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토목 BIM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2초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BIM 서비스를 위한 BIM 서버 기반의 뷰어 개발 (A Prototype BIM Server based viewer for Cloud Computing BIM Services)

  • 윤수원;김병곤;최종문;권순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1719-1730
    • /
    • 2013
  • 최근 BIM 기술은 적용 확대가 모색되고 있으나, 관련 제도 미비, BIM 인프라 구축비용, 프로세스 상이 등과 같은 문제로 인해 초기 기대치보다 확산이 지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중, BIM 운영을 위해 필요한 인프라 구축 비용 절감과 국내 프로세스에 맞는 다양한 BIM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안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과 BIM을 접목하는 것을 제안하고, 이를 위한 수요 조사를 바탕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인프라 비용 절감(IaaS 구축)을 위한 IFC 기반 BIM 서버와 맞춤형 서비스(SaaS 제공)를 위한 Viewer를 개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시스템의 실용화 가능 여부에 관한 성능 테스트를 실시하여, 개발 결과물이 향후 클라우드 기반 BIM 서비스 개발의 요소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Level-3 사장교 디지털 모델 생성을 위한 알고리즘 및 활용 (Algorithm of Level-3 Digital Model Generation for Cable-stayed Bridges and its Applications)

  • 노기태;당고손;심창수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41-50
    • /
    • 2019
  • Digital models for a cable-stayed bridge are defined considering data-driven engineering from design to construction. Algorithms for digital object gen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cable-stayed bridge were developed. Using these algorithms, Level-3 BIM practices can be realized from design stages. Based on previous practices, digital object library can be accumulated. Basic digital models are modified according to given design conditions by a designer. Once design models are planned, various applications using the models are linked the models such as estimation, drawings and mechanical properties. Federated bridge models are delivered to construction stages. In construction stage, the models can be efficiently revised according to the changed situations during construction phases. In this paper, measured coordinates are imported to the model generation algorithms and revised models are obtained. Augmented reality devices and their applications are proposed. AR simulations in construction site and in office condition are tested. From this pilot test of digital models, it can be said that Level-3 BIM practices can be realized by using in-house modeling algorithms according to different purposes.

UAV와 BIM 정보를 활용한 시설물 외관 손상의 위치 측정 방법 (Structural Damage Localization for Visual Inspection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formation)

  • 이용주;박만우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64-73
    • /
    • 2023
  • This study introduces a method of estimating the 3D coordinates of structural damage from the detection results of visual inspection provided in 2D image coordinates using sensing data of UAV and 3D shape information of BIM. This estimation process takes place in a virtual space and utilizes the BIM model, so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identify which member of the structure the estimated location corresponds to. Difference from conventional structural damage localization methods that require 3D scanning or additional sensor attachment, it is a method that can be applied locally and rapidly. Measurement accuracy was calculated through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position measured by TLS (Terrestrial Laser Scanner) and the estimated position calculated by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which can determine the applicability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토목시설물에 대한 BIM 기반 가상건설 장비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Virtual Construction Equipment Simulation System Based on BIM for Civil Engineering Project)

  • 김성훈;윤영철;주철범;윤동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3호
    • /
    • pp.223-230
    • /
    • 2017
  • 토목시설물 건설사업에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 적극적으로 도입되면서 시설물의 생애주기 동안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으며, 그 중, 시설물 공사 중 건설장비의 동적 거동을 반영한 검토 사례는 드물고 관련 기술 수준도 낮은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BIM 기반으로 구성된 가상현장 내에서 동적인 가상건설 장비 모델을 이용하여 공사단계에서 발생하는 장비운용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검토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토목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용성을 분석하였다. 개발된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건설장비에 대한 효과적인 3D 라이브러리 구축을 통해 공사관리자가 최적의 장비를 선정하고 경제적인 공사를 실현하기 위한 계획수립을 지원할 뿐 아니라 안전한 공사가 수행되도록 다각도의 분석을 가능케 해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D 시뮬레이션을 위한 3D 모델 및 공정 정보의 연계 간소화 기법 연구 (A Study on a Technique for Simplifying the Connection of a 3D Model and Schedule Information for 4D Simulation)

  • 박상미;이재희;윤형석;황재영;강효정;강인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6호
    • /
    • pp.861-868
    • /
    • 2022
  • 건설공사의 시공과정에 BIM을 적용하는 목적은 시공 간섭의 파악과 함께 공사일정의 경과에 따른 시공현황의 시각화가 주요 이유이다. 4D시뮬레이션은 이러한 목적의 수행 기능이며, 이를 위해서는 공정별 시작 및 종료일자와 해당 공정의 3D모델이 갖추어져야 하고, 실무적 편리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기본정보의 활용이 간편한 기능 구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4D 모델 구성을 간소화하기 위해 설계단계에서 제작된 BIM 모델의 최소한의 속성정보를 활용하여 시공단계에 활용 가능한 공정 정보를 군집알고리즘을 이용해 생성하며 실제 공정관리 정보로서의 활용성을 분석한다.

