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타당도연구

검색결과 1,031건 처리시간 0.028초

Revised Piper Fatigue Scale의 구성타당도 : 한국여성 유방암 환자를 중심으로 (Construct Validity of the Revised Piper Fatigue Scale in Korean Women with Breast Cancer)

  • Lee, Eun-Hyun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85-493
    • /
    • 1999
  • Revised Piper Fatigue Scale (Piper et al., 1998)은 미국에서 개발된 암환자의 피로를 측정하는 자가보고서 형식의 도구이다. 이 도구는 총 22문항으로 네 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국인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Revised Piper Fatigue Scale의 구성타당도를 재평가하기 위함이다. 총 122명의 유방암 환자가 번역-역번역 과정을 거쳐 한국어로 번역된 Revised Piper Fatigue Scale에 응답을 하였고 그 자료는 요인분석 (principal axis analysis with oblique rotation)에 의해 분석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총 19문항으로 이루어진 네 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총문항의 Cronbach's alpha는 .93이었고, 도출된 네 요인들의 alpha는 .84에서 .91이었다. 한국어로 번역된 총 19문항의 Revised Piper Fatigue Scale(revised PFS-K)은 한국인 유방암 환자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도구라 할 수 있다. 앞으로 다양한 한국인 암환자를 대상으로 계속해서 도구 검증이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 PDF

영유아 교사에 대한 한국어판 수정된 결핵예방 행동의도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Tuberculosis Interview Instrument(K-TII)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손지희;최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20-53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영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수정된 결핵예방 행동의도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절차는 원도구를 번역,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 예비조사를 통한 예비도구 확정,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통한 최종도구 확정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원도구는 번역-역번역 과정을 거친 후 연구자 2인과 전문가 1인이 문헌고찰을 통해 52개 문항에서 37개 문항으로 수정하였고, 그 후 9명의 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고, 32문항으로 수정 후 영유아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예비도구를 확정하였다. 확정된 예비도구로 편의표집 한 영유아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분석에 적합한 289부의 설문지를 SPSS WIN 23.0과 AMOS 18.0 버전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7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총 설명변량은 71%로 최종도구는 총 2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도구의 신뢰도검증 결과 Cronbach's ${\alpha}$는 .88이다. 결론적으로 본 도구는 우리나라에서 영유아 교사의 결핵예방 행동의도를 측정하기에 적합한 도구로 볼 수 있다.

고령친화도시 점검 단축형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hort Form of the Age-Friendly Community Scale)

  • 박경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580-58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단축형 고령친화도시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WHO의 고령친화도시 점검 항목과 서울시복지재단의 고령친화도시 가이드라인을 비교 분석하고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고령친화도시 점검의 필수 영역과 항목을 도출하였다. 이를 서울시 거주 55세 이상 중고령자와 노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고령친화도시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시환경의 쾌적성, 교통 환경의 편의성, 지역사회 여가활동, 사회참여, 사회적 의사소통, 보건복지서비스 이용 편이, 사회적 배제 경험 등 7개 영역, 27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구성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또한 신뢰도분석, 상관 분석, 타당도분석을 통해 수렴타당성과 내적일관성, 판별타당성이 확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한국판 맬버른 저시력 일상생활지수(Melbourne Low-vision ADL Index: MLVAI)의 신뢰도 및 타당도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Melbourne Low-Vision ADL Index)

