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평가에 대한 인식

검색결과 3,832건 처리시간 0.03초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경험에 따른 평가인증제에 대한 인식비교 -2차 평가인증지표를 중심으로-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the Accreditation System Based on Accreditation Experience -Focused on the Second Accreditation Index of Childcare Centers-)

  • 조현옥;최인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01-324
    • /
    • 2011
  • 본 연구는 1차 평가인증지표를 토대로 평가인증을 받은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평가인증 경험에 따라 평가인증의 운영과 제2차 평가인증 지표의 실현성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차 평가인증에 통과한 40인 이상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빈도분석, $X^2$ 검증, 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경험에 따른 평가인증제 운영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평가인증통과 후 사후 유지관리에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항에서만 나타났다. 인증경험이 없는 교사는 '시설장 및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을, 인증경험이 있는 교사는 '보육교사의 의지 및 지속적 근무'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평가인증 경험에 따른 인증지표의 실현성에 대한 인식은 보육환경 영역의 '예술활동자료', 운영관리 영역의 '보육시설의 운영방침 및 정보 안내', '원아에 대한 관리', '종사자의 근로계약', 건강과 영양 영역의 '식자재, 조리 및 배식과정의 위생적 관리', '아프거나 다친 영유아의 보호', '영유아와 종사자의 건강관리', '영유아를 위한 간식', 안전영역의 '영유아의 안전한 인계과정' 항목에서 평가인증 경험이 있는 보육교사가 경험이 없는 교사에 비해 실현성이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모든 영역에서 평가인증 참여경험이 있는 교사가 제2차 평가인증지표의 실현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적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A Survey of Teachers' Perspectives on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School Mathematics)

  • 정상권;이경화;유연주;신보미;박미미;한수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3호
    • /
    • pp.401-427
    • /
    • 2012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수학적 문제해결, 수학적 추론, 수학적 의사소통을 구성요소로 하는 수학적 과정 중심의 수학교육을 구현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수학적 과정 중심의 수학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려면, 학교에서 실시하는 학생 평가에 수학적 과정을 적절하게 반영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규모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학적 과정 중심의 평가에 대한 수학과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학과 평가 전반에 대한 인식, 정기고사와 수행평가에서 고려한 평가요소와 평가결과 활용 현황, 수학적 과정 구성요소 평가에 대한 인식 및 평가방법에 대한 의견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사의 교직경력이나 소속한 학교의 학교급, 도시규모에 따라 교사들의 응답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 보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과 평가와 수학적 과정 중심 평가와 관련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Teacher Perception and Practice on Free Semester Science Assessment)

  • 김유라;최애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43-16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가 전면 시행된 이후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 경험이 있는 중등 과학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와 자유학기제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의 실제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서술형 문항 설문과 개인 면담 전사본은 반복적 비교 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선택형 문항 설문은 응답 빈도를 분석하였다. 자유학기제 기본 방향 중 평가 방법 변화는 낮은 순위로 선정한 교사가 많았고, 자유학기제 평가의 객관성 부족, 자유학기제 평가의 입시 미반영, 자유학기제 평가에 대한 체계 미확립, 활동 중심 수업 및 교과에 대한 학생의 흥미 유발이 평가보다 더 중요함 등을 이유로 언급하였다. 본 연구의 대부분 교사들은 자유학기제 평가의 기본 방향을 교육부에서 제시한 과정 중심 평가로 이해하고 있었다. 과정 중심 평가를 매우 긍정적 또는 긍정적으로 인식한 교사들은 학생에게 미칠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한 반면, 과정 중심 평가를 보통 또는 부정적으로 인식한 교사들은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절반 교사들은 주관성과 복잡성 등의 이유로 학생 자기평가 학생 동료평가를 실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 부족을 이유로 평가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거의 제공하지 않은 교사들도 일부 있었다. 일부 교사들은 평가 방법에 익숙하지 않거나 평가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특정 평가 방법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하였다. 본 연구 참여 교사들 중 교과 협의를 하지 않은 교사들은 동 학년을 담당하는 교사의 수나 동료 교사의 태도와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협의를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관련 연수에 참여하지 않은 교사들은 자유학기제 담당자만 연수에 참여하거나 연수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부족, 교사 개인 사정 등과 같이 교과 협의회와는 달리 교사의 자율적 선택에 의해 연수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형성평가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의 인식과 실행 사례를 통해 살펴본 교사 교육의 시사점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through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Cases on Online Formative Assessment)

  • 김효준;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01-514
    • /
    • 2022
  • 온라인 교수학습 환경으로의 변화에 따라 온라인 형성평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준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 교육의 기초 토대 마련을 위해 예비 과학교사 2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형성평가, 형성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요 사항을 분석하였다. 사전 인식은 개방형 설문을 통해 얻은 응답을 오픈 코딩을 통해 범주화하여 범주별 빈도를 파악하였고, 사전 인식의 범주 분류 결과를 바탕으로 실행의 모습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상태와 바람직한 활용 목표 간의 격차를 파악하고, 교사 교육에서 중점을 두어야 하는 사항은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의 결과, 사전 인식에서는 온라인 수업의 어려움으로 상호작용을 언급하고, 온라인 형성평가의 장점으로 테크놀로지의 활용 및 피드백과 수업 조정을 언급하였다. 지도안과 조별 사전 인식 과정에서는 플랫폼의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자동화된 피드백을 대부분 활용하였지만, 응답 분석 결과를 활용한 수업 조정과 상호작용이 나타나지는 않았다. 또한 온라인 형성평가의 형성적 기능에 적합하지 않은 활용 방식이 다수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은 예비 교사들의 형성평가 활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평가'의 측면에 치중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형성평가의 피드백을 통한 '형성적' 기능과 활용 방법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충분한 이해가 바탕이 될 때, 온라인 형성평가의 장점을 활용한 상호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형성평가의 핵심적 기능이 잘 발휘될 수 있도록 형성적 활용에 대한 역량 강화와 실질적 적용 방법에 대한 교육이 예비 교사 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교원능력개발평가 사서교사 평가지표와 문항의 중요도 및 수행도에 대한 사서교사들의 인식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Frequency of Their Roles Inherent in the Indicators and Items for Teacher Evaluation)

