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콘텐츠마케팅

검색결과 782건 처리시간 0.027초

페이스북 팬페이지 이용자의 진정성, 팬페이지동일시, 상호작용성이 온라인 구전에 미치는 영향: 위기발생 전·후를 중심으로 (Effects of Facebook Fanpages Users' Perception of Authenticity, Fanpage Identification Theory and Interactivity on Online e-WOM : in a Crisis)

  • 김윤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662-670
    • /
    • 2016
  • 본 연구는 모바일과 SNS기반에 따른 온라인 구전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SNS를 통해 기업의 위기가 순식간에 사회전체로 확산되고 있음을 주목하였다. 페이스북 팬페이지 상에서의 온라인 구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소비자 심리적 기제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예기치 못한 기업 위기관리에 기제로서 기능을 할 수 있는지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기업위기 발생 전에 팬페이지 이용자들의 진정성, 팬페이지동일시, 상호작용성이 온라인 구전확산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 기업위기 발생 후에 팬페이지 이용자들의 진정성, 팬페이지동일시, 상호작용성이 부정적 온라인 구전감소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팬페이지 이용자 20~30대 남 여 290명을 분석한 결과, 기업위기 발생 전과 후에 진정성, 팬페이지동일시, 상호작용성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기업위기 발생 전에는 진정성, 팬페이지동일시, 상호작용성 모두 온라인 구전확산에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반면 기업위기 발생 후에는 진정성과 상호작용성이 부정적 온라인 구전감소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관계마케팅 혹은 위기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진정성, 팬페이지동일시 그리고 상호작용성의 기능을 제안하였다.

커피전문점 기업의 메세나 활동이 동일시, 기업이미지, 러브마크,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Coffee Shop Companies' Mecenat Activity on Identification, Corporate Image, Love Mark and Loyalty)

  • 김수연;변광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482-497
    • /
    • 2018
  •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 기업의 메세나 활동이 동일시, 기업이미지, 러브마크,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표본추출을 위하여 커피전문점에 직접 방문한 조사원이 고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018년 5월 23일부터 6월 2일까지 11일간 800부를 배포하여 회수된 설문지중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711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사회공헌, 순수성, 공익성, 호감도가 높아질수록 동일시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공헌, 공익성, 호감도가 높아질수록 기업이미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순수성은 기업이미지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수성과 호감도는 러브마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회공헌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공익성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시는 기업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동일시와 기업이미지는 러브마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일시, 기업이미지, 러브마크는 충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커피전문점 기업의 마케팅 기법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며, 나아가 커피전문점 기업의 메세나 활동을 경험하는 소비자들의 삶의 질에 긍정적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사료된다.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감성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 존루이스 백화점의 "Bear and Hare" 광고를 중심으로- (Study of Emotional Communication Strategy of Storytelling through Social Media - Based on the "Bear and Hare" Commercial of John lewis -)

  • 이동근;윤영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29-37
    • /
    • 2016
  • TV, 신문, 라디오와 같은 전통매체는 일방향적인 수동적 매체에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중심의 소셜미디어가 등장함에 따라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벗어난 소셜 네트워킹이 가능하게 되었고, 소셜미디어 역시 사회관계에 필요한 대화의 교감과 감성 전달이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었다. 신속한 연결성과 확장성을 토대로한 소셜미디어는 광고의 표현매체로서 기존의 전통적 광고매체보다 기업과 소비자가 원활히 소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매체이다. 이런 소통의 효율성을 가지는 소셜미디어 특성상 광고는 소비자와 기업이 친근한 대화의 분위기를 만들 수 있는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감성적 스토리텔링과 소셜미디어를 융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광고마케팅 전략을 펼친 영국의 존루이스 백화점 애니메이션 'Bear and Hare'의 광고와 기존 감성광고를 제작한 LG의 애니메이션 '사랑해요 LG' 광고를 비교 분석하여 광고에 있어서 소셜미디어가 소비자와 교감과 감성의 소통을 담당하는 매체로서 향후 기업들이 경쟁력 있는 소셜미디어 광고를 활용하여 단순한 이익을 우선으로 하는 기업의 모습이 아닌 고객과의 열린 소통으로 고객의 가슴속에 따뜻하고 사랑스러운 기업으로 기억되면서 기업의 매출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유용한 광고 전략에 관한 연구이다.

