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파절

검색결과 575건 처리시간 0.026초

글래스아이오노머에 대한 나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의 최적 첨가 비율(나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의 첨가 비율에 따른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의 결합강도와 탈회저항성의 변화 비교) (The Optimum Addition Ratio of Nano Hydroxyapatite to Glass Ionomer Dental Cement (Changes in Demineralization Resistance and Bonding Strength of Light Cured Glass Ionomer after the Addition of Nano Hydroxyapatite in Various Ratio))

  • 김남혁;김성오;송제선;이제호;손흥규;최병재;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59-167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인 Fuji II $LC^{TM}$를 대조군으로 삼고 다양한 비율의 나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 ; hydroxyapatite)를 첨가하여 최적의 물성을 나타내는 HA의 첨가비율을 알아보는 것이다. 각각 무게비로 5~30%의 나노 HA를 첨가하여 HA-5, HA-10, HA-15, HA-20, HA-25, HA-30의 여섯 개의 실험군을 설정하였으며 ISO 9917-2:2004 기본 규정에 따른 물리적 성질과 탈회저항성, 결합강도 실험을 시행하고 주사전자 현미경을 통해 탈회양상과 파절 양상을 관찰하였다. 결합강도 실험 결과 HA의 함량이 증가하면서 결합강도는 증가하여 HA-15 군에서 최대치를 기록하였다(p < 0.05). 탈회 저항성 실험으로 4일간의 탈회 후 CLSM을 이용하여 탈회면을 관찰한 결과, HA 첨가군에서 탈회 구간의 감소가 나타났으나 HA의 첨가량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주사전자현미경 상에서 탈회면을 관찰한 결과에서는HA 입자가 탈회된 법랑질의 미세공극을 채우고 있는 양상이 나타났다.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지대주의 기계적 강도에 관한 연구 (Mechanical strength of Zirconia Abutment in Implant Restoration)

  • 신성애;김창섭;조욱;정창모;전영찬;윤지훈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4호
    • /
    • pp.349-360
    • /
    • 2009
  • 목적: 임플란트 보철 수복에서 심미적 요구도가 증진되면서 최근에는 고강도, 고인성을 지니면서 생체적합성 우수하고 치아의 색과 조화로운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몇몇 임상보고를 통해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우수한 주위조직 반응과 단기간의 성공적인 결과가 보고 되었으나, 장기간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기계적 강도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경, 각도, 연결방식이 상이한 임플란트 고정체 -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단순 파절강도와 반복하중에 의한 피로한계 측정을 통해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기계적 안정성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재료와 방법: ISO규정에 따라 지르코니아 지대주-고정체를 변연골이 3mm 흡수된 조건에서 $30^{\circ}$경사하중으로 압축굽힘강도를 측정하고, 그 값의 80%를 최대하중으로 10%를 최소하중으로 하여 10Hz의 sine형 반복하중을 $5{\times}10^6$ 주기를 초과하는 조건의 내구성한계를 측정하였다. 지르코니아 지대주로는 regular diameter를 가지면서 external butt joint의 straight 지대주와 $17^{\circ}$ angled 지대주, 그리고 narrow diameter 이면서 external butt joint의 straight 지대주와 internal conical joint의 straight 지대주를 사용하였다. 압축굽힘강도 값을 일원분산분석과 사후검정으로 검증하였으며, 피로파절면을 전자주사현미경을 통해 관찰했다. 결과: 압축굽힘강도는 최소 927N 이상으로, 직경의 차이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P<.05), 내구성 한계는 503N에서 868N까지의 번위를 보였다. 결론: 지르코니아 지대주는 구강내 기능하중을 견딜수 있는 적절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교합 붕괴 환자에서 수직 고경을 증가한 보철 수복 : 증례 보고 (Full mouth Rehabilitation in a Patient with Occlusal Collapse with Vertical Dimension Increase)

