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티로신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6초

$p56^{lck}$ SH2 domain 결합 단백질 p62가 Jurkat T-세포주의 세포예정사에 미치는 영향 (Potential Involvement of p62, a Phosphotyrosine-independent Ligand of SH2 Domain of $p56^{lck}$, on UV-induced Apoptosis in Jurkat T-cell Line)

  • 정인실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권2호
    • /
    • pp.165-171
    • /
    • 1998
  • p62는 임파구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단백질 티로신 키나제인 p56$^{lck}$의 SH2 doamin과 결합하는 세포질 단백질로서 두 단백질의 결합에는 지금까지 알려진 바와 다르게 인산화된 티로신이 필요없다. p62는 기능이 다른 여러 조직에서 공통적으로 발현되며 유비퀴틴, 단백질 키나제 C 이성질체 둥 다양한 단백질과 결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현상으로 p62가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으나 그 자세한 기작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p62가 T-세포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14-3-3 $ au$ 이성질체와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p62를 인위적으로 T-세포에 다량으로 발현시키면 세포예정사 (apoptosis)의 시작이 지연되는 현상을 조사하였다. 이때 세포사멸과정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DNA 절단현상 (DNA fragmentaion)과 poly (ADP-ribose) polymerase의 분해가 지연됨을 알 수 있었다. 최근 14-3-3 단백질이 임파구에서 세포예정사를 촉진시키는 기능을 가진 Bad와 결합함으로써 세포의 생존 신호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T-세포의 활성으로 일어나는 사멸예정사 과정 중에 p62와 14-3-3 단백질에 의해 수행되는 조절 기작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다.

  • PDF

식물에서 shikimate 및 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 경로와 이의 대사공학적 응용 (Biosynthetic pathway of shikimate and aromatic amino acid and its metabolic engineering in plants)

  • 임선형;박상규;하선화;최민지;김다혜;이종렬;김영미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135-153
    • /
    • 2015
  • 식물의 페닐알라닌, 티로신, 그리고 트립토판과 같은 방향족 아미노산은 단백질 합성의 구성 성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차 대사물질들의 전구물질들이다. 이러한 방향족 아미노산 유래의 화합물들은 식물의 색소와 세포벽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다양한 페놀릭 화합물들의 구성성분이자, 옥신과 살리실산과 같은 식물 호르몬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이들은 인간의 영양과 건강을 증진하는 높은 잠재력을 지니는 알칼로이드 및 글루코시놀레이트와 같은 천연산물로써 역할을 한다. 방향족 아미노산의 생합성경로는 shikimate 경로로부터 유래되는 공통의 중간기질인 chorismate를 공유한다. 트립토판은 중간기질로 anthranilate를 통해 합성되고, 페닐알라닌 및 티로신은 중간기질인 prephenate를 통해 합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경로에 관련한 모든 단계의 효소와 전사/전사후 수준에서의 그들의 유전자 조절에 대한 최근 연구들에 대해 종합적으로 되짚어 보면서, 추가적으로 식물의 방향족 아미노산 유래의 천연물질 생산을 증진시키기 위해 그 동안 시도되어온 대사 공학적 노력들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위암에시 EphB2 단백의 발현 양상 (Expression Pattern of EphB2 in Gastric Cancer)

  • 송재휘;김창재;조용구;박조현;남석우;유남진;이정용;박원상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1호
    • /
    • pp.25-30
    • /
    • 2006
  • 목적: EphB2 수용체는 티로신 키나제 수용체 군에 속하면서 Wnt 신호 전달계의 대상 유전자로 세포의 성장 및 이동을 조절함으로써 종양의 발생과 진행을 억제한다. 연구자들은 한국인 위암에서 EphB2 단백의 발현 변화가 위암의 발생 및 진행에 관여하는지와 위암의 병리 지표들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83예의 파라핀 포매된 위암조직에서 암세포들을 각각 3군데에서 펀치하여 새로운 파라핀 블록으로 옳겨 위암의 고집적 tissue microarray를 제작하였다. Tissue microarray 절편에서 EphB2 단백에 대한 항체로 면역조직화 학염색을 실시한 후 그 발현 양상을 병리 지표들인 조직학적 분류, 침습 정도, 림프절 전이 및 복막 파종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EphB2 단백은 정상 위 점막 상피세포의 세포막과 세포질에서 발현되고 있었고 조사된 83예의 위암 중 30예 (36.1%)에서 발현이 소실되었다. 흥미롭게도 EphB2 단백의 발현 소실은 위암의 림프절 전이와 통계적으로 연관성이 있었으나 조직학적 분류, 침습 정도 및 복막 파종과는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이러한 소견들은 EphB2 수용체 단백의 발현 소실이 위암의 발생 및 진행에 있어 중요한 과정 중의 하나임을 의미한다.

