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패턴 개발

Search Result 3,172,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An Effective Pattern Selection Process for Developing of Pattern Based Software (패턴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효과적인 패턴 선정 프로세스)

  • Choi Jin Myung;Rhew Sung Yul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2 no.5
    • /
    • pp.346-356
    • /
    • 2005
  • Over the past decade, several types of design pattern have been defined in the software engineering area. But these patterns have not been used so often compared with data structure and algorithm. Likewise, methods to select and apply design patterns during analysis, design, and development are not mentioned in CBD methodologies such as CBD96, RUP, and MaRMI III. This paper suggests the process of effectively selecting design patterns which can be applied to analysis, design, and development for development of application software with based on those offered by GoF and J2EE pattern catalogs. It also demonstrates how to effectively pattern-based software and shows differences and relative advantages from RUP by applying the suggested process to the development of aviation job application.

A Game-Framework Design based on HTML5 using Design Patterns (디자인패턴을 적용한 HTML5 기반의 게임프레임워크 설계)

  • Kang, Myu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7a
    • /
    • pp.244-24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디자인패턴을 적용하여 액션게임 개발을 위한 HTML5 기반의 게임프레임워크 설계 방법을 제안하였다. 적용된 디자인패턴으로는 싱글톤디자인 패턴과 전략디자인 패턴으로, 전체 게임을 관리하는 Game Manager 클래스에는 싱글톤패턴을, 공격 형태에 따른 캐릭터 객체 생성을 위한 클래스에는 전략디자인 패턴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프레임워크는 액션게임 개발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르의 게임개발에도 적용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Component Modeling Tool based on Design Pattern (디자인 패턴 기반의 컴포넌트 모델링도구에 관한 연구)

  • Seo, Young-Jun;Song, 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437-440
    • /
    • 2001
  • 현재 소프트웨어 개발 생산성과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컴포넌트 재사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분산 개발 환경에서 팀 개발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컴포넌트 재사용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컴포넌트들을 효과적으로 개발, 공유, 관리하기 위한 방안이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의 재사용성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반복적 설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를 갖고 있는 디자인 패턴을 대상으로 하는 공유 가능한 디자인 패턴 기반의 컴포넌트 개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DPCM(Design Pattern Component Modeling) 도구는 추상적인 디자인 패턴 구조와 구체적인 컴포넌트 구조를 저장하기 위해 각각 별도의 Library를 구축한다. 그리고, 두 Library 사이에는 패턴 구조를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게 구체화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모델링 하며, 구체적인 구현 코드와 함께 COM 사양의 컴포넌트로 변환한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자들이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컴포넌트를 제공 받을 수 있는 디자인 패턴 기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개발 도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Pattern-Oriented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using Incremental Composition for Design Patterns (디자인 패턴의 점진적 통합을 이용한 패턴지향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

  • Kim, Woon-Yong;Choi, Young-Keun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0D no.5
    • /
    • pp.763-772
    • /
    • 2003
  • Design patterns are known widely by the techniques to improve software qualify. The design patterns are efficient solutions for problems occurring frequently in software development. Recently there are wide researches for design patterns to find them and to verify usability for them. But there are very few researches to define systematic development approaches about constructing application using design pattern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pproach for the pattern-oriented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using incremental composition for design patterns. For this proposal, first we define a development process using design patterns, propose technique for incremental composition for design patterns and view ports for software in the process. Also we deal with the problem of efficient traceability and maintenance to design patterns in the software system. And we use a feedback framework system as an illustrative example to show how the process can be used to develop the pattern-oriented software. In the development of software, the systematic development approach and usage increase efficiency to develop the system by using design experience and technique early in the development lifecycle. Therefore the system will assure the high stability and reusability and offer the low cost and time for development.

A Study on Development and Efficiency of UI Design Pattern Model for Web Application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패턴 모델 개발과 효용성에 관한 연구)

  • Kim, Chang-Gyum;Yu, Seong-Yeon;Jeong, Young-Woo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653-660
    • /
    • 2007
  • 최근 국내외 소프트웨어 개발 특성의 변화인 잦은 요구사항의 변경, 단축된 비즈니스 라이프사이클, 비용절감의 압력등과 맞물려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개발 접근방식이 요구되었으며, 소프트웨어의 재사용 및 높은 생산성을 제공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이 디자인 패턴이다. 본 연구는 웹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개발에 실제 적용가능한 UI디자인 패턴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20개의 웹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1000여개의 단위업무화면을 분석하였다. 개발한 어플리케이션 UI 디자인 패턴 모델을 실무 전문가(UI디자이너, 개발자)들에게 이해도, 사용적합성, 생산성측면에서 검증하여 실무에 적용가능한 모델임을 객관적으로 증명하였다.

