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퇴직에 대한 태도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6초

중년직장인의 퇴직태도가 퇴직준비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tirement Attitude of Middle-aged Employees on Retirement Preparation and Job Satisfaction)

  • 정경화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1호
    • /
    • pp.43-53
    • /
    • 2021
  • 이 연구는 서울과 수도권에 근무 중인 40~50대의 중년직장인을 대상으로 중년직장인이 인지하는 퇴직에 대한 태도가 퇴직준비와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연구이다. 서울과 수도권에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한 것 중 회수된 362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두 개의 가설을 세워 가설검증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중년직장인의 퇴직태도 중 강요된 좌절은 퇴직준비의 재정과 가족에만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새로운 출발은 퇴직준비의 모든 하위변인(재정, 가족, 건강, 여가와 봉사)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가설인 직무만족도의 영향에선 퇴직태도의 노년휴식과 새로운 출발이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퇴직을 강요된 좌절이라고 인지할수록 재정과 가족에 대한 퇴직준비가 낮았고, 퇴직을 새로운 출발로 인지할수록 퇴직준비의 모든 항목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퇴직을 노년의 휴식과 새로운 출발이라고 인지할수록 직무만족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 이로써 퇴직을 앞둔 중년직장인들의 퇴직에 대한 태도가 퇴직준비와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년직장인의 회복탄력성이 퇴직태도와 퇴직준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silience of Middle-aged Employees on Retirement Attitude and Retirement Preparation.)

  • 정경화;김기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495-507
    • /
    • 2020
  • 이 연구는 퇴직을 앞둔 50세 이상의 중년직장인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이 퇴직태도와 퇴직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양적연구이다. 서울과 수도권에 근무 중인 50세 이상의 상용직 재직자 214명을 연구표본으로 사용하였다.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요인 간의 상관관계와 집단 간 평균차이 검증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요인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남성재직자가 여성보다 자기조절능력과 가족에 대한 퇴직준비가 높았고, 근무기간이 긴 재직자일수록 건강에 대한 퇴직준비가 높았으며, 학력이 높은 재직자일수록 퇴직을 새로운 출발로 높게 인지하였고, 가구소득이 높은 재직자일수록 긍정성이 높고 퇴직을 새로운 출발로 높게 인지하였으며 재정에 대한 퇴직준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복탄력성은 퇴직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회복탄력성이 높은 재직자일수록 퇴직을 새로운 출발로 높게 인지하는 반면, 강요된 좌절로는 낮은 인식을 보였다. 셋째, 회복탄력성은 퇴직준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회복탄력성이 높은 재직자일수록 재취업, 가족, 재정, 건강 등에 대해 퇴직준비를 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퇴직태도는 퇴직준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퇴직을 긍정적으로 높게 인식하는 재직자일수록 퇴직에 대한 준비를 더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로 퇴직을 앞둔 50세 이상의 중년직장인의 회복탄력성과 퇴직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의 중요성이 검증되었고, 그로인해 퇴직에 대한 막연한 불안을 최소화시켜주고 퇴직 전 퇴직에 대한 준비의 중요함에 확인시켰다.

임상간호사의 성공적 노후인식, 퇴직에 대한 태도 및 노후대책 (Attitudes toward Aging and Retirement Planning of Clinical Nurses)

  • 이민숙;이지현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29-141
    • /
    • 2013
  • Purpose: This study examine the relationships retirement plans,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and attitude toward retirement nurs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200 nurses at two hospitals in C City. The data collection period from Nov. 1 to Dec. 31, 2011. Results: The degree of retirement significant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dependent, duration of employment, shift, department, annual salary. he degree of economic retirement pla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dependent home, duration of employment, department, annual salary. he degree of physical retirement pla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dependent, department. The degree of emotional retirement pla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department. Conclusion: mprove the retirement of clinical nurse, we need a systematic based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중년재직자의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퇴직태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Resilience of Middle-aged Employees on Job Satisfaction: Meditating Effect of Retirement Attitude)