  • 조시훈;정수양;남현석;송광엽;박주미;안승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4호
    • /
    • pp.477-482
    • /
    • 2010
  • 다수 구치부 상실을 가진 환자의 경우 상실 공간으로 대합치의 정출 및 잔존 전치부 저작으로 인한 교합 외상이 발생한다. 대합치의 정출로 인해 교합 평면이 붕괴되고 구치부 지지 상실로 잔존 치아의 심한 마모를 보이게 된다. 이 경우 보철 수복 공간을 확보하고 교합 평면을 바로잡기 위해서 최소한의 수직 고경을 높여 잔존 치아와 상실된 치아 부위의 수복치료가 필요하게 된다. 본 증례의 환자는 다수 구치 상실로 인한 저작 곤란 및 마모된 전치로 인한 심미적 문제로 내원한 환자이다. 보철 수복을 위한 치아 삭제 전 가역적인 거상 장치를 2개월간 사용한 뒤, 비가역적인 치아 삭제 후 임시 수복물을 3개월간 사용하여 총 5개월간 최종 수복물에 대한 적응 여부를 관찰하였다. 수직 고경 거상량은 3mm로 비교적 작은 양이었고 저작계가 증가된 수직 고경에 대해 특별한 병적 변화 없이 적응하였다. 최종 수복물은 중심 교합시 전체 치아가 균등하게 접촉하고 측방운동시 견치에 의해 즉각적으로 이개되도록 하였으며 금속 교합면를 부여하여 장기적으로 과도한 근육 활성 및 교합 외상, 도재의 파절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치료를 통해 교합 붕괴 환자를 안정적인 보철 수복물로 재건한 치험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풀림토크를 이용한 임플란트 토크조절기의 비교 (Comparison of Implant Torque Controllers using Detorque Value)

  • 허윤혁;조리라;김대곤;박찬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4호
    • /
    • pp.419-432
    • /
    • 2010
  • 현재 임상적으로 여러 형태의 토크 조절기가 사용되고 있고, 토크 조절기에 따라 오차율이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는데 제조회사에서 권장하는 적절한 조임력으로 나사가 조여지지 않을 경우 나사 풀림과 이에 따른 파절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보철물과 임플란트 매식체에 합병증이 야기될 수 있으므로 토크 조절기의 정확성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정 토크 수준이 넘으면 핸들의 앞 부위가 꺾여지도록 만들어진 토크 최대값 제한 장치(TLD, torque limiting device), 눈금자가 표시되어 있는 활 형태로 조임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토크 표시 장치(TID, torque indicating device), 콘트라앵글 핸드피스 형태에 조임력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이미 정해진 조절기를 끼워서 사용하는 콘트라앵글 토크 조절장치(CA, contraangle torque device), 기계적인 토크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적정 회전력을 가하는 전자 토크 조절기(ETC, electronic torque controller)등 네 종류의 토크 조절기를 이용하여 제조회사의 지시대로 나사를 조인 후 풀림 토크값을 측정하고 각각의 차이값을 구하여 토크 조절기의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콘트라앵글 토크 조절장치(CA)가 가장 측정값에 근접한 결과를 보였으며 토크 최대값 제한 장치(TLD)를 제외한 나머지 세 종류의 토크 조절기의 정확도는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토크 최대값 제한 장치(TLD) 의 경우 유의하게 낮은 정밀성을 보였으므로 이는 토크 부여 시 회전 속도에 따른 오차발생 가능성을 보여준다. 토크 표시 장치 (TID), 콘트라앵글 토크 조절장치 (CA) 와 같은 수동 토크 조절기는는 전자식 토크 조절기와 오차 범위 내에서의 유사한 정밀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임상에서 보다 주의 깊게 장치를 사용한다면 효과적인 전하중 부여가 가능함을 의미한다.