건설현장 굴착작업을 위한 토공 BIM 프로토타입 개발 (Development of a Prototype for an Earthwork BIM Environment)

  • 문성우;손지홍;홍순헌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707-714
    • /
    • 2015
  • 현재 정부에서는 설계기술발전을 위해서 BIM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다. BIM 환경에서 건설관리자는 시각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비용과 시간을 접목시켜서 건설공사의 진행사항과 이와 관련된 비용집행현황과 공정 스케줄을 검토할 수 있다. 그러나 BIM은 건물, 교량 등 고정된 구조물 설계와 시공에 대부분 적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BIM은 그 기능을 확장시켜서 고정된 구조물뿐만 아니라 환경변화가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토공작업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BIM 기법을 토공현장에 적용시키기 위한 프로토타입 개발과 적용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토공 BIM 프로토타입은 굴삭기와 같은 건설장비와 연동하여 변화되는 지형에 대한 3차원적 데이터를 제공하여 토공작업의 현황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과정에서는 BIM을 동적인 토공작업에 적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속성정보를 찾고, 이를 바탕으로 토공 BIM의 사용자 화면을 제시한다.

건설CALS표준 현황과 발전방안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 of Construction CALS Standard)

  • 김진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6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2호
    • /
    • pp.435-436
    • /
    • 2012
  • 건설CALS 1998년부터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정보화사업으로 시스템의 개발 운영과 표준의 개발 운영의 2개 분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건설CALS 표준은 건설정보분류체계, 전자도면작성표준, 도면정보교환표준, 전자문서표준, 디지털 수량산출 교환표준, 건설정보모델(BIM) 작성 납품 공통기준이 있다. 향후 건설CALS 표준은 건설정보 호환을 위하여 정보분류체계의 확장개발과 건설용어의 표준화, 토목분야의 BIM 활성화에 대비하는 토목BIM 표준의 개발이 필요하다.

  • PDF

선형기반 시설물을 위한 Flexible BIM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Flexible BIM System for Alignment-Based Facility)

  • 이승수;이민주;정종윤;서종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677-685
    • /
    • 2014
  • 최근 건설 산업은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도입으로 인하여 많은 혜택을 얻고 있다. 하지만 도로나 철도와 같은 선형기반 설계공종의 경우는 구간별 표준횡단면의 정의와 선형의 배치를 통한 서피스(surface)모델을 생성함으로써 3차원 설계가 이루어지나, 현재 설계 소프트웨어에서 제공되는 횡단면 설계요소가 제한적이거나 국내실정에 맞지 않은 점이 많고, 생성된 서피스모델은 선형구간의 시 종점에 대해 일체화 되어있어 공정, 물량, 단가 등의 BIM 소요정보와 세분화된 연계를 위해서는 모델 수정 등의 많은 후속작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3D 선형기반설계가 적용되는 사회기반시설물을 대상으로 3차원 모델의 분절 및 속성정보의 운용이 자유로운 '선형기반 인프라시설물을 위한 Flexible BIM 시스템'의 설계를 통하여 BIM의 활용성을 극대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D 프린터 출력을 위한 토목구조물의 3D 모델링 구성 및 활용방안 (3-Dimensional Modelling of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for 3D Printing and Its Application)

  • 박상미;김현승;한선주;강인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6호
    • /
    • pp.1109-1117
    • /
    • 2017
  • 최근 3D 프린터 기술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주목받는 기술로, 건설 산업에서도 3D 프린터를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실제 교량, 건축물 등 구조물을 3D 프린터로 출력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3D 프린터를 활용한 목업 구조물 등 다양한 활용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3D 프린터 기술을 건설 분야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3D 모델이 필요하며, 설계단계에서 제작된 3D BIM데이터를 3D 프린터로 출력 시 3D 모델 제작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하지만 설계단계의 3D BIM데이터는 3D 프린터 출력을 위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출력 시 많은 오류를 발생시킨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IM데이터의 3D 모델을 3D 프린터로 출력 시 발생하는 문제점 분석과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더불어 3D 프린터로 출력된 BIM모델의 실무적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건설사업 입찰 텍스트의 BIM 수행 난이도 추론을 위한 딥러닝 모델 (A Deep Learning Model to Predict BIM Execution Difficulty Based on Bidding Texts in Construction Projects)

  • 김정수;문현석;박상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6호
    • /
    • pp.851-863
    • /
    • 2023
  • 일정 규모 이상의 공공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 적용이 의무화됨에 따라 입찰단계에서부터 BIM 요구사항에 대한 관련 절차 및 기술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중소 시공 및 엔지니어링 기업은 BIM 수행역량이 낮고 관련 기존 업무 프로세스의 BIM 적용에 대한 이해 높지 않아, 입찰 요구사항에 대한 인지가 어렵고 입찰단계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BIM 입찰문서 용어를 포함한 형태소 분석기를 딥러닝 모델에 결합하여 입찰문서의 BIM 요구사항의 난이도 판별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딥러닝 모델의 매개변수 영향이 조사되었으며 예측 결과의 타당성이 검토되었다. 그 결과, 제안된 모델이 시험 데이터에 대해 F1-score 0.83의 성능을 가지며, 모델의 판별 결과 또한 실제 BIM 수행 난이도를 타당하게 반영하고 있음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