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탈과립화억제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9초

자원식물을 이용한 아토피 치료제 개발

  • 정용준;박종필;강세찬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0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22-22
    • /
    • 2010
  • 식생활의 변화, 공해 등의 환경변화 등으로 인하여 아토피 환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소에서는 자원식물로부터 아토피 치료제 개발을 위하여 면역세포의 탈과립화억제를 통하여 수종의 식물 자원을 탐색한 바 있다. 애기땅빈대, 여뀌, 고들빼기 등으로부터 유효성분 분리하여 산업화 단계에 있으며,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한약자원인 지모로부터 분리된 성분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지모는 현재 수많은 보고를 통하여 항암성분, 여성호르몬조절성분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nyasol을 비롯하여 4개의 유도체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성분에 대한 면역세포 탈과립화억제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이들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MeOH추출물에서 systemic 및 passive anaphylaxis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이들 성분에 대한 유도체 합성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 면역세포 탈과립화 억제를 통한 항아토피 및 항알러지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이들의 성분과 합성 유도체들은 항아토피에 활용될 수 있으며, 지모추출물자체로도 화장품, 식품, 의약품에 적용이 가능할 정도로 우수한 효능이 확인되었으며, 앞으로 이들 유도체에 대한 의약품 개발연구가 기대된다.

  • PDF

Soyasaponin의 RBL-2H3 세포에서 탈과립화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Soyasaponins on Antigen-induced Degranulation in RBL-2H3 Cells)

  • 양승환;이정아;이재연;안은경;신태선;찌갱 쯔카모토;정규화;서주원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3호
    • /
    • pp.287-29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콩의 배축(hypocotyls)에서 분리된 4종의 soyasaponin(Aa, Ab, bg, DDMP)에 대해 RBL-2H3 세포를 이용하여 항알레르기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RBL-2H3 세포에서 soyasaponin 화합물들의 세포독성을 확인해 본 결과, 4종 모두 세포독성이 없었고 ${\beta}$-hexosaminidase assay를 통해 비만세포의 탈과립 억제 효능을 확인해 본 결과 대조군으로 사용한 Ketotifen fumarate($IC_{50}$: 38.77mM)와 비교하여 4종 모두 ${\beta}$-hexosaminidase 억제 효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soyasaponin 화합물들은 RBL-2H3 세포에서 탈과립 후 유리되는 대표적인 물질인 histamine의 분비 억제에도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 중 Soyasaponin DDMP가 가장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초과(草果)의 RBL-2H3 세포 항원 유도 탈과립 억제성분 (Inhibitors of Antigen-induced Degranulation of RBL-2H3 Cells Isolated from Amomum tsao-ko)

  • 정원식;홍성수;박선미;이정아;박주형;안은경;최춘환;오좌섭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1호
    • /
    • pp.19-23
    • /
    • 2021
  • 전통생약으로서 다양한 효능과 향신료, 조미료로서 사용되어온 초과(草果)의 항알레르기 성분연구를 위해 80% 에탄올 추출물 중 CH2Cl2, 분획으로부터 3 종의 flavonoid를 단리하였으며, 이들의 물리화학적 성상과 분광분석 데이터로부터 구조를 확인한 결과 naringenin-5-O-methyl ether (1), helichrysetin (2) 및 cardamomin (3)로 각각 동정하였다. 이들 화합물 중 화합물 2는 Amomum 속으로부터 처음 규명되었고, 화합물 3은 이 식물에서 처음 보고되는 화합물이다. 또한 화합물 2와 3은 RBL-2H3 세포로부터 β-hexosaminidase assay를 수행한 결과 탈과립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초과의 chalcone 성분은 탈과립 억제효능을 통하여 알러지 질환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갈근과 옻 혼합추출물의 성분변화 및 항알러지 효과 (Constituent Alterations of Pueraiae Radix and Lacquer Tree Mixture Extract and their Anti-allergic Effects)

  • 정용준;양윤정;강세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3-110
    • /
    • 2013
  • 옻나무는 옻오름 같은 알러지 반응으로 인해 식품으로의 활용이 제한되므로 이러한 알러지 반응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갈근 추출물과 혼합하여 알러지 억제효과를 평가하였으며, 알러지를 유발시키는 성분의 변화를 측정하여 화학적 구조변화 및 생물학적 알러지 반응 억제 양상을 관찰하였다. 이에 갈근 추출물에 대한 옻나무 추출물의 알러지 반응 완화효과를 RBL-2H3 세포에서 ${\beta}$-hexosaminidase의 양을 측정하여 평가하였으며, 갈근 추출물에서 매우 우수한 억제효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갈근 추출물을 혼합한 결과 양성대조군 ketotifen보다 다소 우수한 효능이 나타났다. 옻나무 추출물의 알러지 유발물질 확인하고, 갈근과 혼합 추출 하였을 때의 알러지 유발물질 함량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GC/MS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4종의 알러지 유발물질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갈근 추출물과 혼합시 알러지 유발물질은 그 함량이 적어지거나 소멸되었다. 따라서, 갈근과 혼합하여 추출하였을 때 함량이 낮아지거나 소멸되는 알러지 유발물질 4종에 대하여 탈과립 억제 효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옻의 알러지 유발물질 4종으로부터 알러지를 유도한 RBL-2H3 세포에서 탈과립화 억제효능 양상이 유사하였으며, 이를 통해 갈근 추출물은 항알러지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효능을 통하여 옻과 갈근을 혼합하여 추출한 복합추출물의 경우 옻의 문제점인 알러지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BL-2H3 세포에서 1,2,3,4,6-Penta-O-Galloyl-β-D-Glucose의 항알레르기 효과 (Anti-Allergic Effect of 1,2,3,4,6-Penta-O-Galloyl-β-D-Glucose on RBL-2H3 Cells)