물 흡수에 따른 fiber reinforced composite $(Fibrekor^{(R)})$의 굽힘 특성 변화 (Flexural characteristic changes of fiber reinforced composite $(Fibrekor^{(R)})$ according to water absorption)

  • 김석범;김민정;김경호;최광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61-370
    • /
    • 2005
  • 보철이나 수복 영역에서 재료 자체의 기계적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어 오던 fiber reinforced composite (FRC)는 최근 교정 영역까지 그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silica glass fiber로 강화된 FRC (FibreKor. Jeneric/pentron Inc., Wallingford, U. S.A.)를 다양한 기간 동안 물에 저장하였을 때 물 흡수가 FRC의 굽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함이었다. 시편은 임상에서 적응하는 원형, (직사)각형의 두 가지 형태를 기준으로 plasma arc light를 이용하여 광중합하여 제작하였다. 각형 원형 각각 5개의 시편을 실은(평균 $23^{\circ}C$)의 증류수 안에 0시간. 1시간. 1일. 1주, 15일 1개월, 3개월의 기간 동안 보관한 후 torque tester를 이용하여 굽힘 시험을 시행하였다 굽힘 강성(flexural stiffness)은 24시간 후에 원형의 경우 58%, 각형의 경우 25%로 감소했으며 3개월 후에는 각각 28%, 19%의 실험 전 상태의 강성을 나타냈다. 항복 굽힘 모멘트(yield flexural moment. $3^{\circ}$ offset)는 24시간 후에 원형의 경우 45% 각형의 경우 75%로 감소했으며 3개월 후에는 실험 전 항복 굽힘 모멘트의 29%, 60%로 각각 감소하였다 파절 굽힘 모멘트(ultimate flexural moment)는 24시간 후에 원형의 경우 30% 각형의 경우 75%로 감소했으며 3개월 후에는 실험 전 값의 25%, 37%로 각각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을 통하여 FibreKor는 물에 보관 시 초기에 굽힘 강성이 급격히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수분에 대한 굽힘 강도 증가를 위한 연구가 향후 필요할 것이다.

법랑질 표면에 크리스탈을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한 황산리튬이 함유된 폴리아크릴산의 농도와 적용시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centration and Application Time of Lithium Sulfate-Contained Polyacrylic Acid for Adequate Crystal Growth)

  • 노정섭;태기출;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947-954
    • /
    • 1998
  • 본 연구는 각각 다른 농도의 황산리튬을 함유한 폴리아크릴산을 적용시간을 변화시켜 치아의 법랑질 표면에 도포하여 크리스탈을 형성하고 그 위에 도제브라켓을 부착한후 전단결합강도와 파절양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농도가 서로다른 흔합용액 4종류를 교정치료를 위해 발거된 건전한 소구치 48개의 법랑질 표면에 적용시켰다. 실험용액들은 $50\%$의 폴리아크릴산과 $65\%$의 폴리아크릴산을 기본 용액으로 하여 0.3M의 황산을 공통으로 첨가하고 각각 0.3M 이나 0.6M의 황산리튬을 첨가하여 만들었다. 30초나 60초 동안 준비된 용액을 법랑질 표면에 적용한 후 브라켓을 부착시켜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브라켓 부착 전과 부착 후의 크리스탈 형성 양상을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치아 표면의 잔여 레진 양을 입체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고 분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50\%$ 폴리아크릴산으로 처리하였을 때의 전단결합강도가 $65\%$ 폴리아크릴산에 비해 높았다. 2. 황산리튬의 농도나 적용시간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3. 브라켓 제거 후 법랑질 표면에서 레진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4. $50\%$ 폴리아크릴산으로 처리하였을 때의 크리스탈 형성 밀도가 $65\%$ 폴리아크릴산의 경우 보다 높았다.

  • PDF

수종 전부도재관의 파절강도에 관한 비교연구 (A STUDY ON THE FRACTURE STRENGTH OF ALL-CERAMIC CROWNS)