  • PDF

Design Pattern Discovery based on Machine Learning (자동학습에 기반한 디자인 패턴 인식)

  • Hwang, Sung-Wook;Youn, Hyun-Sang;Lee, Eun-Seo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760-765
    • /
    • 2006
  • 디자인 패턴의 사용은 시스템을 좀 더 유연하고, 이해하기 쉽고, 재사용 가능하게 만든다. 개발이 완료된 시스템이 명확하게 문서화가 되어 있으면, 시스템의 내부 구조를 이해하기 쉽고, 향후 유지 보수의 비용이 적게 든다. 하지만, 대부분 시스템의 경우 개발된 시스템의 문서화가 잘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에 문제가 생겨 수정 하고자 하거나, 새로운 모듈을 추가하여 시스템의 기능을 확장하고자 할 때, 전체 소스코드를 분석하여 시스템을 이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소스코드에서 자동적으로 디자인 패턴을 인식하여 문서화를 증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뢰할 만한 디자인 패턴 인식 시스템이 중요하다. 지금까지 디자인 패턴 인식 방법은 시스템의 구조적인 특징만을 이용하여 패턴을 인식하여 왔다. 그래서 본 논문은 구조적인 특징뿐만 아니라 동적인 분석, 그리고 자동학습(machine learning)에 기반하여 소스코드로부터 디자인 패턴을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전 작업에서 만든 자바로 쓰여진 에이전트 개발 툴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인식한 디자인 패턴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NET Remoting Common Framework Applied Design Pattern (디자인 패턴을 적용한 닷넷 리모팅 공통 프레임워크 설계 및 구현)

  • Kang, Yun-Sung;Lee, Jun-Hwan;Cho, Han-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3
    • /
    • pp.36-47
    • /
    • 2011
  • The main issue in the current software development is the development of a reusable and flexible software. Already many successful software development experiences have been proposed to extract patterns of common look, depending on the software environment or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module you want to implement. Can develop the software quickly and accurately to select fit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nd reuse using experienced patterns. These developments are depending on the success and failure become a new experience and reuse again. Apply design pattern in software development is required, was not an option. In this paper, design and implement to a common framework applied design patterns for the development of reusable software using .NET Remoting in one of the technologies of distributed communication services.

Design Patterns for Android Game Programming (안드로이드 게임 프로그래밍을 위한 설계 패턴)

  • Kim, Dong Kwa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8
    • /
    • pp.17-24
    • /
    • 2018
  • Design patterns can be classified as software reuse technique that might provide effective solutions to specific problems that occur repeatedly in software development. In particular, object-oriented design patterns are incorporated into various software platforms and frameworks to increase software productivity. This paper aims to support general guidelines relating to design patterns for Android-based game programming. The proper use of the design pattern could be effective in not only for software development productivity, but also for post-development software maintenance. This paper provides fundamental procedures and case studies for applying design patterns to game programming on the Android platform. Typical object-oriented design patterns such as MVP, Singleton, Observer, and State have been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Android game programs.

posVibEditor: Authoring Tool for Designing Vibrotactile Patterns in Mobile Devices (posVibEditor: 모바일 기기에서 진동촉감 패턴의 디자인 저작 도구)

  • Ryu, Jong-Hyun;Choi, Seung-Mo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256-261
    • /
    • 2008
  • We developed an authoring tool for designing vibrotactile patterns quickly and easily by using the drag-and-drop paradigm in mobile devices. Designed vibrotactile patterns are registered into a data pool in the XML format, improving the reusability and extensibility of vibrotactile patterns. A multi-channel timeline interface is also incorporated to provide time-synchronized pattern editing for multiple vibration patterns (for multiple vibration actuators). In addition, an internal vibration player is embedded in the authoring tool in order to evaluate the patterns on the spot. A transform function for perceptually transparent vibration rendering can also be set in the editor. Although the authoring tool was developed for mobile devices, it can be used for other applications such as haptic interaction m virtual reality.

  • PDF

A Study of XML Design Patterns for Removing Ambiguity in DTD and Using DOM in XML Application (XML DTD 모호성 제거와 DOM 활용을 위한 디자인 패턴 연구)

  • 김태현;고승규;최윤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412-414
    • /
    • 2000
  • XML(eXensible Markup Language)은 차세대 인터넷 기술의 대표적인 기술 요소로서 현재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다양한 인터넷 응용분야에서 적용하고 있다. 이런 추세는 XML 어플리케이션을 복잡화, 대형화시키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XML 어프리케이션 개발과 유지 보수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키 위해 객체지향 개발 방법론애 적용되어온 디자인 패턴(Design Patterns) 개념을 XML 개발 관련 분야에 적용시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XML 디자인 패턴 중 DTD(Document Type Definition) 모델링 시 발생하는 모호성(Ambiguity) 문제를 해결키 위한 패턴과 DOM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문서 구조 트리 운행 및 접근 패턴을 제안한다. 이 패턴들을 활용한다면 DTD 설계 및 DOM(Document Object Model)을 처리하는 단계에서 재사용이 가능해져 개발된 기술들을 공유 가능하며 시스템 디자인 시에 발생 가능한 문제점들을 사전에 해결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