  • 유연환;박지혁;정민예;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2호
    • /
    • pp.51-61
    • /
    • 2018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호주에서 개발된 수행기반의 관찰평가도구인 Melbourne Low-Vision ADL Index(MLVAI)를 한국 문화에 적합하게 구성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만 20세 이상의 저시력인 26명, 정안인 42명으로 총 68명이었다. 한국판 MLVAI는 번역 검증 및 도구 구성에 대한 전문가 검증을 통해 완성하였다. 한국판 MLVAI의 타당도는 내용타당도, 판별타당도, 수렴타당도 검증을 통해 수립하였고, 신뢰도는 항목에 대한 내적일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사자간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 내용타당도 수립을 위해 저시력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이 시행한 문항적합도 검증에서는 .78이상으로 타당성이 수립되었다. 판별타당도 검증은 저시력 집단의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낮았다(p<.05). 수렴타당도는 Low Vision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LVQOL)을 이용하여 한국판 MLVAL 총점과의 상관계수 .751을 산출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전체 항목에 대한 Cronbach's ${\alpha}$값은 .983으로 높았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976(p<.05), 검사자간 신뢰도는 급간 내 상관계수(ICC2,1) .91로 모두 양호하였다(p<.05). 결론 : 본 연구 결과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한 한국판 MLVAI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모두 갖춘 일상생활 평가도구로 작업치료 중재 시 저시력인의 일상생활활동의 평가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중·고등학생용 또래관계 검사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ventory of Peer Rel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김성근;함경애;최희숙;천성문
    • 직업교육연구
    • /
    • 제30권4호
    • /
    • pp.143-15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중 고등학생들의 또래관계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측면들을 평가할 수 있는 청소년용 또래관계검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예비문항 내용의 적절성 및 타당성을 검토하고 최종검사를 개발하기 위하여 부산시 소재 3개 중학교와 3개 고등학교 학생 600명(남 306명, 여 29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이로부터 4개의 주요 요인을 추출하고 문항의 의미를 고려하여 최종 42문항, 5점 평정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또래관계검사를 타당화하기 부산시 소재 2개 중학교와 2개 고등학교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타당도 조사에서는 이미 개발되어 있는 2개의 또래관계 관련 척도들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또래관계검사 문항의 타당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상을 요약하면 본 또래관계검사는 내적합치도, 신뢰도, 타당도 측면에서 신뢰롭고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청소년 또래관계의 가장 기본적인 측면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뿐만 아니라 예비규준을 제시하여 집단과의 비교가 가능하게 하여 청소년들의 또래관계의 현황을 파악하고 상담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예비유아교사 교사효능감 척도(PS-TES) 타당화 (The Validation of Pre-service Teacher Efficacy Scale for Preschool Teachers)

  • 이채호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7-12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Ohio State Teacher Efficacy Scale(OSTES)을 활용하여 예비유아교사 교사효능감 척도(PS-TES)를 타당화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본 연구는 G지역에 소재한 3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재학생 42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Cronbach's ${\alpha}$)계수, 상관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 교사효능감 척도(PS-TES)의 하위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3개의 하위요인(교수전략 효능감, 학생참여 효능감, 교실관리 효능감)으로 나타났으며 총 문항은 12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예비유아교사 교사효능감 척도(PS-TES)의 하위요인 신뢰도는 '교수전략 효능감' .82, '학생참여 효능감' .72, '교실관리 효능감' .76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신뢰도는 .87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 교사효능감 척도(PS-TES)의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한 결과 모델 적합도는 CMIN/DF = 1.59, RMSEA = .05, SRMR = .05, NNFI = .96, CFI = .97로 나타나 예비 유아교사 교사효능감 척도(PS-TES)가 적합한 측정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수행기반 인지기능평가를 위한 예비연구 : 정상 노인을 대상으로 (A Preliminary Study on a Performance-Based Cognitive Function Test : With the Normal Elderly)

  • 곽호성;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8권3호
    • /
    • pp.43-55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수행기반 인지기능 평가를 위한 예비연구로써 노인의 인지기능 저하 선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행기반 인지기능 평가도구를 분석하여 평가 문항을 구성하고 정상 노인을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하여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수행기반 인지기능 평가항목을 선정한 후, 만 65세 이상 정상 노인 9명을 대상으로 평가를 시행하였다. 평가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를 대상으로 내적 일관성을 분석하였으며, 공인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기존 수행기반 인지기능 평가와 MMSE-K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Performance-Based Cognitive Function Test(PCFT)의 내적일치도 Cronbach's ${\alpha}$ 계수는 운동과제 .871 인지과제 .959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공인타당도는 운동-인지 이중과제 평가를 이용하여 PCFT의 항목별 상관관계는 .755~.964으로 산출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또한 인지평가도구인 MMSE와의 상관관계는 .849~.943(p<0.01)로 나타나 높은 타당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수행기반 인지기능 평가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수정 보완된 인지기능저하 노인을 선별을 위한 수행기반 인지기능 평가도구를 대상으로 기타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여가만족척도(LSS-short form)의 타당도 검증과 적용 (Cross-cultural Validation Test and Application of LSS-short Form)

