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토양용액

검색결과 465건 처리시간 0.025초

중석광 폐재광미의 매립지에서 나오는 침출수 중의 중금속 제거 (Heavy matal removal in leaching water from the region buried tungsten tailing)

  • 이동훈;오세강;최충렬;박만;최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8-222
    • /
    • 2000
  • 중석광의 광미를 매립한 토양에서 유출되는 침출수에 의한 환경영향을 알아보기 의하여 시기별로 용출수를 분석하고 및 zeolite column실험을 통하여 용출수 중의 zeolite를 이용하여 중금속 제거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폐재댐 침출수는 As $1.21{\sim}1.54ppm$, Pb $0.11{\sim}0.15ppm$, $SO_4\;^{2-}\;302{\sim}378ppm$으로 건설된지 수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수질을 오염시키는 정도의 중금속이 침출되고 있다. 탈이온수 및 인공산성비 (pH3, pH4)를 광미를 충진시킨 칼럼을 통과시켰을 때 pH 4의 용액에 의하여 용출되는 Mn, Na, Ca량이 탈이온수에 의한 용출보다 $1{\sim}8%$정도 증가되었으나, W, Mo은 pH가 높을수록 용출량이 많았다. Zeolite에 의한 용출수 중 중금속 제거효과는 중금속의 종류에 따라 약간씩 다르게 나타났지만 zeolite를 통과한 용액에서 낮은 농도의 중금속이 검출 되어, zeolite에 의한 폐재댐의 중금속 제거가 효과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Metarrhizium anisopliae (Metschn.) Sorok이 생산하는 Biopolymer YU-122의 물리, 화학적 특성 (Properties of Biopolymer YU-122 from Metarrhizium anisopliae (Metschn.) Sorok)

  • 최용석;옥승호;유주현;배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38-144
    • /
    • 1997
  •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Metarrhizium anisopliae (Metschn.) Sorok이 생산하는 biopolymer YU-122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고, 그의 식품 및 생물산업에의 응용 가능성을 검토하여보았다. Biopolymer YU-l22의 flow behavior index (n)는 0.173으로서 pseudoplastic한 non-Newtonian용액 특성을 보였으며, 농도, 온도 및 pH의 변화에 따른 점도의 변화를 검토한 결과 0.3% 이상의 농도에서부터 농도의 증가에 따라 급격한 점도의 증가를 나타냈으며, $60^{\circ}C$, pH 11.0까지 점도의 변화 없이 안정한 성질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에 보고된 다른 polymer와는 달리 $NaCl,\;CaCl_2$ 등의 무기염의 첨가에 대하여서도 점도의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Metarrhizium anisopliae (Metschn.) Sorok이 생산하는 biopolymer YU-122의 산업적 응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유화안정제로서의 성질 및 film 형성능, 해빙시간에 미치는 영향 등을 검토한 결과 옥수수유를 사용한 경우 xanthan gum보다 4배인 120시간동안 유화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xanthan gum보다 우수한 film 향성능을 나타내었으며, 1% biopolymer YU-122용액에서 해빙시간이 3배까지 연장되어 해빙에 미치는 영향도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beta-Galactosidase의 고정화 및 응용에 관한 연구 제1보: Aspergillus niger CAD 1의 효소생산 조건 및 효소학적 성질 (Studies on immobilization and application of beta-galactosidase I. Conditions for production and properties of the enzyme from Aspergillus niger CAD 1)

  • 이용규;전순배;최원기;정기철;배석;김관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2-39
    • /
    • 1986
  • 토양에서 분리한 여러가지 곰팡이류 가운데 beta-galactosidase 생성력이 가장 좋은 Aspergillus niger CAD 1을 효소 생산 균주로 선정 하였다. 이 균주의 효소 생산 최적 배양조건은 밀기울에 0.5% 탈지 분유를 첨가한 배지를 $30{\circ}C$에서 72시간 정치배양하는 것이었다. 아세톤으로 침전시킨 조효소(crude enzyme)는 일차로 DEAE-cellulose, 2차로 Sephadex G-100 gel filtration에 의하여 1,387배로 정제되었고 이때의 수율은 6.2%이였다. 정제된 효소의 최적 온도는 $45{\circ}C$ 최적 pH는 4.5이었으며, 기질로서 ONPG와 유당에 대한 Km값은 각각 $3.57{\times}10^3M$$83.3{\times}10^3M$, Vmax값은 각각 33.0 unit/mg protein과 15.38unit/mg protein이었다. 활성화 에너지는 9,900cal/mol이었으며 효소활성 및 안정제로 금속이온을 필요로 하지 않았다. 50ml의 탈지유, 4.8%유당 용액, 유청용액에 효소 5ml(182 unit/ml)를 침가하여 $45^{\circ}C$에서 10시간 반응시켰을 때의 유당 분해율은 각각 65%, 70%, 78%를 나타내었다.