멘탈 시뮬레이션이 혁신적 신제품 평가 및 시용,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제품유형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Mental Simulation on Evaluation of Innovative New Product)

  • 서문식;안진우;유재문;오대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935-949
    • /
    • 2014
  • 오늘날 기업들은 과거에 비해서 빠르게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변화는 기술, 자본 시장 구조 등의 분야에서 관찰되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경쟁하기 위해 기업은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충족시키기 위해 새로운 혁신적인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과거에 성공을 한 제품에 비해서 새로운 혁신적인 제품은 소비자의 기술, 정서적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면에서 높을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업의 마케팅을 새로운 혁신적인 제품의 실패를 줄이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했다. 이에 본 연구는 멘탈 시뮬레이션이 혁신적 신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멘탈 시뮬레이션 : 과정 / 결과) ${\times}2$(제품 유형 : 쾌락재 / 실용재)의 집단 간 실험설계를 구성하였다. 제품에 대한 평가, 시용의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과정 시뮬레이션에서는 실용적 제품의 평가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결과 시뮬레이션에서는 쾌락적 제품의 평가가 더 높게 나타났다. 시용의도와 구매의도 역시도 동일한 방향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제품 유형별로 상이한 멘탈 시뮬레이션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으며, 고객들의 인지적 감정적 반응에 대한 숙고와 함께 혁신적 신제품의 출시 및 광고전략을 제시하여야 한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연구관리자의 국가R&D정보서비스 고객가치 및 업무성과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Customer Value and the Performance of National R&D Information Services of the R&D Managers)

  • 서상혁;이선영;이병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480-49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국가R&D정보서비스(NTIS)를 이용하는 연구관리자를 대상으로 정보고객가치와 업무 성과를 향상시키는 정보서비스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고객 지향 정보서비스 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정보서비스품질은 정보고객가치 및 정보원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정보고객가치는 정보이용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정보원인식은 정보이용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정보이용환경의 조절효과를 측정한 결과 정보이용환경은 정보품질과 정보고객가치 간의 관계와 정보품질과 정보원인식 간의 관계, 정보고객가치와 정보이용 성과 간의 관계에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나 정보원 인식과 정보이용성과 간의 관계에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이용자의 고객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정보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용자 환경 분석, 지속적인 정보고객가치 조사 등을 통하여 정보서비스 전략을 수립하고 개선,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의료소비자들의 병원정보 이용목적과 획득한 정보의 실용성 (The Purpose of Hospital Information Usage by Medical Consumers and the Practicability of the Acquired Information)

  • 하오현;정용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76-385
    • /
    • 2014
  • 본 연구는 의료소비자들이 필요로 하는 병원정보를 확인하여 의료기관의 소비자 중심 마케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의료소비자들의 병원정보 이용목적, 알고 싶은 정보의 내용, 정보획득방법, 획득한 정보의 실용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병원정보 이용목적은 실질적으로 의료기관을 이용하고자 하는 목적이 90% 이상으로, 특히 '가족 친지가 아플 경우 병원선택 시'에는 58.7%이었다. 알고 싶은 정보의 내용은 병원시설 전문분야 및 특수분야의 구체적 내용이라는 응답이 이용목적과 관계없이 과반수이상이었으며, 병원정보 이용목적에 따른 정보획득을 위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방법은 '주위사람'이 과반수 전후의 비율로 가장 높았고 '인터넷'을 이용한다는 비율이 24~28% 수준이었다. 그리고 획득한 병원정보의 실용성은 병원정보 이용목적이 '가족친지가 아플 경우 병원선택 시'에 4.8%, '건강상담 또는 종합검진 위한 병원선택 시'에는 0.5%로 상당히 낮았다.

IPA기법을 활용한 한옥마을 선택속성의 중요도-만족도 연구 (Research 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election Attribute for Hanok Village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 김연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585-593
    • /
    • 2020
  • 본 연구는 전주 한옥마을 관광객들의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주 한옥마을 방문 시에 중요하게 생각하는 중요도와 방문 후 만족도를 IPA 분석을 활용하여 연구하고, 이에 따른 결과와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설문 조사는 2018년 10월 초부터 11월 말까지 일대일 방식으로 진행하였고, 총 300부를 배포하였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42부를 제외한 총 258부를 유효표본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유효표본에 대한 분석은 SPSS for Window Versio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표본의 일반적인 사항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여 표본의 특성을 파악하였고 대응표본 T 검정(Paired Sample T-test)을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선택속성 중에 관광지의 청결성이 가장 높았고, 그다음 순위는 주차장 시설, 자연경관, 음식·먹거리, 기후(날씨)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옥마을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이 만족한 선택속성 항목은 자연경관이 가장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기후(날씨), 지역의 특색, 역사문화자원, 관광지 청결 순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한옥마을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이 지각하는 선택속성 변수의 중요도-만족도 값의 사분면 위치에 따라서 한옥마을의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관광객의 만족도를 올리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제약회사 심벌마크의 시각적 특징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harmaceutical Companies' CI Symbol Marks)