  • 김미량;이연주;황선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435-445
    • /
    • 2010
  • 이 연구는 Beard와 Ragheb[9]에 의해 개발되고 국내에서는 이종길[7]이 사용한 여가만족척도의 번안적절성에 그에 따른 타당도를 검증하고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먼저 여가만족척도의 문항과 각 요인의 조작적 정의를 번안 및 역번안을 수행하고 여가학 전문가들이 내용을 검토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 설문조사하여 총 515명(대학생 290명, 일반인 225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과 AMOS 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항분석, 상관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여가만족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에 국내에서 사용되던 여가만족척도의 요인의 명칭(심리적, 교육적, 사회적, 신체적, 심미적, 긴장이완)과 문항을 수정하고 조작적 정의를 제시하였다. 또한 자료분석 결과 6개요인, 24개 문항으로 구성된 여가만족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만족과 삶의 질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심리적요인과 긴장이완요인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재 번역되고 타당도가 검증된 여가만족 척도는 향후 국내연구에서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판 TEMPA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Evaluat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Upper Extremity Performance Test for the Elderly (TEMPA))

  • 이창대;정민예;박지혁;김종배
    • 재활치료과학
    • /
    • 제8권4호
    • /
    • pp.65-76
    • /
    • 2019
  • 목적 : 본 연구는 문화적 차이를 보이는 Upper extremity performance test for elderly (TEMPA)를 한국판으로 수정 및 번역하고 그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40세이상의 손 기능에 장애가 없는 성인 171명과 손 기능에 장애가 있는 성인 41명 이었다. 내용 타당도와 분별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검사자 간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 내용 타당도를 통해 문화적 차이를 보이는 2개의 항목 ('자물쇠 열고 약통 열기', '편지 봉투 작성하고 우표 붙이기')을 수정하였다. 분별 타당도를 통해 TEMPA는 손 기능에 장애가 있는 성인과 없는 성인을 구별할 수 있는 평가 도구임을 확인 하였다 (p<.001). 신뢰도 검증 결과 수행 속도는 급간 내 상관계수(ICC)= .71-.92, 기능 정도는 카파계수 (kappa) = 1.0, 수행 분석은 ICC = 1.0로 중간수준에서 높은 수준의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보였다. 검사자 간 신뢰도는 실행 속도 ICC = 1.0, 기능 정도 kappa = .79-1.0, 수행 분석 ICC = .94-1.0으로 상당한 수준에서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다. 결론 : TEMPA는 손 기능의 장애가 있는 성인을 구별해 낼 수 있고,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보이는 평가 도구로 임상적 평가 및 근거 기반의 연구에 있어 많이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의 구성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A Study for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

  • 김경미;신현희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21
    • /
    • 2016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개발된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의 구성타당도와 내적일치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2014년 1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감각처리 문제가 있는 만 3~5세 아동 117명을 대상으로 SPS-C 평가를 시행한 자료를 바탕으로 요인 분석과 내적 일치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요인분석 결과, 청각, 시각, 촉각 영역은 각각 높은 요인 부하량으로 묶였으며, 전정감각과 고유수용성감각은 두 영역의 요인 부하량이 중복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내적 일치도 검증 결과 전체 척도의 내적 일치도는 .728이었으며, 각 영역별 내적 일치도는 .323~.636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SPS-C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으며,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및 표준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