  • PDF

롯데로제 장미의 재배방법, 수확시기 및 보존제 종류가 절화 품질과 수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ivation Method, Harvest Season and Preservative Solution on the Quality and Vase Life of Cut Rose 'Rote Rose')

  • 조미숙;황승재;정병룡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1호
    • /
    • pp.71-77
    • /
    • 2001
  • 절화장미의 수명연장에 관한 연구는 많으나 양액재배와 토경재배된 장미의 절화수명에 관한 비교연구는 거의 없다. 본 실험은 몇가지 보존제와 채화시기가 양액 및 토양재배 장미의 절화품질과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Rote Rose'를 1998년 5월 27일과 6월 14일 2회에 걸쳐 김해시의 농가에서 수확하여 실험실로 옮겨 45cm로 수중 재절단한 후 몇 가지 보존용액에 꽂아 $18^{\circ}C$(봄) 또는 $25^{\circ}C$(여름)로 유지되는 환경조절실에서 일일 16시간의 조명하에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사용된 보존제는 0.5% Chrysal RVB, BS(2% sucrose+200ppm 8HQS+0.3% Chrysal RVB) 및 Sonk1(BS+0.1mM ethionine)이며 대조구로는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생체중, 꽃직경, 꽃잎수, 개화정도는 재배방식의 영향을 받았다. 대조구나 Chrysal RVB에 비해 BS나 Sonk1에서 생체중, 꽃직경, 꽃잎수 그리고 개화정도 및 보존 용액소비량이 증가되었다. 대조구에 비해 절화수명은 Chrysal RVB, BS 및 Sonk1에서 $18^{\circ}C$에서는 2일, 그리고 $25^{\circ}C$에서는 1일 정도 연장되었다. $18^{\circ}C$처리에서 $25^{\circ}C$ 처리에 비해 절화수명은 3일 정도 더 유지되었다.

  • PDF

Brukholderia sp. MP-1 에서의 페놀화합물의 분리와 항균활성의 측정 (Isolation and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of Low Molecular Phenolic Compounds from Burkholderia sp. MP-1)

  • 마오 쏘피에;김영덕;이승제;김용웅;김인선;심재한;박노동;김길용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195-203
    • /
    • 2006
  • 길항미생물 MP-1은 여러 종의 곰팡이와 효모 및 음식물을 부패시키는 세균 (그람양성 및 음성) 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보였다. MP-1의 16S rRNA gene 염기서열은 기존에 밝혀진 Brukholderia sp.의 염기서열과 99-100% 유사하였다. 배양액으로부터의 항균물질은 에틸아세테이트 (EtOAc)를 사용하여 분리하였으며 EtOAc에 용해된 산성 분획은 silica gel, Sephadex LH-20, ODS 컬럼크로마토 그래피 및 HPLC를 사용하여서 정제를 실시 하였다. 최종적으로 Gas chromatographic-mass 스펙트럼을 통한 분석을 통하여 4 종의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phenylacetic acid, hydrocinnamic acid, 4-hydroxyphenylacetic acid 및 4-hydroxyphenylacetate methyl ester로 확인 되었다. 각각의 항균 활성물질들의 미생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MIC)는 $250{\sim}2500ug\;ml^{-1}$ 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 mm paper disc 에서의 1mg (건물중) 산성 분획의 항균활성은 같은 비율로 혼합한 표준혼합용액 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온처리(低溫處理) 수도체에 대한 엽면시비인산(葉面施肥燐酸)(32P) 의 체내 전유 및 대사산물(代謝産物)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f the Translocation and Metabolites of Radioisotope Phosphate(32P) Applied on Foliar under the Low Temperature Condition)