  • 박지혜;최희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93-111
    • /
    • 2009
  • 이 연구는 2009년에 개발되어 현재 선도학교를 통해 활용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사서교사 평가지표 및 문항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그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현행 평가지표 및 문항의 중요도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이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각 문항의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평가지표 및 문항에서 개선해야 할 점으로는 현재의 평가문항에 다양한 독서교육활동 실시여부에 대한 항목 추가, 자료조직 및 관리 관련 평가문항 수정의 필요성, 학생지도 평가영역 명칭에 대한 제고 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 활용되고 있는 사서교사 평가지표와 문항이 대체로 타당하기는 하지만 일부분에서 수정 보완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PDF

수학과 서술형평가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연구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Constructed-Response Assessments)

  • 김래영;이민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4호
    • /
    • pp.533-551
    • /
    • 2013
  • 본 연구는 중학교 수학 교사가 서술형평가의 개념을 어떻게 인식하고 문항을 개발하는지, 서술형평가의 목표와 효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과 같은 서술형평가 전반에 대하여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실제 학교현장에서 서술형평가문항의 채점방법과 활용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등을 조사하여 분석한 연구이다. 총 189명의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서술형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행에 있어 알고리즘적 문제해결과 정답을 강조하는 측면이 강하게 나타났으나 실제 문항에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서술형 평가를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서술형평가에 대한 인식은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현재 중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채점 방식을 조사한 결과 분석적 채점 방법을 주로 사용하며 교사들 간의 협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과 서술형평가가 효과적으로 실행되기 위한 시사점 및 함의점을 제공하였다.

  • PDF

국내 생체 인식 시스템 성능 평가를 위한 표준안 연구 (A Study on Standards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Biometric Recognition Systems)

  • 문지현;김학일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01-110
    • /
    • 2002
  • 최근 생체 인증 제품이 물리적 보안뿐만 아니라 논리적 접근 제어를 위한 제품으로서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러한 제품의 성능평가 환경이 전무한 상태이며 평가 기준 또한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향후 생체 인식 시스템의 사용 확대가 예상됨에 따라 국내 실정에 맞는 생체인식 시스템의 성능시험 평가 기준 및 평가 방법론의 개발이 절실하다 하겠다. 본 논문은 국외 생체인식시스템 평가 기관들의 성능평가에 관한 정량적, 정성적 평가기준 및 평가 방법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국내 생체인식시스템의 성능평가 방법 및 기준 모델을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센서, 알고리즘, 그리고 응용 시스템 전반에 관한 평가 시나리오 및 평가 항목을 정의하고 이를 위한 평가 표준안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4 가지 지문 입력 센서들에 대한 성능을 비교하여 정리하였다.

광고 창의성 평가에 대한 광고주, 광고 제작자, 소비자 간의 상호인식 연구: 상호지향성 모델의 확장 적용 (Mutual Perceptions among Clients, Agencies, and Consumers on the Evaluation of Ad Creativity: Extending Application of the Co-Orientation Model)

  • 김봉철;최명일;이진우
    • 광고학연구
    • /
    • 제25권1호
    • /
    • pp.179-201
    • /
    • 2014
  • 본 연구는 확장된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하여 광고 창의성 평가에 대한 광고주, 광고 제작자, 소비자 간의 상호인식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창의성이 있다고 평가된 광고물을 대상으로 광고 창의성 평가척도로 타당성이 확보된 독창성, 적합성, 명료성, 상관성에 대해 광고주, 광고 제작자, 소비자 간의 객관적 일치도와 주관적 일치도, 정확도 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객관적 일치도의 경우 광고주와 제작자 사이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제작자와 소비자 사이에서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주관적 일치도는 광고주 차원에서는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제작자 차원에서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정확도의 경우는 제작자 인식과 광고주가 생각하는 제작자 인식, 소비자 인식과 제작자가 생각하는 소비자 인식에서는 높게 나타났으나 광고주 인식과 제작자가 생각하는 광고주 인식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광고주나 광고 제작자는 광고 창의성에 대한 소비자의 생각을 많이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에 대한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인식 분석 (A Study on the School Library Staffs' Perceptions of School Library Evaluation)

  • 강봉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93-31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참여율이 날로 저조해지고 있는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평가의 변화 추이와 평가 참여 인력의 인식을 조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 운영평가 참여율, 지표 변화 추이 등을 문헌조사로 분석하고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에 대한 전국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인식을 질문지법으로 조사하였다. 학교도서관 운영평가 참여율은 09년에 22.2%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래 17년 7.2%까지 낮아졌다.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의 양적 평가 방법으로의 타당도 인식은 2.84점, 질적 평가 방법으로의 타당도는 2.97점으로 조사되었다. '연간 운영 계획 수립'에 대한 평가지표 타당도 인식 평균은 3.90점으로 가장 높게, '지역사회 봉사'는 2.27점으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평가 미참여 이유에 '학사 업무 처리가 바빠서'의 평균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에 대해 낮은 인식이 조사된 바, 평가지표 및 참여 방법 등에 대한 개선책을 모색하고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인식 개선을 이룰 수 있는 정책 마련이 병행되어야 하겠다. 더불어 평가 운영주체는 평가의 결과를 다시 학교도서관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