형 질분만만족 측정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정된 도구이므로 산후 2, 3일째 병원에서 산모의 질분만만족 평가에 사용할 수 있다.

지능형 자켓 디자인을 위한 사용성 요인 추출 (Identification of Usability Elements for Designing Intelligent Jackets)

  • 육형민;전명훈;이희승;성지하;황신웅;노윤진;손영우
    • 감성과학
    • /
    • 제6권3호
    • /
    • pp.89-99
    • /
    • 2003
  • 본 연구는 착용성, 이동성, 주변 맥락과의 지속적인 관계 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자켓을 디자인 할 때 사용성에 대한 기준을 제시해주기 위한 선행 연구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사용자 관점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이러한 논리의 타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능형 자켓은 기존의 컴퓨터 인터페이스와는 차별화 되므로 사용성 평가시 그 범주를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사용자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인터뷰 참가자 집단은 도전감(challenge)이라는 준거로 신기술을 받아들이는 혁신성, 이를 받아들이는 태도에 따라 얼리 어댑터 (early adapter)와 래가드(laggard)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각각의 그룹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능형 자켓의 사용성 평가 요소는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얼리 어댑터의 경우 컴퓨터의 연장선상에서 기능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래가드의 경우 옷의 연장선상에서 디자인, 심리적 부담 요소를 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NCS기반 국가기술자격 용접기능장 실기평가 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in evaluation method of practical skill test of national technique qualification of Master Craftsman Welding based on NCS)

  • 정상철;최성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96-600
    • /
    • 2016
  • 본 논문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국가기술자격검정의 용접분야 실기시험 평가방법 개선을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에 대한 내용을 기술한 것이다. 현행 용접기능장의 실기시험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후 최신 용접기술 동향을 반영하고 국가직무능력표준의 능력단위, 수행준거 등을 적용하여 용접기능장 실기시험의 새로운 평가방법을 제시하였고, 자문회의 및 시범평가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향후 한국산업인력공단 기술자격출제실에서는 본 연구를 기초로 세부직무분야 전문가를 통한 출제 기준 개정을 완료 한 후 용접기능장 국가기술자격검정에 실제 적용할 예정이다.

초·중등 SW교육의 평가요소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factors for SW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박주연;김종혜;김석희;이현숙;김수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47-59
    • /
    • 2017
  • SW교육의 목적은 컴퓨팅 사고력을 가진 창의 융합 인재양성에 있다. SW교육 내용과 방법은 다양하여 획일적인 평가로는 학생들이 배운 내용에 대한 적합한 평가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학습 내용에 맞는 적합한 평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 SW교육의 핵심적인 내용이 무엇인지 기준이 될 평가요소가 개발된다면 현장에서 SW교육 평가가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 중등학교에서의 SW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평가요소를 개발하여, 학교 현장에서 SW교육의 평가내용 및 평가방법을 개발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FGI를 통한 현장적합성 검토, 전문가 협의,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적 영역의 평가요소는 Computational Materials & Outputs(CMO), Computational Concepts(CC), Computational Practices(CP)의 세 영역, 17개의 키워드로, 정의적 영역의 평가요소는 가치, 태도, 컴퓨팅 사고력 효능감, 흥미의 네 영역, 13개 세부영역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SW교육 평가요소는 교육 현장에서 실행될 SW교육 내용에 맞는 평가내용을 개발하기 위한 준거틀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초등학교 자연과 포트폴리오 평가(Portfolio Assessment)의 구성 요소 (The Components of Portfolio Assessment for Korean Elementary Science Classroom)