  • 황영수;류인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9-45
    • /
    • 1984
  • 수도체(水稻體)가 감수분열기(減數分裂期) 및 츨수기(出穗期)에 저온(低溫)이 되었을 때 엽면시비(葉面施肥)된 인산(燐酸)이 식물체내(植物體內)로 침투(浸透)되는지의 여부(與否)와 침투(浸透)된 인산(燐酸)이 이삭으로 이동(移動)되어 어떠한 형태(形態)의 인산(燐酸)으로 곡립(穀粒)에 존재(存在)하는지를 알기 위해 상온(常溫)에서 생육(生育)한 벼와 저온처리(低溫處理)한 수도체(水稻體)를 상호비교(相互比較)하여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아래와 같이 요약(要約)되었다. 1. 감수분열기(減數分裂期) 및 출수기(出穗期) 수도(水稻)에 엽면시용(葉面施用)한 $^{32}P$ 혼합(混合) 인산용액(燐酸溶液)은 식물체내(植物體內)로 쉽게 흡수이용(吸收利用)되었고 상온(常溫)($25^{\circ}C$)에서 더 잘 흡수(吸收)되나 저온(低溫)($17^{\circ}C$)처리(處理) 수도체(水稻體)에서도 상당량(相當量)이 흡수(吸收)되었다. 2. 엽면시용인산(葉面施用燐酸)은 지엽(止葉)과 같은 신전개엽(新展開葉)일수록 잘 흡수(吸收)되며 노화(老化)된 잎일수록 흡수정도(吸收程度)가 낮았다. 3. 엽면흡수(葉面吸收)된 인산(燐酸)은 대부분(大部分)이 곡실(穀實)로 이동(移動)하여 현미(玄米)에 집적(集積)되며 다른 이삭으로도 전류(轉流)되었다. 4. 곡립(穀粒) 중(中) 인산형태(燐酸形態)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상온(常溫)에서 생육(生育) 수도체(水稻體)에서는 TCA에 가용(可溶)이고 Ba에 불용(不溶)인 인산(燐酸)이 대부분(大部分)이어서 주(主)로 저장태(貯藏態) 인산(燐酸)인 phytin태(態)로 존재(存在)하였다. 5. 저온처리(低溫處理)를 받은 수도체(水稻體)에서는 Ba가용(可溶)EtOH 불용(不溶)인 당인산태(糖燐酸態)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lipid-P가 증가(增加)하였다.

  • PDF

부숙식물유체(腐熟植物遺體)에서 추출(抽出)한 Fulv 산(酸) 가수분해(加水分解) 용액중(溶液中)의 Amino 산함량(酸含量) (Amino Acid Contents in the Hydrolysates of Fulvic Acids Extracted from Decomposing Plant Residues)

  • 김정제;신영오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88-192
    • /
    • 1990
  • 볏짚, 보릿짚, 밀짚, 호밀짚의 4가지 작물유체(作物遺體)와 산야초(山野草), 활엽수(闊葉樹)와 침엽수(針葉樹) 낙엽등(落葉等) 7가지 식물유체(植物遺體)를 부열(腐熱)시키면서 경시적(經時的)으로 시료(試料)를 채취(採取)하여 추출(抽出)한 fulv산(酸)을 가수분해(加水分解)시킨후, amino산(酸)을 정량분석(定量分析)한 결과(結果)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rginine, histidine, lysine, glycine, alanine, valine, leucine, isoleucine, phenylalanine, tyrosine, serine, threonine, proline, methionine 등(等) 16종(種)의 amino산(酸)이 검출(檢出)되었다. 1. 부숙(腐熟) 90일(日)후에 유출(抽出)한 fulvic acid중에는 0.15% 내지 0.53%의 amino산(酸)이 함유되어 있었고, 산야초(山野草)에 가장 많이 그리고 밀짚에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Humic acid의 함량에 비해 1/5내지 1/31의 정도로 함랑이 적었다. 2. Neutral amino acids, acidic amino acids, basic amino acids의 순(順)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3. 부숙화(腐熱化)가 잘된 시료(試料)에서는 arginine이 검출되지 않았다. 4. Aromatic amino acid인 phenylalanine과 tyrosine은 일반적으로 검출되지 않았다. 5. Glycine,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가 주요 amino acid였으며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를 제외하고 비교해 본 결과, 각 amino산중(酸中)에서 분자량(分子量)이 낮을수록 함유된 농도가 높은 경향이었다.