  • 백승진;양재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11-633
    • /
    • 1995
  • The pu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racture strength of five kinds of all-ceramic crowns(Vintage, Dicor Empress-staining, Empress-layering, In-Ceram) luted with glass ionomer cerment and composite resin cement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cements on the fracture stregth of all ceramic crowns. Five groups of twelve uniform sized all-ceramic crown specimens were fabricated. Six specimens of each group were cemented with glass ionomer cement(Fuji G.I. Cement) and the remaining six specimens of each group were etched, silane-treated, and cemented with composite resin cement(Bistite resin cement). The crowns were stored in water$(37^{\circ}C)$ for 1 day prior to loading in an Instron, using a steel ball(diameter 4mm) at a crosshead speed of 0.5mm/min. The crowns were angled $30^{\circ}$, so the steel ball contacted with the crowns 2mm lingual from the mid-incisal edge.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With G.I. cement, mean fracture load(Kg) Were : Intage : $18.33{\pm}1.47$ ; Empress-staining : $23.92{\pm}6.67$ ; Dicor : $24.0{\pm}5.81$ ; Empress-layering : $26.92{\pm}2.80$ ; In-Ceram : $51.58{\pm}6.87$ ; ANOVA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p<0.05) between the group A(Vintage, Dicor, Empress-staining, Empress-layering) and group B(In-Ceram). 2. With Resin cement, mean fracture load(Kg) were : Intage : $22.75{\pm}4.97$ ; Dicor : $42.75{\pm}7.07$ ; Empress-staining : $44.08{\pm}7.99$ ; Empresslayering : $50.42{\pm}5.43$ ; In-Ceram : $52.58{\pm}6.51$ ; ANOVA revealed a significatnt difference existed(p<0.05) between the group A(Vintage) and B(Dicor, Empress-staining Empress-alyering, In-Ceram). 3. Resin ce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fracture strength of the all-ceramic crowns for Dicor(156%), Empress-staining(185%), Empress-alyering(187%)(p<0.05); but did not increase the fracture strength of Vintage(128%) and In-Ceram(101%)(p>0.05). 4. Majority of the all-ceramic crowns show a wedge fracture extending through proximal surfaces to an apex, usually apical third(with G.I. cement) or middle third(with Resin cement) of the facial surface.

  • PDF

아말감 와동의 파절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A STUDY ON AMALGAM CAVITY FRACTURE WITH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 김한욱;엄정문;이정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9권2호
    • /
    • pp.345-371
    • /
    • 1994
  • Restorative procedures can lead to weakening tooth due to reduction and alteraton of tooth structure. It is essential to prevent fractures to conserve tooth. Among the several parameters in cavity designs, cavity isthmus and depth are very important. In this study, MO amalgam cavity was prepared on maxillary first premolar.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s were made by serial photographic method and cavity depth(1.7mm, 2.4mm) and isthmus (11 4, 1/3, 1/2 of intercuspal distance) were varied. linear, eight and six-nodal, isoparametric brick elements were used for the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The periodontal ligament and alveolar bone surrounding the tooth were excluded in these models. Three types model(B, G and R model) were developed. B model was assumed perfect bonding between the restoration and cavity wall. Both compressive and tensile forces were distributed directly to the adjacent regions. G model(Gap Distance: 0.000001mm) was assumed the possibility of play at the interface simulated the lack of real bonding between the amalgam and cavity wall (enamel and dentin). When compression occurred along the interface, the forces were transferred to the adjacent regions. However, tensile forces perpendicular to the interface were excluded. R model was assumed non-connection between the restoration and cavity wall. No force was transferred to the adjacent regions. A load of 500N was applied vertically at the first node from the lingual slope of the buccal cusp tip. This study analysed the displacement, von Mises stress, 1 and 2 direction normal stress and strain with FEM software ABAQUS Version 5.2 and hardware IRIS 4D/310 VGX Work-st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 model showed stress and strain patterns between Band R model. 2. B model and G model showed the bending phenomenon in the displacement. 3. R model showed the greatest amount of the displacement of the buccal cusp followed by G and B model in descending order. G model showed the greatest amount of the displacement of the lingual cusp followed by B and R model in descending order. 4. B model showed no change of the displacement as increasing depth and width of the cavity. G and R model showed greater displacement of the buccal cusp as increasing depth and width of the cavity, but no change in the displacement of the lingual cusp. 5. As increasing of the width of the cavity, stress and strain were not changed in B model. Stress and strain were increased on the distal marginal ridge and buccopulpal line angle in G and R model. The possibility of the tooth fracture was increased. 6. As increasing of the depth of the cavity, stress and strain were not changed in B and G model. Stress and strain were increased on the distal marginal ridge and buccopulpal line angle in R model. The possibility of the tooth fracture was increased.