  • 정경화;김기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452-462
    • /
    • 2020
  • 이 연구는 현재 직장에 재직 중인 중년재직자들의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퇴직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서울과 수도권에 근무 중인 40세 이상의 상용직 재직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530부를 배포하여 490부가 회수되었고 불성실 응답, 이상치 등 연구에 부적합한 설문지 22부를 제외 한 468부를 연구표본으로 사용하였다.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상관관계와 집단 간의 차이분석 및 가설검증을 위한 중다회귀분석과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남성은 회복탄력성의 자기조절능력과 직무만족도가 여성보다 높았고, 여성은 퇴직태도의 노년휴식이 남성보다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학력이 높을수록 퇴직을 새로운 출발로 높게 인식하였고, 근무기간이 길수록 회복탄력성의 자기조절능력과 직무만족도가 높았으며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회복탄력성의 긍정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회복탄력성의 모든 하위변인은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복탄력성은 퇴직태도의 강요된 좌절에 부(-)의 영향을 미쳤고, 새로운 출발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퇴직을 새로운 출발로 높게 인식하는 반면 강요된 좌절로는 낮은 인식을 보였다. 넷째, 퇴직태도의 강요된 좌절과 새로운 출발은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도와의 인과관계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연구결과 회복탄력성의 중요성이 확인되었고, 퇴직에 대한 불안을 낮추고 직무만족도는 높여줄 수 있도록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남성 퇴직자의 생활태도 유형화 및 유형별 퇴직후 적응도 (Life Attitude Patterns and Post-Retirement Adaptation among Men Retirees)

  • 성미애;옥선화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21
    • /
    • 200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retiree's job, leisure, and family attitud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ttitude types; and to examine the retirement adaptation level of each attitude typ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ur attitude types can be categorized: 'the job involved attitude type', 'the total positive attitude type', 'the leisure positive attitude type', and 'the total negative attitude type'. Second, the result of the discriminant analysis shows that 'the job-family experience before retirement and number of unmarried children' element was the most crucial in classifying the retiree's attitude. And 'the retirement reception and individual resource element' was in orders of discrimination power Third, 'the total positive attitude type' is the highest level of retirement adaptation.

조기퇴직자의 생활적응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일상생활 조사연구 : 일상생활 만족/불만족 근거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Daily Life of the Early Retirees : Content Analysis of Sources of Life Satisfaction/Dissatisfaction)

  • 한혜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1권
    • /
    • pp.287-310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에 거주하는 조기퇴직자를 대상으로 일상생활 만족도를 조사하고, 만족 혹은 불만족의 근거를 파악하기 위해 일상생활에 대한 심층 면접조사를 통하여 이들이 하루를 어떻게 보내고 경험하는지를 조사하며, 내용분석을 통해 만족 혹은 불만족의 근거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55세 이상 64세 이하의 조기퇴직자 101명을 대상으로 일상생활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그 결과 매우 만족, 만족/만족하는 편, 불만족/불만족하는 편, 매우 불만족하는 대상자 93명에 대한 개별적인 심층면접 결과를 통해 만족 혹은 불만족의 근거와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본 조사대상자의 일상생활 만족도 수준은 5점 척도에서 평균 2.68로 낮은 편이었다. 일상생활 만족, 불만족의 근거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 내적, 심리적 상태, 가족관계, 경제상태, 사회적 관계, 주요 일과, 퇴직에 대한 태도라는 6개의 카테고리와 31개의 구체적인 만족 근거, 35개의 구체적인 불만족 근거를 도출하였다. 퇴직 후 일상생활 만족, 불만족의 근거에 대한 응답분포를 분석한 결과, 불만족의 가장 큰 근거는 일과 관련된 것으로서 조기퇴직자자들의 일에 대한 열망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가정에서의 어려움, 경제적 어려움, 무위/무료한 일상에서 오는 불만족도 매우 빈번하게 지적되었다. 반면 일상생활 만족의 주요 근거로는 내적, 심리적 상태와 가족관계, 경제적 안정, 다양한 여가생활 등이 빈번하게 지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조기퇴직자의 생활적응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거시적, 미시적 차원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 PDF

중년기 직장 남성의 퇴직에 대한 태도와 퇴직 후 생활 계획 (Middle-aged employed men's attitudes toward retirement and plans for post-retirement life)