  • PDF

티로신 키나아제 저해제의 간독성에 대한 고찰 (Reviews on the Hepatotoxicity of Tyrosine Kinase Inhibitors)

  • 한지민;곽혜선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23-230
    • /
    • 2019
  • Background: Small-molecule tyrosine kinase inhibitors (TKIs) have had major impacts on anticancer therapy by targeting the catalytic activities of dysregulated tyrosine kinases. TKIs have not presented traditional toxicities; however, some serious adverse effects, including hepatotoxicity, have been documented in clinical trials and post-marketing surveillance. Although TKI-induced hepatotoxicity can cause severe clinical complications in patients, the underlying mechanism is still unclear. Methods: Studies on TKI-induced hepatotoxicity were identified by Pubmed search, and relevant articles were reviewed. Results: Immunoallergic reaction, cytochrome P (CYP) 450 polymorphisms, and formation of reactive metabolites are under consideration as mechanisms of TKI-induced hepatotoxicity. Host protein-drug metabolite conjugates are recognized as antigens by class II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es and are believed to cause liver injuries. Polymorphisms in CYP, which influences TKI metabolism, can slow TKI metabolism and may induce development of hepatotoxicity. The formation of reactive metabolites during drug metabolism can induce hepatotoxicity by directly causing cytotoxicity, leading to cell dysfunction, and indirect toxicity by mediating secondary immune reactions. Concurrent use of various medications with TKI can also cause hepatotoxicity by affecting drug transporter or enzyme activities. Conclusion: Periodic monitoring of patients taking TKIs and risk/benefit reassessments though post marketing surveillance are necessary to prevent hepatotoxicity.

항고혈압 치료제 로사탄에 의해 인산화 되는 단백질 발굴 (Identification of Phosphoproteins Induced by AT1 Receptor Blocker Losartan)

  • 이창우;김미진;장세헌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7호
    • /
    • pp.918-923
    • /
    • 2008
  • 안지오텐신II 수용체(AT1 수용체)는 혈관수축과 체내 전해질이온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AT1 수용체 길항제(ARB)는 고혈압 치료에 이용되며 최근에는 당뇨병을 포함한 대사질환에 효능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ARB 처리 후 세포 내 인산화단백질에 인산화가 일어나는지를 antibody array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아미노산세린 및 트레오닌에 인산화되는 단백질 6개, 티로신에 인산화되는 단백질 12개에 대한 항체를 선정하여 nitrocellulose membrane에 부착시켰다. AT1 수용체를 발현한 COS-1 세포에 로사틴(losartan)을 처리하였을 때 small GTPase인 RhoA의 세린 잔기에 인산화가 20%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RhoA는 세포골격의 재배열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세린 잔기에 인산화가 되면 활성이 억제된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ARB가 AT1 수용체에 의한 혈관수축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세포 신호룰 생성함을 알 수 있다.

장려품종 콩의 단백질 특성 (Protein Characteristics of the Recommended Soybean Varieties in Korea)

  • 김동만;윤혜현;김길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86-392
    • /
    • 1990
  • 장려품종 콩 19종의 단백질 특성 비교로 추출용매에 따른 단백질 획분의 분포, 전기영동 특성 및 아미노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이들 콩에 함유된 글리시닌은 콩단백질의 $48.19{\sim}58.86%$를 차지하였으며 다른 획분에 비해 프롤라민의 비율은 콩의 품종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콩 단백질의 전기영동 양상은 팔달, 장백, 장엽, 단엽, 남천 및 S-138이 $21.5{\sim}31.0kd$ 범위에서 보인 단백질 분리대의 차이를 제외하고서는 품종간의 차이가 없었다. 콩에 소량 함유된 아미노산류는 시스테인 메티오닌 티로신 및 트레오닌이었으며 티로신의 비율이 다른 아미노산에 비해 품종에 따른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백색 완두유묘 중의 IAA 수준에 미치는 저온의 영향 (Effects of Low Temperature on the IAA Level in Etiolated Pea(Pisum sativum L. var. Sparkle) Seedlings)

