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Search Result 358, Processing Time 0.04 seconds

The Statistical Study on the Effect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on Single Extraction Methods for Heavy Metals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중금속 단일용출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통계학적 연구)

  • Han, Hyeop-Jo;Song, Chang-Woo;Lee, Jong-U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4 no.2
    • /
    • pp.259-269
    • /
    • 2021
  • The effects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such as soil pH,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organic matter content on single extraction of Cd, Cr, Cu, Ni, Pb, and Zn using CaCl2, HOAc, HNO3, and DTPA were statistically investigated for 69 agricultural soils in Kore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for soil samples which were grouped on the basis of average values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Diluted HNO3 extracted higher concentrations of Cr, Cu, Ni, and Pb when compared with the other extractants, however, similar amounts of Cd and Zn were extracted by HOAc with HNO3.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DTPA extraction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other single and pseudo-total extraction methods,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fluenced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leached by the single extraction methods. In the case of Zn, high correlations between pseudo-total and the studied single extraction methods were observe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could explain up to 74% of variances of the single extraction resul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can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extracted by the single extraction methods.

Comparisons of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me Growing Media using European Standard and Self-Compaction Methods (자체중량다짐법과 유럽표준방법에 의해 충진된 상토의 물리화학적 특성 비교)

  • 박현준;손정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2.04a
    • /
    • pp.101-105
    • /
    • 2002
  • 최근 원예 분야에 무토양 상토가 매우 광범위하게 쓰이고,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무토양상토는 피트모스, 코코피트, 펄라이트, 버미클라이트 등 많은 유ㆍ무기 소재의 혼합물이다. 따라서 일반토양과는 수분특성과 단위체적중량이 완전히 다르며, 일반토양분석방법으로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무토양상토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비교 분석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중략)

  • PDF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Soil in China (황사토양입자의 물리ㆍ화학적 특성)

  • 신선아;고준석;한진석;최덕일;여상진;박순웅;김신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179-180
    • /
    • 2003
  • 황사가 발생하는 중국 지역의 토양 특성은 우리나라로 이동되어온 황사성분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황사토양입자의 특성과 지역적 차이에 대한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대표적인 황사 발생원으로 알려져 있는 중국 내륙의 황토지역과 북부 사막지역을 포함하는 총 37개의 토양 시료를 중국에서 채취하였으며, 채취한 각 토양시료의 분석을 통해 황사토양입자의 물리ㆍ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Investigation of Resistivity for Rock and Soil in South Korea (전국의 암석, 토양층에 대한 토양비저항 조사)

  • Lee, H.G.;Bae, J.H.;Ha, T.H.;Kim, D.K.;Choi, S.B.;Jeong, S.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07c
    • /
    • pp.1354-1356
    • /
    • 1999
  • 토양에 대한 연구는 오래 전부터 시작되었으며, 여러 가지 방법으로 토양의 특성을 조사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한 분류법이 제안되어 왔다. 국내에서도 해방 전부터 토양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으나, 농업에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각각의 연구결과는 물리, 화학적으로 정량화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환경에 따른 특성의 변화를 예측할 수 없다. 또한 접지설계 등의 전기관련 분야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토양의 개념, 생성인자, 분류 및 전기적 특성 등의 개요를 알아보고, 지질학 및 지구물리학적인 방법을 통하여 국내의 암석 및 토양에 대한 비저항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암석과 토양에 대한 개략적인 토양비 저항도를 작성하여 접지설계 및 지하매설 금속물의 방식 설계 등에 활용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PDF

Competitve Interactions of Cadmium with Magnesium in Three Different Soil Constituents (3개의 다른 토양에서의 카드늄과 마그네시움의 경쟁적 상호작용)