  • 홍일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443-450
    • /
    • 2016
  • 국내 바이오의약산업은 국가의 핵심전략 사업으로써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고령화로 인한 의약품 수요증가, 신약 R&D 투자성과 가시화, 바이오의약 중심의 R&D 변화, 전략적 해외 기술수출 확대, 정부의 적극적 지원으로 인하여 해외 시장 진출이 급속도록 가속화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제약회사도 글로벌 제약기업으로써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소비자들에게 신뢰 받을 수 있는 기업으로써의 이미지 구축이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는 마케팅 수단으로써의 CI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내 제약회사의 CI 심벌마크 시각적 특징 분석과 연령대별 선호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심벌마크에 대한 선호도는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제작년도가 오래된 심벌마크에 대한 선호도가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도와 비례하였다. 또한 픽처마크형 심벌마크가 워드마크 형태보다 절대적으로 선호되었다. 제약회사의 글로벌화를 위하여 기업 역시 대중의 인식변화에 대한 책임감이 요구되며 본 연구가 글로벌 경쟁력이 있는 국내 제약회사의 이미지 제고를 위한 아이덴티티 전략의 기초자료로써 심벌마크 개발 방향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커피 전문점 드라이브 스루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유형 연구 (A Study on the Consumer Awareness of the Drive-Thru in Coffee Shop)

  • 오철환;김동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380-388
    • /
    • 2020
  • 본 연구는 서비스 사업의 한 방법의 일환인 드라이브 스루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유형에 관한 주관성 연구를 통하여서 드라이브 스루라는 서비스의 방식이 업체 경영자의 관점에서 보다 이용자의 관점에서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보다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 드라이브 스루 업체 이용에 대한 이용자의 주관적 관점을 분석하고자 Q-방법론을 선택했고 탐색적 연구를 실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진술문 카드를 응답자가 직접 분류하는 방법으로 분석 작업이 실행되었고 Q 모집단을 선별하여 구성하며 이를 통해 진술문을 작성한 후에 P샘플을 선정하여 분류작업을 거쳐 얻어지는 Q-sort를 PC QUANL 프로그램을 통해서 Q요인분석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 3가지의 유형으로써 분류가 되었는데, 제1유형[(N=14): 가격대비 편리추구형], 제2유형[(N=4): 시간대비 효율추구형], 제3유형[(N=2): 신속추구형] 등으로서 유형마다 각각의 특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분석을 통하여 검출된 각각의 주관적 의견을 통해 추후에 다양한 연구의 밑거름이 될 것이라 믿으며 향후 드라이브 스루 마케팅 수립과 미진한 부분의 개선 방향에 있어 참고자료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군집분석 (Cluster Analysis)을 활용한 사용자 등급 기반의 서비스 수락 정책 (User-Class based Service Acceptance Policy using Cluster Analysis)

  • 박혜숙;백두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3호
    • /
    • pp.461-47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마케팅에서 주로 적용되는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의 군집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을 서비스 패턴에 따라 세분화(Segmentation)하고, 군집별로 미디어 서버의 자원을 차별적으로 할당하여, 기업의 수익성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정책을 제시하였다. 새로운 서비스 정책의 구현을 위해 첫째, 고객 데이터에 대해 군집분석 중에서 K Means Method를 적용하여 고객들의 서비스 패턴 (총 사이트 방문 횟수, 서비스 종류, 서비스 이용 기간, 지불금액, 평균 서비스 시간, 사이트 방문 당 서비스 요금)과 수익에 대한 기석도 둥을 분석하였다. 고객들은 수익에 대한 기여도에 따라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군집별로 미디어 서버 자원을 할당하는 알고리즘인 CRFA(Client Request Filtering Algorithm)를 제시하였다. CRFA 는 고객이 속한 군집의 자원 한도 내에서 승인제어를 실시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CRFA를 적용하였을 때 기업의 네트워크 비용은 감소하고 기업의 수익에 기여도가 높은 군집에 속한 고객들의 수락률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