  • 김윤희;최예랑;김지영;곽상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613-618
    • /
    • 2016
  • 1,2,3,4,6-Penta-O-galloyl-${\beta}$-D-glucose(PGG)는 오배자(Galla Rhois)의 gallotannin으로 항산화 효과, 항균 효과, 항알레르기 효과 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알레르기성질환은 비만세포를 포함한 다양한 면역세포와 관련된 질환이다. 비만세포는 탈과립화에 의한 알레르기 매개성 물질(histamine 및 ${\beta}-hexosaminidase$)의 분비, T helper 2 type 사이토카인(IL-4) 분비 및 염증을 일으키는 매개체($TNF-{\alpha}$)의 증가를 통해 알레르기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GG가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PMA)와 A23187로 비만세포인 RBL-2H3 세포에서 탈과립 그리고 Th2 type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관련 메커니즘에 대해 평가하였다. PGG는 PMA와 A23187 자극에 의한 탈과립 마커(histamine 및 ${\beta}-hexosaminidase$)의 분비를 억제하고, IL-4 및 $TNF-{\alpha}$와 같은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전사인자인 $NF-{\kappa}B$의 세포질에서 핵으로의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gallotannin의 하나인 PGG가 알레르기 반응을 현저히 저해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알레르기성 질환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는 데 유용한 물질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RBL-2H3 세포에서 탈과립과 histidine decarboxylase 발현에 미치는 석곡(Dendrobium monilifrme)의 효과 (Inhibitory Effect of Dendrobium moniliforme on Degranulation and Histidine Decarboxylase Expression in RBL-2H3 Cells)

  • 이영지;마디 이스칸데르;김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6-182
    • /
    • 2023
  • 석곡의 줄기는 전통 동양의학에서 위를 보하고, 진액을 보충하며, 열을 내리는 것에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RBL-2H3 세포에서 비만세포 탈과립과 TNF-α, IL-4, histidine decarboxylase (HDC) 발현에 미치는 석곡 열수추출물(DME)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DME는 PMA와 Calcium ionophore 병행처리(PMACI)에 의해 유도되는 β-hexosaminidase 분비와 TNF-α, IL-4, HDC 발현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또한 PMACI에 의해 유도되는 NF-κB, AP-1 활성과 p38 kinase,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1/2 (ERK1/2)과 c-Jun N-terminal kinase (JNK)의 인산화가 DME 전처리에 의해 저해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DME가 비만세포 탈과립을 억제하고, MAPKs/NF-κB/AP-1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TNF-α, IL-4, HDC 발현을 억제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들로 보아 DME는 과민반응과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 약물로 개발될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검정콩 껍질 유래 안토시아닌의 RBL-2H3 세포에서 탈과립화와 사이토카인 생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Anthocyanins Isolated from Black Soybean (Glycine max L.) Seed Coat on Degranulation and Cytokine Generation in RBL-2H3 Cells)