  • PDF

열가압 리튬 디실리케이트 전장도재와 지르코니아 하부구조의 전단결합강도 평가 (Adhesion between heat-pressed lithium disilicate veneer and zirconia framework: Shear bond strength evaluation)

  • 김재홍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35-34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shear bond strength을 이용하여 pressed lithium disilicate 전장도재와 zirconia core의 접착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Zirconia blank(Zirtooth, HASS, Gangneung, Korea)에 각 pressed ceramic(IPS e.max Zirpress, Vita PM9, GC Initial IQ, HASS Rosetta UP)이 적용된 시편을 제작하였다(N=40). 전단결합강도를 비교 평가하기 위해 The Schmitz-Schulmeyer test method을 이용하였고 산출된 파괴하중의 값을 분석했다. 산출된 네 가지 전단결합강도 값들 간의 평균 비교는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이루어졌고, Tukey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여 서로 간의 평균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검증하였다. 또 파절면의 3D 분석을 통하여 파괴 표면을 관찰하여, 그 파괴 양상도 분류하였다. 실험군별 전단결합강도는 IPS e.max Zirpress 16.69±3.11MPa, VITA PM9 14.21±3.63MPa, GC Initial IQ 11.17±2.92MPa, HASS Rosetta SM 27.90±5.71MPa이었으며, Lithium disilicate ceramic veneer(HASS Rosetta SM)의 결합 강도는 다른 제품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또, 파괴면의 유형 분류 결과, 모든 시편에서 cohesive 파괴는 관찰되지 않았고 주로 adhesive와 cohesive가 같이 조합된 파괴 유형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해서 pressed lithium disilicate 전장도재가 기존의 pressed to zirconia system보다 나은 접착력을 보여주었다.

II급 와동에서 각종 구치용 수복물의 파절강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RACTURE STRENGTH OF CLASS II POSTERIOR RESTORATIONS)

  • 이계혁;허승면;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8권2호
    • /
    • pp.357-367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racture strength of class II restored premolars with amalgam, posterior composite, amalgam - Ketac silver, resin - Ketac silver restorations at marginal ridge. Fifty extacted maxillary and mandibular premolar teeth that were caries free, fracture free, and restoration free were selected and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 Group 1 : 10 intact teeth, Group 2 : 10 teeth with class II cavities and restored with, amalgam, Group 3: 10 teeth with class II cavities and restored with posterior resin, Group 4 : 10 teeth with class II cavities and restored with amalgam - ketac silver, Group 5 : 10 teeth with class II cavities and restored with resin - Ketac silver. All teeth were mounted in base of dental stone within metal rings of 2cm diameter, exposing only the crown portion. Class II mesio - occlusal or disto - occlusal cavities were prepared into specimens of Group 2 through 5 by using a No. 710 fissure bur. The occlusal portion was prepared to a faciolingual width of 1.5mm and a pulpal depth of 1.5mm. The proximal protion was prepared to a faciolingual width of 4mm, a occlusogingival height of 4mm, and a gingival floor of 1.5mm. The teeth in Group 2 and 3 were resotored with silver amalgam apd posterior resin respectively. In Group 4 and 5, proximal portions were first filled with Ketac silver 1.5mm gingivally and remaining cavities were restored with amalgam and posterior resin respectively. All specimens were stored in 100 % relative humidity at $37^{\circ}C$ for 48 hours before testing. All teeth were subjected to a compressive load in a Universal Instron Testing Machine at marginal ridges. The loads required to fracture the restorations were recorded in killograms and the data obtained were subjected to statisticall analysis. The results were all follows : 1. The fracture strength of Group 1 which were unprepared were $100{\pm}10.1\;kg$ and the higher values than Group 2, 3, 4, 5 which were prepared and resotred. 2. In restored groups, Group 2 had the higher fracture strength($81.8{\pm}12.4\;kg$) than other groups and Group 4 had the lowest fracture strength($66.8{\pm}9.2kg$).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racture strength of between Group 1 and Group 3, 4, 5(P<0.05), but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racture strength of Group 2, 3, 4, 5(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