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Life Attitude Patterns and Post-Retirement Adaptation among Men Retirees  

성미애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옥선화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v.40, no.1, 2002 , pp. 1-2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retiree's job, leisure, and family attitud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ttitude types; and to examine the retirement adaptation level of each attitude typ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ur attitude types can be categorized: 'the job involved attitude type', 'the total positive attitude type', 'the leisure positive attitude type', and 'the total negative attitude type'. Second, the result of the discriminant analysis shows that 'the job-family experience before retirement and number of unmarried children' element was the most crucial in classifying the retiree's attitude. And 'the retirement reception and individual resource element' was in orders of discrimination power Third, 'the total positive attitude type' is the highest level of retirement adaptation.
Keywords
life attitude patterns; post-retirement adapt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정숙(1997). 기혼여성의 일에 대한 가치관과 직무 관련 태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문소정(1995). 가족이데올로기의 변화. 여성한국사회 연구회 편. 한국가족문화의 오늘과 내일. 서울: 사회문화연구소 출판부
3 박경란(1988). 노년 여성의 생활만족도 연구 -장남 부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백근영(1993). 은퇴한 남자노인의 성격적응특성에 따른 적응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서병숙(1996). 노인연구. 서울: 교문사
6 허정무(1993). 교원의 정년퇴직 준비과정과 퇴직 후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호정화(1998). 교사의 일과 은퇴에 대한 태도 연구 -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Glamser, F. D. (1976). Determinants of a positive attitude toward retirement. J of Gerontology, 31(1), 104-107   DOI   ScienceOn
9 Goudy, W. J., E. A. Powers & P. Keith. (1975). Work and Retirement:A Test of Attitudinal Relationship. J of Gerontology, 30(2), 193-198   DOI   ScienceOn
10 Harris, D. K. & W. E. Cole. (1980). Sociology of Aging. Boston: Houghton Co.
11 Miller, B. C. & D. H. Olson. (1990). Types of Marital Interaction:Using Cluster Analysis. In W. D. Thomas & A. C. Marcos (eds.). Family Variables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Use-. NewburryPark,CA: SAGE Publications
12 Small, S & D. Riley. (1990). Toward a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Work Spillover into Family Life. J of Marriage and Family, 52(1), 51-61   DOI   ScienceOn
13 Campbell, A, P. E. Converse, & W. L. Rodgers.(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14 Greenhaus, J. H. & N. T. Beutell. (1985).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 76-88   DOI
15 양병화(1998). 다변량자료 분석의 이해와 활용. 서울. 학지사
16 손승영(1997). 경제변화에 따른 조직내 남성의 역할 변화 인식과 갈등 제1회 건강가족상 수립을 위한 세미나. 급변하는 사회에서 중년기 남성이 겪는갈등과 불안
17 Kahn, R. P. (1989). Women and Time in Childbirth and During Lactation. In F. J. Forman & C. Sowtorueds.). Taking Our Time - Feminist Perspectives on Temporality. Oxford:Pegamon Press
18 이광규, 김태현, 최성재, 조흥식, 김규원(1996). 가족의 관계역동성과 문제인식. 서울: 집문당
19 전병재, 안계춘, 박종연(1995). 한국사회의 전문직업성 연구. 서울: 사회비평사
20 Ragheb, M. G. & J. G. Beard. (1982). Measuring Leisure Attitude. J of Leisure Research, 14(2), 155-167
21 유안진(1992). 인간발달신감. 서울: 문음사
22 김희정(1997). 차세대 노인의 노후생활형태 인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Hair, J. F., R. E. Anderson, R. L. Tathan & W. C. Black. (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NJ: Prentice-Hall, Inc.
24 김정현(1995). 가족지지가 남자노인의 은퇴스트레스 와 은퇴후 적응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상위 직종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승아(1998). 중년기 직장남성의 퇴직에 대한 태도 와 퇴직 후 생활계획.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최성재(1989). 퇴직예정자의 퇴직에 대한 태도 및 퇴직 후 생활전망의 인식에 대한 연구. 사회 복지연구. 1, 47-65
27 김애순, 윤진(1995). 은퇴이후의 사회심리적 영향 - 은퇴는 위기인가?-. 조기퇴직과 장, 노년기의 위기문제 제6회 노인복지 세미나. 서울:서울 특별시. 한국노년학회
28 통계청(1997). 한국사회 직업구조의 특성과 변호변석
29 한국여성개발원(1992). 가족의식에 관한 한국과 일본의 비교연구 -서울과 후쿠오카현을 중심으로서울: 한국여성개발원
30 김외숙(1991). 도시기혼여성의 여가활동 참여와 여가 장애.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Levinson, D. J.(1978). The Seasons of A Man's Life. NY:Ballantine Books
32 홍두승, 구해근(1995). 사회계층, 계급론. 서울: 다산 출판사
33 황현주(1994). 맞벌이부부의 가정생활과 직장생활간의 역할전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Parker, S. R. (1983). Leisure and Work. London: Allen & Unwin
35 황택순(1992). 직장-가족갈등과 삶의 만족간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Kilty, K. M. & J. H. Behling. (1985). Predicting the Retirement Intentions and Attitude of Professional Workers. J of Gerontology, 40(2), 219-227   DOI   ScienceOn
37 서병숙(1988). 노후적응에 관한 연구 -생활만족도 및 가족의 교류도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김향은, 정옥분(1992). 정년퇴직을 앞둔 중년남성의 심리적 불안. 대한가정학회지. 30(2), 159-170
39 이영준(1995). SPSS/PC+ 를 이용한 다변량분석. 서울: 석정
40 Fillenbaum, G. G. (1971). On the Relation between attitude to work and attitude to retirement. J of Gerontology, 26(30), 244-248   DOI
41 Richardson, V. & K. M. Kilty.(1992). Retirement Intentions Among Black Professionals: Implications for Practice with Older Black Adults. The Gerontologist, 32(1), 7-16   DOI   ScienceOn
42 Laslett, P. (1996). A Fresh Map of Life -The Emergence of the Third Age-. London: Macmillan Press Ltd.
43 박충선(1995). 조기퇴직자의 가족적 지원과 대책 방안. 한국노년학, 15(1). 125-137
44 심은경(1983). 은퇴한 노인의 가정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양한주(1998). 중학생의 직업가치관과 직업선호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권문일(1996). 노인의 은퇴결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7 정재희(1995). 근로자의 직무유형에 따른 여가태도, 여가만족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김종숙(1987). 한국노인의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9 태원경(1995). 중등교원의 선호하는 은퇴시기 및 은퇴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장인협, 최성재(1992). 노인복지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51 한경혜(1997). 아버지상의 변화. 여성한국사회연구회편. 남성과 한국사회. 서울: 사회문화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