  • 김찬종;김혜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33-243
    • /
    • 1998
  • 과학교육자들은 지필 중심 평가에 대해서 많은 우려를 하여 왔다. 수행평가는 전통적인 평가의 훌륭한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수행평가의 하나인 포트폴리오 평가는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과 자기 학습에 대한 책임감을 높이는 바람직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나 실제 적용 사례는 매우 드물다. 포트폴리오 평가의 특성과 구조를 문헌 조사를 통하여 탐색하였다. 적절한 포트폴리오 평가의 형태와 구성 요소를 설계하였다. 우리 나라 초등 과학 수업에는 포트폴리오 평가를 위한 학습 목표는 일반 목표와 구체 목표를 내용의 특성에 따라 사용할 필요가 있다. 포트폴리오 평가를 위한 학생들의 증거는 교실에 교재의 부족과 재생 시설의 미비 때문에 제한적인 형태률 가진다. 학생들의 증거는 상당 부분이 교실에서 수업 중에 작성하는 것이 학습 부담을 줄일 수 있어서 좋다. 평가 준거는 학급당 학생수가 많기 때문에 분석적인 것보다는 전체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트폴리오 평가는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 많은 변화를 일으킬 것이다. 학생들은 과학 학습에 보다 주도적인 자세를 갖게 되고 교사들은 주요 교수 목표에 집중하고, 학생들의 바람직한 학습에 더 많은 관심을 둘 것이다. 포트폴리오 평가가 학생과 교사에게 더 많은 업무 부담을 요구하지만, 학교 과학 시간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PDF

수행평가 과정을 통해서 본 지리교사의 실천적 지식 (Practical Knowledge of Geography Teacher in Process of Performance Assessment)

  • 마경묵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96-120
    • /
    • 2007
  • 이 연구는 수행평가 장면에서 교사의 평가를 이끈 실천적 지식이 무엇인지를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본 것이다. 교실 수업에서 교사의 교수행위는 자신의 독특한 창작물이며 전문가로서 교사의 모든 역량과 지식이 표출되는 활동이다. 여기서 교사가 어떤 내용의 지식을 어떤 상황인식 하에서 어떤 방식으로 무엇을 이용해서 가르칠 것인가 등의 교사의 판단을 이끄는 지식, 즉 교사가 교실에서 수행하는 행위의 실천을 유도하는 지식을 실천적 지식이라고 할 수 있다. 교사의 수업을 바로 읽는데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것이다. 일반적인 교수-학습 활동과 마찬가지로 수업 상황 중에 평가가 이루어지고 학생들의 학습의 증진을 목표로 하는 수행평가 역시 평가 목표 설정, 평가 장면 구성, 평가 도구 개발, 평가 준거 개발, 평정 활동 등 모든 교사의 활동 역시 직전교육, 현장의 교수 경험, 일상에서의 경험, 연수 등을 통해 형성된 암묵적 지식인 실천적 지식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루어진다. 이 연구는 고등학교 지리교사의 사례 연구를 통해서 그 교사의 평가를 이끈 실천적 지식의 구조를 이미지, 원리, 규칙의 측면에서 파악해 보았다. 연구의 결과 드러난 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교사의 모든 의사결정 과정에서 어떤 방향을 잡아주는 안내자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런 관점에서 교사의 평가 행위를 봄으로써 교실에서 벌어지는 과정중심평가가 이루어지는 실제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록 평가의 표준화 - ISO 15489 개정판에서의 평가 원리 및 절차 분석 - (The Standardization on the Appraisal of Records: Analysis of the Appraisal Principles and Process in ISO 15489-1:2016)

  • 김명훈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5-68
    • /
    • 2018
  • 최근 ISO 15489 개정판에서는 기록의 평가에 관한 표준화를 시도하였다. 어떠한 기록이 중요하며 어떠한 방식으로 선별할지는 국가 및 지역, 조직마다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그동안 표준화된 원칙 및 방법론 적용이 어려웠고, 이러한 이유로 인해 평가를 둘러싸고 수많은 이론 및 방법론이 제기되어 왔다. 하지만 ISO 15489 개정판에서는 평가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기반으로 최근의 기록생산 환경에서 전 세계적으로 적용 가능한 평가의 표준화 기반을 마련하였다. ISO 15489는 레코드 컨티뉴엄 이론을 기초로 전자기록 환경에 부합하는 기록관리의 원칙 및 방법론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ISO 15489 개정판에서 제시하는 평가 원리 및 방식은 심층적으로 분석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최근의 전자기록 환경에 부합하는 평가 상의 개선방향 모색을 위한 일환으로, ISO 15489 개정판에서 제시하는 평가의 개념 및 논리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ISO 15489 개정판의 평가 논리가 도출된 배경 파악을 위해, AS 4390의 제정부터 ISO 5489 개정작업이 이루어지게 된 연원을 고찰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ISO 15489 개정판에서 제시하는 평가 개념 및 논리를 고찰한 후, 중요기록 선별의 전제가 되는 평가의 준거 및 절차를 분석하였다.