  • 이승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125-135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verall levels of the middle-aged employed men's attitudes toward retirement and plans for post-retirement life, and to explore the relative effects of personal, family, and job characteristics on retirement attitude and the level of retirement pla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438 middle-aged (ranging from 41 to 50) employed men through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ile,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show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had neither positive nor negative attitude toward retirement and the level of planning for post-retirement life was slightly higher than average score on the scale. Next, the positive attitudes of middle-aged employed men toward retirement were observed from those who have higher education, larger household income, higher job security and lower job stress respondents who hold professional, administrative, or official jobs were more positive toward retirement than those who hold professional, administrative, or official jobs were more positive toward retirement than those who hold manufacturing or sales job. A well-planned post-retirement life was found among those who have better health, higher job satisfaction, job security and job orientation. Job characteristic variables such as job security and job satisfaction showed stronger impact than personal or family ones on the attitude toward retirement and the level of retirement planning. Household income and health also had significant effects.

  • PDF

직장인의 직무수행능력, 노후준비도, 미래불안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연구: 퇴직후 삶에 대한 또 다른 성공기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Office Workers' Job Performance Ability, Retirement Readiness, and Future Anxiety on Entrepreneurship Will: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nother Success Expectation on Life after Retirement)

  • 박국근;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6호
    • /
    • pp.167-187
    • /
    • 2020
  • 현재 우리나라는 초고령화 사회로 변화되어 가고 직장인은 주된 일자리에서 평균 49.5세에 퇴직하며, 국민연금은 현재 62세에서 2034년까지 65세로 늦춰지는 상황에서 직장인의 퇴직 이후 고령화에 대비한 연구가 필요함. 전국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퇴직이후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퇴직이후 삶에 대한 또 다른 성공기대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퇴직이후 100세까지 지속가능한 직업, 즉 직장생활 속 지혜와 경험을 살린 창업을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개인의 태도변화와 체계적인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연구결과, 직무수행능력인 목표수행능력, 노후준비도인 경제적 준비, 외적관계준비 및 미래불안감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직무수행능력인 신기술활용능력, 노후준비도인 신체적준비, 내적관계준비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적관계준비와 창업의지, 미래불안감과 창업의지 간의 영향관계에서 또 다른 성공기대감은 부분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경제적준비와 창업의지 간의 영향관계에서는 완전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퇴직이후의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또 다른 성공기대감이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잠재적 창업자인 직장인이 재직하는 동안 초고령화에 따른 정부의 재정적 부담도 줄이고 직원교육을 통한 기업의 성장도 이룰 수 있도록 정부지원의 교육시스템을 회사 내에 도입, 직장인의 인생 3모작을 위한 기업가정신 및 목표수행능력 향상프로그램을 도입, 개인과 기업의 성장 및 정부의 재정 부담을 줄이는 해결책이 될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시니어 대상 창업교육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계획된 행동이론과 자기결정 이론의 통합모델 중심으로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Seniors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Integrat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Self-determination Theory)

  • 정찬영;이소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4호
    • /
    • pp.69-81
    • /
    • 2020
  • 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과 자기결정 이론의 통합모델을 활용하여 40대와 50대 시니어들의 창업 동기가 창업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를 거쳐서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시니어 대상 창업 교육이 유의한 조절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40대, 50대 시니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총 284개의 설문 응답 중 243개의 유효한 설문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연구분석은 SPSS 24, AMOS 23 구조방정식, 조절효과 분석을 위한 Hayes 교수의 Process 3.4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내적 동기는 창업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적 동기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창업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는 창업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교육의 조절효과는 창업에 대한 태도가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는 유의한 정(+)의 조절효과가 나타났고, 창업에 대한 주관적 규범이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는 유의한 부(-)의 조절효과가 나타난 반면, 창업에 대한 지각된 행동통제가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는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퇴직한 시니어들이 창업에 뛰어들고 있는데, 창업을 하고자 하는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를 진단함으로써 창업의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창업 지원 프로그램 기획 및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시니어 대상 아웃플레이스먼트 프로그램에 재취업 교육뿐 아니라 창업 교육을 병행함으로써, 시니어들의 퇴직 이후의 인생 이모작 기회를 넓혀주는데 기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