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패턴 탐구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초등수학에서의 수학적 패턴 지도

  • 김상미;신인선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 no.1
    • /
    • pp.3-22
    • /
    • 1997
  • 본 연구는 첫째로는 수학교육에서 패턴이 강조되는 이론적 근거를 찾고자 역사적 맥락에서 수학의 성격변화를 탐색하였다. 수학의 성격 변화를 통하여 수학은 수의 탐구, 기하의 탐구, 운동ㆍ변화ㆍ공간의 탐구, 수학 연구의 도구에 대한 탐구로 그 영역을 점차 확대하여 왔으며, '수학은 패턴의 과학이다'라는 정의는 수학이 폭넓어짐에 따라 수학이 무엇인가에 대한 수학의 본성에 접근하는 논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수학에 대한 새로운 관점은 수학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에 시사하는 바를 살펴보고, 특히 수학교실의 변화에 따른 패턴의 강조를 살펴보았다. 둘째로는 수학적 패턴을 밝힘과 동시에 수학 교육에서 수학적 패턴 분석의 틀을 마련하고자 수학적 패턴의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패턴의 속성에 따른 유형화와 패턴의 생성 방식에 따른 유형화를 통하여 수학적 패턴의 유형을 마련하였다. 초등학교 수학에서 다루어지는 패턴은 어떠한 것인가를 현행 4학년 수학교과서 및 익힘책에 제한하여 유형화한 틀로서 조사 분석하였다. 셋째로는 수학적 패턴에 관한 지도 방안의 모색으로서, 지도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수학적 패턴에 관한 교수 전략을 마련하였다. 교수전략은 크게 패턴에서의 규칙 찾기, 패턴을 변형ㆍ확장하기, 자신의 새로운 패턴 만들기, 패턴을 수학적으로 설명하기로 나누고, 각각에 3-4개의 세부 전략과 세부 전략에 따른 예를 제시하였다.

  • PDF

Generalization and Symbol Expression through Pattern Research - Focusing on Pictorial/Geometric Pattern - (패턴탐구를 통한 일반화와 기호표현 -시각적 패턴을 중심으로-)

  • Kang, Hyun-Yyoung
    • School Mathematics
    • /
    • v.9 no.2
    • /
    • pp.313-326
    • /
    • 2007
  • Recently in algebra curriculum, to recognizes and explains general nile expressing patterns is presented as the one alternative and is emphasized. In the seventh School Mathematic Curriculum regarding 'regularity and function' area,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s guiding pattern activity of various form. But difficulty and problem of students are pointing in study for learning through pattern activity. In this article, emphasizes generalization process through research activity of pictorial/geometric pattern that is introduced much o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 curriculum and investigates various approach and strategy of student's thinking, state of symbolization in generalization process of pictorial/geometric pattern. And discusses generalization of pictorial/geometric pattern, difficulty of symbolization and suggested several proposals for research activity of pictorial/geometric pattern.

  • PDF

An Analysis on Sixth Graders' Recognition and Thinking of Functional Relationships - A Case Study with Geometric Growing Patterns -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함수적 관계 인식 및 사고 과정 분석 - 기하 패턴 탐구 상황에서의 사례연구 -)

  • Choi, JiYoung;Pang, JeongSuk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4 no.2
    • /
    • pp.205-225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how two sixth graders recognized, generalized, and represented functional relationships in exploring geometric growing patterns. The results showed that at first the students had a tendency to solve the given problem using the picture in it, but later attempted to generalize the functional relationships in exploring subsequent items. The students also represented the patterns with their own methods, which in turn had an impact on the process of generalizing and applying the patterns to a related context. Given these results, this paper includes issues and implications on how to foster functional thinking ability at the elementary school.

