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클램프

검색결과 278건 처리시간 0.034초

넓은 ZVS 범위를 가지는 비대칭 하프 브릿지 컨버터의 효율 개선을 클램프 스위치와 다이오드 (Wide-Range ZVS Asymmetric Half-Bridge Converter with Clamp Switch and Diode for High Efficiency)

  • 연철오;이재범;이일운;문건우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4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9-17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넓은 영전압 스위칭 범위를 가지며 클램프 다이오드와 클램프 스위치를 이용하여 비대칭 하프 브릿지 컨버터의 정상 입력 시 최적 설계가 가능하게 하여 모든 부하 조건에서 효율을 상승 시킬 수 있는 회로를 제안한다. Hold-up 조건 만족을 위하여 입력 전압이 낮은 경우에, 클램프 스위치를 동작시켜 변압기의 턴 비를 바꾸어 주어 출력 전압을 유지해준다. 정상 상태 동작에서는 클램프 스위치를 키지 않음으로써 클램프 다이오드 역할을 하여 2차 측 정류기의 전압 스트레스를 줄여주며, 보조 턴을 이용하여 클램프 다이오드에서의 도통 손실을 줄여 정상 상태에서의 비대칭 하프 브릿지 컨버터의 효율 최적화를 달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회로의 이론적 해석 및 설계방법을 설명하고 실험결과를 통해 회로의 동작을 검증한다.

  • PDF

능동 클램프 회로가 적용된 위상천이 풀-브리지 컨버터의 스위치 제어 방법 (Switch Control Method for Phase-Shift Full-Bridge Converter Using Active Clamp Circuit)

  • 정광순;이용철;김호경;박찬현;김석희;홍성수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4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3-16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능동 클램프 회로를 이용한 위상천이 풀-브리지 컨버터(Phase-shift Full-Bridge Converter)의 스위치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위상천이 풀-브리지 컨버터는 2차측 정류 스위치에서 스파이크 전압이 발생하며, 순환 전류(Circulating current)로 인한 도통 손실이 발생하는 단점을 지닌다. 위의 문제를 극복하는 회로로서 2차 측에 능동 클램프 회로를 적용하는 방법이 연구되었다. 하지만, 낮은 부하에서 클램프 커패시터의 전압이 상승하여, 2차 측 소자의 전압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EMI 문제가 발생되는 단점을 지닌다. 본 논문에서는 위상천이 풀-브리지 컨버터의 2차 측에 능동 클램프 회로 및 동기 정류 스위치(Synchronous rectifier switch)를 적용하여, 클램프 커패시터의 전압 상승을 억제하는 해결 방안을 제시하며, 능동 클램프 회로의 스위치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회로의 구조, 동작 원리 및 스위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고, 모의 실험을 수행하여 타당성을 검증한다.

  • PDF

전력측정 클램프메타 (Clamp-meter for the power measurement)

  • 박영태;유광민;장석명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296-298
    • /
    • 1999
  • 전압 전류, 유효전력. 무효전력. 피상전력. 역률, 진상. 지상 역률표시.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는 클램프메타의 개발에 관한 내용을 기술하였으며 제품화를 위한 시제품 제작과 그 특성을 시험한 결과 등을 나타내었다. 전류를 측정하는 클램프센서는 홀소자를 이용하였으며 선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홀소자를 2개 사용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현재 상품화되어있는 클램프메타보다 우수하며 전체 소비전력이 10 mA보다 적은 결과를 얻었다.

  • PDF

광인입광 클램프 운용연구 (Study of clamp operations in optical drop cable)

  • 이원형;박태동;고석봉;오호석;최영복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 /
    • pp.293-295
    • /
    • 2007
  • OSP 에서 주로 사용되는 Drop Cable 은 통신단말인 단자함에서 통신전주 두상에 설치된 인입클램프 걸이에 인입클램프를 취부하고, 가공구간을 통해 가입자 댁으로 가설을 하며, 가입자 댁의 일정한 지점에 인입벽철 또는 인입용 훅을 설치하고, 인입클램프를 체결하여 Drop Cable 의 이도 및 루트를 고려하여 개통공사를 완성하여 해당서비스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Drop Cable 은 일반적으로 자기지지를 할 수 있는 "8" 형태의 자기지지형 Drop Cable 을 주로 이용하였으나, 광섬유를 이용하는 FTTH 사업에서는 서비스 개통시 "0" 형태의 Optical Drop Cable(광옥외선)을 사용하여 개통작업의 시공성 및 생산성을 향상 시켰다. 이에 사용되는 적합한 인입광 클램프는 광옥외선의 외형적인 구조에 손상을 전가하여서는 안되며, 광옥외선 내부의 광섬유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 최소의 손실을 가지며, 일정한 인장력을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위의 사항을 고려한 인입 광클램프의 특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PDF

프리캐스트 바닥판용 클램프 조인트의 정적내하력 (Static Strength of Cramp Joint at Precast Highway Deck Slabs)

  • 김윤칠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187-193
    • /
    • 2006
  • 도로교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현장 조인트로써 특수한 구조의 클램프를 이용하여 새로운 형식의 조인트를 개발하였다. 이 클램프 조인트에 의한 방법은 클램프를 이용하여 주철근을 루프 조인트에 연결하는 방법이다. 현재까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루프 조인트와 비교하여 시공성 경제성이 우수하고 클램프의 인터록킹에 의하여 휨모멘트 전단내력에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논문은 휨 강성 및 전단내력의 실험을 통하여 조인트의 파괴 메커니즘과 다양한 정적 거동의 결과를 규명하고자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실험 연구의 결과로부터 루프조인트와 동등한 성능을 갖고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레일 체결장치 텐션클램프의 거동 (Behavior of Tension Clamp in Rail Fastening System)

