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지이용-교통 모형

Search Result 9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Land Use-Transportation Model with Taste Heterogeneity (행태의 다양성을 고려한 토지이용 - 교통모형의 개발)

  • 김익기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9 no.2
    • /
    • pp.87-100
    • /
    • 1991
  • 1960년 초부터 토지이용과 교통의 상관관계를 계량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는 경제이론을 배경으로 하여 개발된 McKinnon-Type 모형과 Mills-Type 모형, 그리고 경제학이 반영되어있지 않은 Lowry-Type 모형으로 크게 대별할 수 있다. 이제까지의 이러한 연구는 각 가정의 주거입지선정과 직장선정에 있어서 취향의 다양성(taste heterogeneity)을 고려하여 있지않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로짓모형을 이용하여 Alonso(1964) 모형을 더욱 발전시켜 토지이용-교통의 일반균형 모형(general equilibrium model)을 개발하였다. 이 통계적 토지이용-교통모형은 완전 경쟁하의 일반균형상태에서 주택임대료, 노동력임금, 상품가격이 내생적으로 산출되어지며, 동시에 효율적인 교통체계하에서 일반균형상태의 생산량과 생산부지 그리고 주거수와 주거부지가 어떻게 분배되는지를 내생적으로 결정한다. 이논문에서 효율적인 교통체계라함은 해당 죤에서 도로에 사용된 토지의 임대료가 교통체증비용의 전통행량에 대한 합과 동일하도록 하는 최적교통체증정도(optimal congestion level)을 유지할 수 있는 도로체계를 뜻한다. 또한 비효율적 교통체계하에서는 토지 이용에 왜곡이 생겨서 전체적 비용의 상승으로 각 국민 혹은 각 주민이 생활에서 얻을 수 있는 효용가치가 떨어짐을 분석할 수도 있다.

  • PDF

An Integrated Urban Land Use-Transportation Model (도시부 토지이용과 교통의 복합모형)

  • 김창조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 no.1
    • /
    • pp.94-104
    • /
    • 1985
  • 도시부의 활동이 지방부의 그것과 크게 다른점은 토지이용의 집약도가 높은 데 있 다 하겠다. 지금까지 도시부 토지이용의 밀도변위등에 관계되는 사정은 잘 인식되어 오기는 하였으나 이를 실용적 모형으로 다룬 예는 극히 드물다. 본 논문은 다양한 수송수단을 포용 하는 교통망에서의 혼잡비용이 토지이용의 집약도에 따라 효과적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하 는 토지이용과 교통의 복합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품종교통류 및 I/O모형의 범 주에서 비선형계획의 접근방법이 채택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Forecasting Models Considering Urban-Transportation System Characteristics (토지이용 및 교통특성을 반영한 교통사고 예측모형 개발 연구)

  • Park, Jun-Tae;Jang, Il-Jun;Son, Ui-Yeong;Lee, Su-Beo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9 no.6
    • /
    • pp.39-56
    • /
    • 2011
  • This study proposed a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developed based on administrative districts of Seoul. The model wa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accident rates and the representative land usage of the districts (development density) - the higher the development density (building floor area) is, the higher the traffic accident rate is. The findings showed that traffic accident statistics differ from (1) residential building floor area, (2) commercial building floor area and (3) business building floor area.

A Numerical Analysis of Land Use-Transportation Model as a Form of Analytical Tool (수치해석적 토지이용-교통모형의 이론연구 도구화: 교통수요의 내생화를 중심으로)

  • Yu, Sang-Gyun;Rhee, Hyok-J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1 no.2
    • /
    • pp.33-44
    • /
    • 2013
  • The land use-transportation models typically have complicated model structure that is good for empirical execution but bad for theoretical probe. This complexity makes it very difficult to derive the first-order conditions for system optimization in tractable forms. Yu and Rhee (2011) and Rhee (2012) show how to simplify the derivative of the model's objective function with respect to policy variables in the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 of land use and transportation. However, the travel demand in their model was fixed. This drawback fundamentally limits the applicability of their methodology in the planning field. We relax this restriction. Once this is done, we can employ the methodology developed in analyzing the impacts of various types of policy instruments in the models where land market is treated endogenously and transportation network is embedded.