  • 정미자;하태정;최하나;이지선;박용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662-1667
    • /
    • 2011
  • 안토시아닌(anthocyanins)은 플라보노이드에 속하고 항산화 활성들을 포함한 그들의 다양한 건강 유익성에 대해 알려져 있다. 그들 중 검정콩 껍질에서 분리한 주요 안토시아닌은 glycopyranose를 함유하고 있는 배당체이다. 천식은 호염기성 세포(basophils)와 비만세포(mast cells)를 포함한 다양한 면역세포와 관련된 알레르기 관련 질병이다. 호산구(eosinophils), 호염기성 세포, 비만세포는 탈과립화에 의한 천식-특이적 보조 2(T-helper 2) 사이토카인 분비 그리고 계속해서 일어나는 증폭과 같은 염증을 일으키는 매개체의 증가를 통해 알레르기 천식(allergic asthma)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흰쥐 호염기성 백혈병(rat basophilic leukemia) RBL-2H3 세포는 알레르기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in vitro 모델이다. 본 연구에서는 검정콩 껍질 안토시아닌이 항원으로 자극한 RBL-2H3 세포에서 탈 과립 그리고 Th2 사이토카인 생산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세포 탈과립은 ${\beta}$-hexosaminidase의 방출을 검출함으로써 평가하였다. IgE-항원 복합체로 자극한 RBL-2H3 세포내 ${\beta}$-hexosaminidase 방출과 Th2 사이토카인 생산이 무처리군의 그것과 비교하여 더 높았다. 안토시아닌은 RBL-2H3 세포의 IgE-항원 복합체 유도 탈과립을 현저하게 억제시켰고 RBL-2H3 세포내 IgE-항원 복합체-매개체 interleukin(IL)-4, IL-13 그리고 TNF-${\alpha}$ 생산을 저해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검정콩 껍질 유래 안토시아닌이 알레르기 반응(allergic reaction)을 현저히 저해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였고, 이들 안토시아닌이 향후 알레르기 천식을 억제하거나 개선하는데 유용한 물질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인간 비만세포에서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항알러지 효과 (Anti-allergic Effect of Graviola Leaf Extract in Human Mast Cells)

  • 김대용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764-1772
    • /
    • 2020
  • 본 연구는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가 인간 비만세포(LUVA 세포)에서 immunoglobulin(Ig) E-매개 알러지 반응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GLE)의 항알러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IgE로 감작된 비만세포에 다양한 농도의 추출물을 처리하였다. 비만세포의 IgE-매개 탈과립 실험 결과, GLE가 LUVA 세포에서 histamine, β-hexosaminidase, TNF-α, IL-4 및 IL-6의 방출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또한 GLE는 IgE 유도에 의한 Lyn과 Syk의 인산화를 억제하였고 그 하위 경로에 있는 MAPK의 활성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GLE가 비만세포 활성화 및 알러지 반응을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이는 GLE가 항알러지 효과를 통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IgE 매개 RBL-2H3 세포 활성화에 대한 정향 에탄올 추출물의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Syzygium aromaticum Ethanol Extracts on IgE Mediated RBL-2H3 cell Activation)

  • 정준희;김용민;박종필;김태연;김이화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1권1호
    • /
    • pp.14-19
    • /
    • 2014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정향 에탄올 추출물이 RBL-2H3 세포 매개 알레르기 반응에 대해 미치는 영향과 그 작용기전에 대해 연구했다. 방법 : 정향 에탄올 추출물의 RBL-2H3 세포에 대한 독성 여부는 MTT 분석을 통해 평가했다. 정향 에탄올 추출물의 항알러지 작용은 효소결합면역 분석방법(ELISA)을 이용해 ${\beta}$-Hexosaminidase과 Histamine의 분비량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정향 에탄올 추출물의 작용기전에 대해서는 유사 분열물질-활성화단백질인산화효소(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를 western blot 법을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결과 : 정향의 에탄올 추출물은 RBL-2H3 세포에 대해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에서 RBL-2H3 세포의 탈과립과 히스타민 분비를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p38 MAPK의 활성을 차단하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정향의 에탄올 추출물은 비만세포에서 유래된 알러지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그 작용기전은 p38 MAPK 인산화와 연계되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기농 콩 추출물의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효과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Effect of Extractsfrom Organic Soybean)

  • 정은경;서은혜;박준호;심혜림;김경희;이병용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45-253
    • /
    • 2011
  • 유기농재배 콩을 다양한 용매에서 추출하여 그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효과, 항염증 효과, 대식세포의 세포사멸 보호 효과, 그리고 알레르기 저해효과를 비교하였다. DPPH 법과 SOD 효소의 활성 측정으로 항산화 능력을 평가하였으며, 항염증 효과는 LPS로 유도시킨 Raw 264.7 세포주에서 염증 매개 단백질인 Cox-2와 iNOS의 발현량을 Western blotting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대식세포 보호 효과를 세포사멸 조절 단백질인 Bcl-xl의 발현량조사로 평가하였고, 1mM $H_2O_2$ 처리로 유도되는 세포사멸의 보호효과를 세포 수 측정법으로 조사하였다. 항알레르기 효과는 흰쥐의 비만세포인 RBL-2H3 세포주를 사용하여 IgE로 매개되는 비만세포의 탈과립화를 OPT assay로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기 재배 콩의 다양한 추출물에서 항산화, 세포사멸 보호,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유기농 콩의 열수 추출물은 LPS로 유도시킨 염증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항알레르기 효과는 모든 추출물에서 히스타민 유리량이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기농 콩의 특별한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콩에는 많은 유용한 생리활성물질 뿐 만 아니라 알레르기 유발 물질도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조추출물 상태에서는 특이적인 알레르기 유발보다 오히려 항알레르기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만성 염증 및 천식, 그리고 아토피피부염과 같은 염증관련 질환에는 유기 재배된 콩이 좋은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