  • PDF

종이접기를 통한 패턴 탐구 활동

  • Yun, Dae-Won;Kim, Do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1-15
    • /
    • 2008
  • 다각형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삼각형과 사각형의 종이를 접을 때 마다 다양한 규칙성들이 발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런 종이접기를 통한 패턴 탐구를 통해 문제를 형식화거나 일반화 하는 능력과 수학적으로 사고하는 능력 즉, 귀납적 추론력을 길러주고자 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 PDF

고등학교 지구과학 탐구활동에서 소그룹의 상호작용 양식에 따른 반성적 탐구양식의 특징

  • Park, Mi-Ra;Jeong, Jin-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231-244
    • /
    • 2005
  • 이 연구는 고등학교 지구과학 탐구활동에서 소그룹활동을 학생들의 대화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반성적 탐구활동이 교육과정별로 어떤 차이를 보이고 소그룹내의 상호작용특성에 따라 반성적 탐구양식의 차이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학생들이 어떤 반성적 탐구양식을 보이며 어떻게 발달시키는지에 관한 이해를 제공하고, 수업속의 맥락은 이러한 반성적 탐구학습을 증진시키고 억압하기위해서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로 소그룹을 이용한 탐구활동 수업과 반성적 탐구활동수업 중 반성적 에피소드의 차이가 있는가, 소그룹내의 그룹상호작용의 특징에 따른 반성적 탐구유형의 차이는 있는가를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1학년 2개 학급을 선정 기존의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의거한 탐구활동수업 4차시, 반성적 탐구교육과정 수업 4차시를 각각 실시하고 수업을 녹화 전사해서 언어행동 분석틀과 반성적 탐구의 3가지 맥락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두 교육과정 모두 도입에서 두 교육과정 모두 A-AD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전형적으로 자주 나타나며, 반성적 탐구 교육과정수업에서는 AD-SR가 주로 나오는 것으로 보아 과제활동초기에 역할 분담과 과제 활동의 전략을 세우며, 전략을 세울 때 영역개념을 이용하는 것을 안수 있었다. 우리나라 교육과정 수업에서는 반성적 탐구진술이 간단하고 계획과정이 짧으며, 주로 과제 맥락 내에서 반성적 탐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개부분에서는 두 교육과정모두 DI-DP, DI-A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타나 자료 항목과 자료 패턴 그리고 인공물과 관련시키는 반성적 탐구가 공통적으로 나타나며 반성적 교육과정수업에서는 대체로 자료 맥락의 영역개념과 과제 맥락을 연결시키는 반성적 탐구가 잘 나타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주로 과제 맥락 내에서 반성적 탐구가 나타났다. 정리단계에서는 반성적 교육과정 수업에서는 DC-DP가 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 교육과정수업에서는 DC-DP DP-AD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타났다. 정리활동에서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반성적 교육과정보다 자료 맥락의 영역개념을 더 자주 이용하고 다양한 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오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학습지의 활동이나 문제는 학생들에게 익숙하고, 자료 패턴을 가지고 행동결정으로 연결짓는 활동이 명확히 제시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두 그룹의 상호작용 특징에 따른 반성적 탐구의 성향의 차이는 도입단계에서 그룹의 특징과 상관없이 A-AD, AD-SR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왔으며 전개와 정리단계에서는 N그룹에서는 DP와 관련된 의미 있는 반성적 탐구가 나오는 반면 M그룹에서는 이러한 맥락의 반성적 탐구는 아주 드물게 나타나며, GN과 관련된 행동결정이 자주 보이고 있었다. 정리활동시 주로 하는 기록 활동에서 N그룹에서는 다양한 맥락에서 반성적 탐구를 하고 있는 것에 비해 비교 그룹에서는 서로 견제하고 확인하는 상호작용의 특징에서 나타나는 AD-SR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자주 나타났다. 반성적 탐구 척도 두 그룹을 비교 했을 때 CON 상호작용의 특징이 낮게 나타나는 N그룹이 양적으로 그리고 내용적으로 더 의미 있는 반성적 탐구를 했다

  • PDF

Interaction Patterns in Dialogic Inquir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mall Groups in the Natural History Gallery (자연사관 관람에서 중학생 소집단의 대화적 탐구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

  • Jung, Won-Young;Lee, Joo-Youn;Park, Eun-Ji;Kim, Chan-Jong;Lee, Sun-Kyu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0 no.7
    • /
    • pp.909-927
    • /
    • 2009
  • Inquiry became an essential methodology in science education. Recently, argumentation becomes more important in inquiry, but inquiry-based teaching in school science would not provide enough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have voluntary and active interactions during inquiry activities. Informal science learning can be an alternative for authentic inquiry.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find interaction patterns in dialogic inquiry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small groups in the natural history gallery. Inquiry elements and interaction patterns are analyzed with 42 dialogues of 13 small groups. As a result, seven interaction patterns are identified. First, five major interaction patterns were drawn as follows; Sharing questions, asking questions and simple response, asking questions and simple explanation, asking questions-simple explanation-(collecting data)-data based explanation, and asking questions-collecting data-data based explanation. Second, pattern 2, 'asking questions and simple response', is sub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passive and/or evasive response, inaccurate response, and repeated patterns of asking questions-simple response.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different patterns of dialogic interactions in a small group inquiry in informal contexts from formal contexts, and provide foundations to understand middle school students' interactive dialogues of inquiry occurred in the natural history gallery.