A SEQUENTIAL LAND USE / TRANSPORTATION MODEL WITH EXTERNALITIES : LINKING THE DYNAMICS OF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URBAN SPATIAL STRUCTURE (도시토지이용과 교통에 관한 연속적 모형 : 지역경제성장과 도시공간구조와의 동태적 접근)

  • 서종국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3 no.2
    • /
    • pp.19-42
    • /
    • 1995
  • 1980년대 후기부터 교통정책의 우선 목표는 지역경제성장 자체가 교통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의 관리 중시의 정책은 다시 토지이용 정책으로 변화를 초래하엿다. 오늘날 대도시는 개개 졍제활동 주체들의 동적인 경제 행태에근거하여 분산구조를 띠고 있다. 이러한 동적인 경제행태에 미치는 요소들은 교통체계와 토지이용과 상호연관성의 연구에 필수적인 지가, 인구분포, 통행행태등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단핵도시 모형은 대도시의 분산구조형태의 동적인 과정을 설명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대도시의 변천과정을-도심 및 부심의 출현·소멸현상-설명함으로써 도시교통정책 필수적인 입지와 통행패턴에 대한 새로운 동태적 이론의 기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지역경제 성장과 도시공간구조와의 동태적관계를 통합하는 토지이용과 교통의 연속 모형을 개발·응용하였다. 개발된 모형에서는 교통량에 따른 교통비용, 도시공간구조로 인한 외부효과들, 경제활동주체들의 비동질성, 이주비용, 그리고 집적 이익등이 매기마다 내생적으로 결정되어 대도시의 공간구조 변화를 설명한다. 경제 호라동주체들간의 ? 호물리적 교류는 소득 증대에 의하여 경제구조가 변함에 따라 새로이 결정된다. 가상적 도시와 자료를 가지고 실험한 결과 비동질적인 경제주체들의 불균형적 성장이 장기적으로 도시구조에 영향을 미치며, 기본적인 경제행위에 따라 장기동태적인 과정을 통하여나타나는 도시의 분산구조형태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교통비용의 변화에 따른 민감도분석을 통하여 모형의 실용성을 검정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Models in Seoul Considering Land Use Characteristics (토지이용특성을 고려한 서울시 교통사고 발생 모형 개발)

  • Lim, Samjin;Park, Juntae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9 no.1
    • /
    • pp.30-49
    • /
    • 2013
  •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a new traffic accident forecasting model on the basis of land use. A new traffic accident forecasting model by type was developed based on market segmentation and further introduction of variables that may reflect characteristics of various regions using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Method.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activities variables such as the registered population, commuters as well as road size, traffic accidents causing facilities being the subjects of activities were derived as variables explaining traffic accidents.

Analyzing Impacts of Telecommunications on Travel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통신이 통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 Chu, Sang-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4 no.3 s.89
    • /
    • pp.157-16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lecommunications impacts on travel in a comprehensive system, considering demand, supply, costs, and land use. This study first Presents a conceptual model, considering causal relationships among travel, telecommunications, land use, economic activity, and socio-demographics. Then, based on the conceptual model, the aggregat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elecommunications (local telephone calls, toll calls, and mobile phone subscribers) and travel (vehicle-miles traveled and number of transit Passengers) are explored in a comprehensive framework,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national time series data spanning 1950-2000 in the U.S. The model results suggest that as telecommunications demand increases, travel demand increases, and vice versa. Additionally.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nd land use significantly affect travel demand.

Developing a Method for Estimating Urban Environmental Impact Using an Integrated Land Use-Transport Model (토지이용-교통 통합 모형을 활용한 도시 환경 영향 예측 방법론 개발)

  • HU, Hyejung;YANG, Choongheon;YOON, Chunjoo;KIM, Insu;SUNG, Jungg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3 no.3
    • /
    • pp.294-303
    • /
    • 2015
  • This paper describes a method that can be used for estimating future carbon emissions and environmental effects. To forecast future land use and transportation changes under various low carbon policies, a DELTA and OmniTRANS combination (a land use-transport integrated model) was applied. Appropriate emission estimation methods and dispersion models were selected and applied in the method. It was designed that the estimated emissions from land use and transportation activity as well as the estimated concentrations of air pollutants and comprehensive air quality index (CAI) are presented on a GIS-based map. The prototype was developed for the city of Suwon and the outcome examples were presented in this paper; it demonstrates what kinds of analysis results are presented in this method.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ed method will be very useful for decision makers who want to know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olicies in cities.

Analysis of Congestion Tolls Using the Land Use-Transportation Model When Toll Revenues Are Recycled (세수 재순환과 토지이용-교통모형을 이용한 혼잡통행료 분석방법론)

  • Rhee, Hyok-J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2 no.4
    • /
    • pp.357-368
    • /
    • 2014
  • So far, land use-transportation models have been used exclusively for numerical analysis. A recent theoretical endeavor now enables us to derive the first-order derivative of the model's welfare function with respect to policy variables. I extend this methodology into the institutional setting where toll revenues are recycled through labor income tax. In this setting, the first-order derivative is composed of (1) the increase in welfare due to reduced congestion, and (2) the decrease in welfare due to interaction with the existing labor income tax. This result coincides with existing theory in the non-spatial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