  • PDF

제약폐기 은행잎중에 함유된 식물생육억제물질 분리동정 (Isolation and Chemical Structure Identification of Allelopathic Substances from the Ginkgo(Ginkgo biloba L.) Leaf Waste Produced by Phamaceutical Process)

  • 성기석;김복진;권오경;최두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77-383
    • /
    • 1997
  • 제약폐기은행잎의 유기물자원화 및 식물생장억제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은행잎 제약폐기물중에 함유된 식물생육 억제물질을 분리 동정하고 이들물질을 처리하여 무와 벼의 발아 및 초기생육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폐기은행잎 조추출물 10% 용액은 무 종자 발아율을 저하시키고 유묘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나, 1% 농도에서는 뿌리 길이가 약간 짧아졌고, 0.1% 농도는 무처리와 비슷하였다. 벼 발아율은 조추출물 10% 농도에서 31%이상 억제되었다. 2) 지베렐린 $A_3(3.3{\times}10^{-6}M)$와 조추출액(10%)을 벼 유묘와 함께 처리하면 지베렐린 $A_3(3.3{\times}10^{-6}M)$ 단독처리보다 제2엽초장이 짧았다. 3) 조추출액의 산도를 달리한 3종의 액액분리물은 (EtOAc $(pH9)A_1$, EtOAc $(pH3)A_2$, BuOH $A_3$) 모두 1% 농도에서 무 종자의 발아를 완전히 억제하였다. 4) 조추출액을 액액분리, column chromatography, HPLC에 의한 분리정제를 통하여 활성성분을 분리하고, GC/MS, NMR 분석 결과 phenol류인 catechol로 판명되었으며, 폐기은행잎 29kg으로부터 분리한 catechol량은 0.76g이었다.

  • PDF

간척지 자생 버드나무의 NaCl 농도별 생육반응 (Effects of NaCl Concentration on the Growth of Native Willow Species Collected in a Coastal Reclaimed Land)

  • 여진기;박정현;구영본;김현철;신한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24-131
    • /
    • 2010
  • 본 연구는 간척지에 자생하는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Anderson)를 대상으로 염분에 대한 내성의 범위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간척지에서 선발된 버드나무 6개체의 가지를 잘라 온실에서 삽목하여 2개월이 경과한 다음부터 NaCl 0.1%, 0.5%, 1.0% 용액과 지하수를 1개월간 관수하면서 재배하였다. 0.1% 및 지하수 처리구에서 전체 묘목의 생존율은 100%인 반면 0.5% 및 1.0% 처리구에서는 각각 73.2% 및 58.8%로 감소하였다. 0.1%와 지하수 처리구간의 묘고와 근원경 생장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엽수는 실험기간동안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0.5% 및 1.0% 처리구에서 묘고 생장은 지하수 처리구에 비해 각각 43.8% 및 88.9% 감소하였다. 0.5% 및 1.0% 처리구 묘목의 잎은 스트레스로 갈변하고 조기 낙엽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버드나무는 온실에서의 NaCl 처리결과 해안간척지에서 자생하는 개체임에도 불구하고 일반 임지에서 자생하는 버드나무보다 염분에 대한 내성 능력이 크지는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Endosulfan 과 그 분해산물의 Enzyme Immunoassay에 의한 분석법의 개발과 응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nzyme Immunoassay for Endosulfan Residue Analysis)

  • 서용택;심재한;이강봉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9-66
    • /
    • 1992
  • Endosulfan을 복잡한 시료조제과정이 필요치 않는 ELISA기법으로 분석법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항원조제를 위한 endosulfan alcohol의 합성은 86%의 수율을 보였고 endosulfan hemisuccinate는 HPLC로 그 합성을 확인하였다. Endosulfa-hemocyanin(KLH) 결합체의 수율은 3.57mg/ml였으며 이 항원은 1.1mg/ml로 희석하여 토끼에 대해 피하주사로서 면역시켰고 8주 후에 채혈된 항체 용액은 indirect ELISA로 1 : 24,000의 역가를 결정하였다. 또한 endosulfan-peroxidase 결합체는 약 40%의 결합수율인 2mg/ml로 조제되었으며 이 결합체는 높은 흡광도와 민감도를 나타내는 200ng/ml의 농도로 사용하였다. ELISA 분석에 의한 endosulfan의 검출한계는 5 ppb였으며 분해산물인 endosulfan ether와 endosulfan alcohol의 endosulfan 항체에 대한 민감도는 각각 57.14%, 105.20%였다. 유사한 유기염소계 농약들에 대한 교차반응성은 captan이 2.2%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Captafol이 29.3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ELISA에 의한 잔류 분석을 토양과 사과에서 응용 시험한 결과 토양에서는 10 ppb와 100 ppb에서 각각 97.45%, 98.40%의 회수율을 보였고 사과에서는 각각 98.40%, 100.55%의 회수율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