An Analysis of the Patterns of Scientific Questions Generation among Elementary Science-Gifted and General Students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과학적 의문 생성 패턴 분석)

  • Eom, Ju Gyeong;Lee, Kil-J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5 no.4
    • /
    • pp.537-548
    • /
    • 2015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compare the patterns of scientific questions generation among elementary science-gifted and general students when conducting observational tasks. The pattern in generating scientific questions, which is distinguished from other types of scientific questions, is the manner that students generate a variety of types of questions in an inquiry process. To analyze the patterns in generating scientific questions, the task of observing dry grapes in soda pop, candlelight, and dyed celery were selected as suitable tasks. The subjects were 26 science-gifted students participating in a gifted education program and 27 general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in the same city. They were all sixth grad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tterns of scientific questions generation among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during observational tasks were classified into five patterns: [Pattern 1] single, [Pattern 2] sequential, [Pattern 3] repetitive, [Pattern 4] circulative, [Pattern 5] repetitive, and circulative. Second,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presented all of the five patterns, but the frequency of the patterns indicate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gifted students primarily presented [Pattern 3] and [Pattern 5]. On the other hand, the general students mainly presented [Pattern 1], [Pattern 2], and [Pattern 3].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ays of generating scientific questions are very much as important as the types of questions. Teachers can establish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generating scientific questions appropriate to learner's characteristics.

종이접기를 통한 패던 탐구 활동

  • Yoon, Dae-Won;Kim, Dong-Keun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v.24 no.5
    • /
    • pp.509-519
    • /
    • 2008
  • In the article, we study on researching activity of the patterns through paper folding. A set of rules and patterns are found in this study based on folding paper of triangle and rectangle.

  • PDF

임프린트 나노패턴의 연속적인 구조변형 연구

  • Kim, Su-Hyeon;Park, Dae-Geun;Lee, Cho-Yeon;Yun, Wa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418-418
    • /
    • 2014
  • 나노임프린트 공정으로 제작된 동일한 형태의 패턴 구조를 변형하거나, 표면의 특성을 조절하는 것은 임프린트 공정의 응용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이다. 본 연구진은 플라즈마와 열처리를 통하여 임프린트 나노패턴의 크기를 변형하는 연구[1]와 나노구조의 형태에 따른 표면특성의 변화 연구[2]를 수행한 바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나노임프린트 패턴의 구조 및 표면특성을 단일 칩 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제작하는 방법에 관해 고찰하였다. 나노임프린트 공정으로 제작한 패턴을 반응성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고안된 산소 플라즈마 장치에서 식각하여 구조를 연속적으로 변형하고, 전자현미경(SEM)과 원자힘현미경(AFM), 집속이온빔(FIB) 등을 통해 표면과 단면을 확인하였으며, 구조변형 이후의 후처리에 따른 접촉각 등의 변화를 관찰하여 임프린트 나노구조 패턴 표면의 화학적 특성을 조절하는 방법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단일한 모 패턴으로부터 다양한 크기의 패턴을 제작하고 화학적 특성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함을 보이는 것으로서, 향후 이러한 연속적 변화를 갖는 미세구조를 이용하여 혼합 물질의 분리 및 바이오 물질의 검출 등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Utilizing Calculators as Cognitive Tool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인지적 도구로서의 사칙계산기 활용)

  • Lee, Hwa Young;Chang, Kyung Yoon
    • School Mathematics
    • /
    • v.17 no.2
    • /
    • pp.157-17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calculators as a cognitive tool rather than calculating tool in learning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he calculator activities on multiplying two numbers ending with 0s or two decimal fractions and mixed four operations were developed, and exploratory lessons with the activities were implemented to three 3rd graders and two 5th graders. The results were shown that calculators provided an alternative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 students were able to use heuristic thinking, reason inductively and successfully investigate principles of mathematics through the pattern recognition. And finally, we discussed the heuristic method through utilizing calcula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