  • 박노동;안승희;김광식;박창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1호
    • /
    • pp.68-72
    • /
    • 1990
  • 저온에서 일어나는 식물생육의 억제와 식물생장조절물질의 하나인 IAA 수준의 조절을 알아보기 위하여 암실재배한 백색 완두유묘를 재료로 저온처리에 따른 생육과 IAA 수준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25^{\circ}C$에서 성장한 백색 완두유묘는 $5^{\circ}C$의 저온에 접하면 생장이 거의 정지하였다. 유리 IAA 수준은 생체중 기준 상온묘의 17.6 ng/g에서 3일간 저온처리시에 4.9 ng/g으로, 총 IAA 수준은 113.2 ng/g에서 60.8 ng/g으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IAA의 전구체인 트립토판 수준은 생체중 기준 상온묘의 583 nmol/g에서 저온처리시에 414 nmol/g으로 약 30 % 감소하였으며, 시킴산경로에 의하여 트립토판과 함께 생합성되는 페닐알라닌과 티로신 수준도 감소하였다. 이 결과는 저온에서 IAA의 전구체인 트립토판 생합성의 억제를 통하여 IAA 수준을 일부 하향조절할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 PDF

개의 비강 이행암종에서 메트로노믹항암 요법 (Adjuvant Metronomic Chemotherapy in a Dog with Nasal Transitional Carcinoma)

  • 박형진;김자원;정성목;최호정;손화영;송근호;서경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83-186
    • /
    • 2015
  • 4살령의 중성화 암컷 말티즈 견이 4개월에 걸친 편측성 코 분비물 및 코막힘을 주증으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환자는 비강 이행암종이 전두동까지 파급되어 있는 것이 비강 내시경을 통해 확인되었다. 보조적 항암치료로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12.5mg/m^2$) 와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인 토세라닙(2.5 mg/kg)을 수술적 부피 감량술 이후에 적용 하였다. 치료반응은 양호 하였으며, 진단 후 11개월 동안 항암치료에 대한 부작용 없이 잘 유지 되었다. 본 증례는 국내에서 비강 이행암종에서 보조적 항암치료를 실시한 최초 보고이다.

곤충세포에서 새로운 퓨전 단백질인 초파리 유래 PGRP-LB를 이용한 인간 PTK6의 과발현 및 생산 (High Level Production of human Protein Tyrosine Kinase-6 in Insect Cells Using Drosophila Peptidoglycan Recognition Protein-LB as a fusion protein)

  • 김슬기;김한이;우재성;조현수;정연진;이승택;하남출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2호통권82호
    • /
    • pp.179-184
    • /
    • 2007
  • 단백질 티로신 kinase인 PTK6는 대부분의 유방암에서 과발현되며, 암세포의 증식만을 촉진하는데 역할을 한다. 이 연구에서 PTK6의 활성도메인을 초파리의 peptidoglycan recognition protein (PGRP) -LB 단백질을 퓨전파트너로 사용하여 바큘로바이러스 시스템을에서 과발현하는데 성공하였다. 우리는 PGRP-LB가 바큘로바이러스 시스템에서 잠재적으로 퓨전 단백질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처음으로 발견하였다. 정제된 PTK6단백질은 기존의 박테리아에서 발현된 단백질보다 1.5배 높은 활성을 지녔다. 이 단백질은 PTK6의 분자기전 및 그것의 저해제 개발에 필수적인 결정 구조를 규명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대두-수수 혼합곡물의 템페발효 (Tempeh Fermentation from a Mixture of Soybean and Sorghum Grain)

  • 김종태;김철진;김동철;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68-674
    • /
    • 1990
  • 대두, 수수, 대두-수수 혼합곡물 템페를 인도네시아의 전통적인 종균(LARU ; mixed cultures of Rhizopus oligosporus)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발효가 끝난 후 대두 템페와 대두-수수 혼합템페는 단백질과 섬유질의 양이 발효시키지 않은 대조군 시료보다 증가하였고, 지방 함량은 수수템페와 대두-수수 혼합템페의 경우 약간 증가하였다. 발효가 진행함에 따라 3가지 형태의 템페 모두가 pH, 수용성 고형분, 수용성 질소 함량이 증가한 반면 총고형분 함량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트립신억제제 활성(TIA)과 피트산 함량은 발효 32시간 후 감소되었다. 이는 Rhizopus oligosporus 균이 대두를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트립신억제제와 피트산을 분해하는 분해능을 가지고 있음을 제시하는 결과이다. 티아민과 나이아신 함량이 3가지 형태의 템페 모두에서 증가하였다. 32시간 발효 후 대두, 수수, 대두-수수 혼합템페 모두에서 총아미노산 함량은 감소하였고 아미노산 중 리신, 발린, 티로신, 알라닌 등이 증가하였고 세린과 글루탐산 이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