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6.16.06.662

Effects of Facebook Fanpages Users' Perception of Authenticity, Fanpage Identification Theory and Interactivity on Online e-WOM : in a Crisis  

Kim, Yoon-Hee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notices that corporate crisis spreading throughout society through SNS, according to the growing influence of online e-WOM on the basis Mobile and SNS. The study will prove that users' psychological tendencies can be affected by online e-WOM and played a role factors of crisis management on Facebook fanpage. This study conducted Facebook Fanpages users' perception of authenticity, Fanpage identification theory and interactivity affected Online e-WOM before a crisis, and authenticity, Fanpage identification theory and interactivity affected negative Online e-WOM after a crisis. The result through the sample of 290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use a Facebook fanpage. found that Facebook fanpage users' perception of authenticity, Fanpage identification theory and interactivity affect on Online e-WOM before a crisis.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found that Facebook fanpage users' perception of authenticity, and interactivity affect on Online e-WOM in caused crisi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ed authenticity, Fanpage identification theory and Interactivity function in the aspect of the relationship marketing or crisis communication.
Keywords
Facebook Fanpage; Authenticity; Fanpage Identification Theory; Interactivity; e-WOM;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종호, 옥정원, 윤대홍,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에서 콘텐츠 특성, 동일시, 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2호, pp.385-396, 2011.   DOI
2 L. L. Price, E. J. Arnould, and P. Tierney, "Going to extremes: Managing service encounters and assessing provider performance," The Journal of Marketing, pp.83-97, 1995.
3 이경렬, "SNS에 대한 이용자의 진정성 지각이 기업의 공중관계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제22권, 제1호, pp.5-33, 2014.
4 이경렬, 한송이, "SNS에 대한 이용자의 진정성 지각이 온라인 구전의 수용확산에 미치는 영향: SNS 미디어 인게이지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5권, 제8호, pp.213-240, 2014.
5 김진태, 황성욱, "SNS 상호작용성, 위기책임성, 메시지전략이 PR공중의 위기에 대한 인식과 기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1호, pp.149-172, 2015.
6 조승호, 홍숙영, "위기갈등 상황에서 소통의 진정성과 언론홍보의 역효과: 항공재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소통학회 학술대회, pp.27-38, 2014.
7 J. Edson Escalas and J. R Bettman, "You Are What They Eat: The Infulence of Reference Groups on Consumers' Connections to Brand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13, No.3, pp.339-348, 2003.   DOI
8 R. L Oliver and J. E. Swan, "Consumer perceptions of interpersonal equity and satisfaction in transactions: a field survey approach," The Journal of Marketing, pp.21-35, 1989.
9 정창모,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충성도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octoral dissertation),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0 송몽몽, 김원겸, 백양, "SNS 이용자 간 상호작용과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중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l3권, 제12호, pp.957-965, 2013.
11 S. J. Doh and J. S. Hwang, "How consumers evaluate eWOMmessages," Cyber Psychology & Behavior, Vol.12, No.2, pp.193-19, 2009.   DOI
12 차희원, "기업명성의 개념 정립과 한국형 명성지수개발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제64권, pp.259-289, 2004.
13 A. Martensen, L. Gronholdt, L. Bendtsen, and M. J. Jensen, "Application of a model for the effectiveness of event marketing," Th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NEW YORK, Vol.47, No.3, p.283, 2007.   DOI
14 최윤슬, 이경렬, "SNS 진정성의 속성과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트위터와 페이스북 이용자의 진정성 지각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4권, 제5호, pp.157-179, 2013.
15 E. Ashforth Blake and Fred Mael, "Social identity theory and the organiz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4, No.1, pp.20-39, 1989.   DOI
16 이수범, 김남이, "페이스북 팬페이지의 메시지 및 크리에이티브 전략에 관한 연구," 소비자문제연구, 제16권, 제2호, pp.77-99, 2012.
17 김철호, "상호작용성, 소속감, 정보 수용자의 만족, 그리고 부정적 구전 감소 의지," 사회과학연구, 제24권, 제1호, pp.235-255,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