  • Doug-Young Chung
    • Journal of Korea Soil Environment Society
    • /
    • v.1 no.1
    • /
    • pp.81-88
    • /
    • 1996
  • To study the Cd adsorption in the presence of competing ions in soil-solution interphase, three soil samples from the Bt horizon were taken and analyzed for their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dsorption of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EGME) and N, were determined to establish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soils. We attempted to establish a qeneralizing competitive sorption isotherms for soils of entirely different composition of the solid phase, resulting in the routine use as a guidelines for the fate of reactive solute in soil profiles. Many physicochemical factors including competitive adsorption bettween solutes will affect the general adsorption phenomena as shown in a single not only on the soil:solution ratio used, but also on the surface areas of its respective soil samples. This phenomenon was attributed to competition Cd for sorption sites with Mg by different soil constituents. These adsorption isotherms are able to use as examples to demonstrate that this phenomenon can complicate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batch adsorption procedure as well as interpreting fate and adsorption of toxic inorganic compounds.

  • PDF

Vertical Soi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t Landscape Planting Sites of Pinuse thunbergii Parlatore in Reclaimed Land from the Sea on Kwangyang Bay (광양만 임해매립지 곰솔 식재지역 토양환경의 수직적 특성)

  • 김도균;김용식;김민수;오구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5 no.2
    • /
    • pp.186-192
    • /
    • 2001
  • 본 연구는 전라남도 광양만의 6개 임해매립지 식재지반의 토양환경 특성을 조사분석하였다. 토심이 깊어짐에 따른 토양성질의 수직적 특성은 각 식재지반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토양성질의 수직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토와 준설토의 이질서, 토양의 물리. 화학성의 교란, 지반하부에 잔존하는 염류의 이동, 유기물의 이동과 강우나 가뭄 등이었다. 수목생 상 유리한 식재지반은 식재지반의 높이가 낮은 곳보다 높은 성토지역이었으며, 이것은 토양의 물리. 화학적 교란과 지하부의 염류로부터 안전성이 높기때문이었다. 조경식물의 생육상 불리한 토양성질들은 토성의 이질서, 토양의 경화, 알칼리성 염류토양, 높은 ECe, Na, K. 저농도의 Ca, Mg, T-C등이었으며, 이러한 토양성질들은 표토보다는 지하의 근권부에 주로 분포하여 있었다. 따라서 임해매립지 식재지반 조성시에는 토양의 성질이 교란되지 않은 방법이 모색되어야 하며, 조경수목의 생육에 관련된 토양환경조사는 지하근권부 이하까지 정밀하게 조사. 분석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사료되었다.

  • PDF

Analysis and Improvement of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for Transplantation of Damaged Trees (훼손 수목의 이식을 위한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과 개선 방안)

  • Hyesu, Kim;Jungho, Kim;Yoonjung, Moon;Seonmi, Lee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1 no.6
    • /
    • pp.423-437
    • /
    • 2022
  • Parts of damaged trees are being transplanted in accordance with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Manual. Problems such as death or poor growth are constantly being addressed in the process of transplanting trees from the forest they originally inhabited to temporary and final transplant si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oil properties in the surrounding forest, the temporary transplant site, and the construction site and to suggest methods for improving the soil to make it suitable for the growth of transplanted trees. For 10 development projects, 2 soil samples were sampled from the surrounding forest, temporary transplant site, and construction site. A total of 60 soil samples were analyzed for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mong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coefficient of permeability, available moisture, and hardness, and chemical properties such as acidity, organic matter content, total nitrogen, and available 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The soil of the construction site is harder than the surrounding forest because of construction equipments,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is higherthan the surrounding forest because of high sand content, and the available moisture was low. It does not retain the moisture necessary for plants in the soil and drains immediately.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tillage to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and structure of the soil.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ver the surface with wood chips or fallen leaves after adding mature organic matter to improve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together.