  • 최신형;박범호;윤경민;배현웅;임남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812-8819
    • /
    • 2015
  • 콘크리트 궤도 건설의 증가로 인한 레일 체결장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레일 체결장치의 부속품인 텐션클램프가 절손되는 사고가 발생되었다. 이는 현장상태, 운영기관, 열차운행조건 및 빈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한 것으로 텐션클램프의 거동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내실험 및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텐션클램프의 역학적 거동을 분석하였다. 실내실험을 수행하여 텐션클램프 체결력에 따른 응력 및 변위를 도출하고 이를 유한요소해석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해석 모델을 검증하였다. 또한 검증된 모델을 적용하여 열차 하중에 따른 텐션클램프의 변형과 응력을 도출하고, 응력 분석을 통해 텐션클램프의 피로에 대한 취약도를 파악하였다.

쐐기형 레일 클램프에서 조(jaw)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적정 쐐기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Wedge Angles of Wedge-type Rail Clamp for Preventing Jaw from Rotating)

  • 심재준;이성욱;한동섭;박종서;전영환;이호;한근조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735-740
    • /
    • 2005
  • 항만에서 작동중인 컨테이너 크레인에 갑작스러운 돌풍에 의해 크레인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로 레일 클램프가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레일 클램프 중에서 특히 레일의 손상과 레일 클램프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쐐기형 레일 클램프을 제작하기 위한 기초 설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조의 회전을 방지하고 적절한 가압력을 발휘할 수 있는 쐐기각을 설정하기 위해, 우선조의 설계 치수와 회전력의 관계에 대한 하중분석을 수행하고, 여기에서 최대 쐐기각을 도출하고, 이후 수치 해석을 통한 강성도 분석을 통하여 최소 쐐기각 $6^{\circ}$를 제안한다. 또한, 제작된 레일 클램프를 통한 실험으로 검증하였다.

텐션클램프의 초기 체결력이 탄성레일체결장치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Initial Clamping Force of Tension Clamp on Performance of Elastic Rail Fastening System)

  • 이동욱;최정열;백찬호;박용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1243-125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텐션클램프의 초기 체결력이 급곡선 궤도용 탄성레일체결장치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탄성레일체결장치의 구성품 중 텐션클램프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해 초기 체결력의 변화와 횡압의 증가를 고려한 실내시험, 현장측정 및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 및 실험결과, 초기 체결력의 감소는 텐션클램프에 도입되는 초기 압축응력의 감소로 나타났다. 또한 텐션클램프의 압축응력은 급곡선 궤도에서 발생하는 횡압의 작용에 따라 인장응력으로 변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기 체결력에 의해 텐션클램프에 도입된 압축응력은 외력에 따른 발생 인장응력 저감을 위한 보강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탄성레일체결장치의 장기 내구성능 확보와 안정적인 거동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정 초기 체결력의 확보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변압기 보조권선을 이용한 자기 구동 능동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 (A Self-Driven Active Clamp Forward Converter Using the Auxiliary Winding of the Power Transformer)

  • 이광운;임범선;김희준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0권5호
    • /
    • pp.350-35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능동 클램프 스위치를 위한 별도의 구동 회로가 생략된 새로운 자기 구동 능동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를 제안하였다. 능동 클램프 스위치의 구동에는 컨버터 자체의 변압기의 보조 권선을 이용하였고, 두 스위치 구동 신호 사이의 데드 타임을 설정하기 위하여 간단한 R-C지연 회로를 추가하였다. 제안된 컨버터의 동작 원리를 제시하였고 실험 결과를 가지고 이론적인 결과를 입증하였다. 출력 100W(5V/20A)의 컨버터를 제작하였으며 입력이 50V일 때 능동 클램프 스위치의 구동에 단지 1.5T의 보조 권선의 권선수로 충분하다는 점을 보였다. 끝으로 제안된 컨버터의 측정 효율을 제시하였고 91%의 최대 효율을 달성하였다.

하이브리드 다이오드 클램프 멀티레벨을 이용한 3상 유도 전동기용 멀티레벨 인버터 (Multi-level Inverter for 3 Phase Induction Motor using Hybrid Diode Clamp Multi-level)

  • 오승훈;김흥근;전태원;노의철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6-258
    • /
    • 2008
  • 현재 멀티레벨 인버터는 고압 대용량 시스템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연구 또한 지속되고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멀티레벨 방법으로는 Neutral Point Clamp(NPC), H-Bridge 케스캐이드, 플라잉 커패시터가 멀티레벨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Neutral Point Clamp 토포로지 중 다이오드 클램프 멀티레벨을 이용하여 3상 유도전동기용 하이브리드 다이오드 클램프 멀티레벨 인버터를 구성 하였다. 그리고 신호 발생 방법으로는 Subhamonic PWM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유도 전동기 제어는 간접벡터제어로 제어를 함으로써 유도 전동기 구동용 하이브리드 다이오드 클램프 멀티레벨 인버터의 적합함을 검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