한의학교육평가인증 내적타당화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Internal Validity of Korean Medicine Education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 이형주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
    • 제1권2호
    • /
    • pp.31-47
    • /
    • 2021
  • 본 연구는 제2주기 한의과대학 평가인증기준을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과정에서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요구되는 한의학교육의 지표는 무엇인지 고찰하고, 한의학교육계에 지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6인의 한의과대학 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전문가 3인에게 내용타당도 검증 및 공청회를 거쳐 제2주기 평가인증기준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제언을 둔다. 첫째, 한의학교육기관의 지원을 고려해야 한다. 한의학교육기관은 각 기관명의 한방병원을 운영하고 있다. 병상 수와 학교의 지원을 고려하여 평가준거를 고려해야 한다. 둘째, 2주기 평가 당시 평가위원은 6인 모두 한의학과 교수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나, 향후 평가위원의 한 모둠당 1인은 외부 교육과정 및 평가전문가로 구성하여 교육에 초점을 둔 평가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프로그램 및 기관 평가인증기준을 개발 단계부터 교육과정 및 평가전문가 포함될 필요가 있다. 넷째, 한의학대학 교육과정 개발진으로 교육과정 전문가가 포함되어 구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한의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다.

배움·성장 평가를 위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학업성취도 평가 실태 (The real state of the learning achievement assessment of the basic curriculum of the special education for referring learning and growing of children)

  • 신서영;박창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7호
    • /
    • pp.69-78
    • /
    • 2017
  • 본 연구는 개개인의 배움과 성장을 지향하는 개별화교육의 관점에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의 학업성취도 평가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정책 지원 방안을 논의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기본교육과정을 적용하는 B광역시 특수학교 교사 129명이었으며, 측정은 특수교육 학업성취도 평가 도구와 관련된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FGI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태분석 결과, 평가의 계획, 준거, 방법, 시기에 있어서 개개인의 배움과 성장을 평가하기 위해 특수교사들은 상세하고 면밀한 질적 접근을 하고 있었고, 교육과정의 연장선상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평가결과를 안내하고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측정도구 각 영역의 하위요소에 대한 인식은 교사의 성별, 연령별, 경력별, 학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로 차이를 보였다. 실태분석 결과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성취기준 작성 및 평가 체제의 자율성 확대, 학업성취도 평가 영역 및 체제의 개선, 교사의 배경변인별 특성에 부합하는 평가역량강화 지원체제 수립 등을 정책적 지원 방안으로 제언하였다.

제품디자인에 대한 사용자의 심리적 반응프로세스모델구축에 관한 연구

  • 이진렬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423-432
    • /
    • 2003
  • 본 연구는 제품디자인에 대한 사용자의 심리적 반응프로세스을 모형화하고 있다. 제품디자인 자체의 심미성요소에는 형태, 구조, 질감 및 색채 등이 있으며 사용자는 1차 적으로 이러한 디자인요소를 평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1차적 심미성 요소는 절대적인 가치를 갖기보다는 제품이 처한 상황, 개인적 요소 및 환경적 요소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즉, 동일한 디자인이라 할 지라도, 가격수준, 브랜드 및 마케팅 프로그램과 같은 제품의 상황적 요소, 기호, 관여도, 개성, 라이프스타일, 인구통계변수와 같은 사용자의 개인적 요소 및 문화, 하위문화, 사회계층, 준거집단 및 가족과 같은 환경적 요소에 따라 사용자의 디자인에 대한 평가는 달라지게 된다. 사용자가 디자인을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대한 이해는 사용자에게 좋은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디자인창출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하며 또한 사용자중심디자인과 디자인마케팅의 기본적인 출발점이기도 하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다양한 세부요소들에 대한 탐색과 각 요소 및 사용자의 반응과의 구체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