Estimation of Soil Organic Carbon Storage Using Soil Characteristics (토양 특성을 이용한 토양유기탄소저장량 산정)

  • Lee, Taehwa;Kim, Sangwoo;Chun, Beomseok;Jung, Younghun;Shin, Yo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96-196
    • /
    • 2020
  • 토양은 육상생태계에 있어 가장 많은 탄소를 저장하고 있으며, 대기 중 CO2를 토양탄소로 전환하여 쉽게 방출되지 않고 토양 내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듯 토양 유기탄소 배출관리는 기후변화에 있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토지이용의 변화와 무분별한 관리로 인하여 토양내에 저장되어 있는 토양 탄소배출이 지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다. 따라서 토양탄소 배출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수치적으로 표현하는 가치평가가 필요하다. 현재 토양에 저장된 토양유기탄소 함량을 토양통별로 토양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고 있지만 국내 토양 토양탄소 저장량의 산정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양 특성을 이용하여 토양 유기탄소 저장량을 산정하고, 산정된 토양 유기탄소 저장량과 정밀토양도를 이용하여 남한의 토양 유기탄소 가치평가를 실시하였다. 토양의 특성은 물리적 특성인 모래(Sand), 이토(Silt), 점토(Clay), 자갈(Gravel)함량과 화학적 특성인 유기물함량(Organic Matter)를 사용하였다. 토양 유기탄소저장량 산정의 검증을 위하여 전라남도 진도군의 토양유기탄소 저장량을 산정한 결과 486,696t으로,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남한의 토양 유기탄소 저장량을 산정한 결과 305.54Mt의 유기탄소가 저장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위 면적당 유기탄소 저장량의 경우 3.11kg/㎡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9년 상반기 기준 평균 탄소거래권 가격(27,500원/톤)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국토의 토양탄소 저장량 가치평가를 실시한 결과, 약 8조 4천억원의 경제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토양의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토양의 유기탄소 저장량을 산정하였으며, 토양에 저장되어 있는 유기탄소의 가치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농업, 수문, 기후변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Growth of Hosta longips According to Soil Depth and Composted Growing Media Available to Rooftop Garden (옥상정원에 이용 가능한 혼합 인공토양의 종류 및 토심에 따른 비비추의 생육 반응)

  • 최희선;이상수;이용범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29 no.3
    • /
    • pp.46-54
    • /
    • 2001
  • 도시녹지 면적 확대의 해결책으로 부각되고 있는 옥상정원은 조성이 용이해야 하며, 옥상정원 조성에 있어 가장 문제시되는 하중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최근 경량 인공토양의 이용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나, 자연토양에 비해 고가(高價)라는 이유로 자연토양이 주로 이용되거나, 인공토양이 이용되더라도 대부분 무기질계 단종(斷種) 인공토양만으로 시공되고 있어 식물 생육측면에서 단점 보완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옥상정원 조성에 이용 가능한 유·무기질계 인공토양들을 혼합 조성하여 그 물리·화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각각의 혼합 인공토양 및 토심에 따른 식물생육을 조사해 봄으로써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12종류의 혼합 경량 인공토양 및 5종류의 토심(5, 10, 20, 30cm)으로 조성된 인공지방산에 2000년 6월 7일 비비추(Hosta longipes)를 정식하였으며, 정식 112일 후에 최종 생육조사를 실시하였다. 혼합 경량 인공 토양 및 토심에 따른 토양의 물리 화학성은 인공토양 분석법을 기초로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1) 질석;피트모스(1:1, v/v), 펄라이트:질석:피트모스(1:1:2, v/v/v), 펄라이트;피트모스;입상암면(1:1:1, v/v/v) 혼합 경량 인공토양에서 비비추의 생육이 가장 좋았으며, 물리·화학성도 다른 토양에 비해 양호하였고, 하중도 적게 측정되었다. 2) 토심에 따른 비비추의 생육에서는 토심 10∼20cm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아, 토심 10cm에서도 자생 초화류의 생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3)또한 인공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식물 생육(생체중)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전기전도도(EC), Na함량 및 토양표면 온도가 식물 생육에 있어 다른 요인들에 비해 더 큰 영향을 끼침을 살펴볼 수 있었다. 위의 결과들을 살펴볼 때 혼합 경량 인공토양은 토심을 낮추어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식물 생육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 기존 건물의 옥상정원에서도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 실험에서는 더 나아가 저장기적인 혼합 인공토양의 물리·화학성 변화 및 식물생육을 살펴보는 연구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