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카툰렌더링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Game engine using for production of Web comic crowd scene (웹툰 군중씬 제작을 위한 게임엔진 응용)

  • Jung, Jo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1a
    • /
    • pp.206-207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웹툰에서 사용되는 대규모 군중 격투씬을 표현하기 위하여 Unity3D 엔진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웹툰에서는 대규모 군중을 표현할 때 그 작업량을 줄이고 속도를 올리기 위해 여러 가지 자동화 방법을 고려하고 있고, 빠른 피드백과 실시간 렌더링, 쉬운 조작이 가능한 게임 엔진은 이 경우에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 PDF

Extended Cartoon Rendering using 3D Texture (3차원 텍스처를 이용한 카툰 렌더링의 만화적 스타일 다양화)

  • Byun, Hae-Won;Jung, Hye-M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8
    • /
    • pp.123-133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for toon shading using 3D texture which renders 3d objects in a cartoon style. The conventional toon shading using 1D texture displays shading tone by computing the relative position and orientation between a light vector and surface normal. The 1D texture alone has limits to express the various tone change according to any viewing condition. Therefore Barla et. al. replaces a 1D texture with a 2D texture whose the second dimension corresponds to the view-dependent effects such as level-of-abstraction, depthof-field. The proposed scheme extends 2D texture to 3D texture by adding one dimension with the geometric information of 3D objects such as curvature, saliency, and coordinates. This approach supports two kinds of extensions for cartoon style diversification. First, we support "shape exaggeration effect" to emphasize silhouette or highlight according to the geometric information of 3D objects. Second, we further incorporate "cartoon specific effect", which is examples of screen tone and out focusing frequently appeared in cartoons. We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our approach through examples that include a number of 3d objects rendered in various cartoon style.

Non-Photorealistic Rendering Using CUDA-Based Image Segmentation (CUDA 기반 영상 분할을 사용한 비사실적 렌더링)

  • Yoon, Hyun-Cheol;Park, Jong-Seung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4 no.11
    • /
    • pp.529-536
    • /
    • 2015
  • When rendering both three-dimensional objects and photo images together, the non-photorealistic rendering results are in visual discord since the two contents have their own independent color distributions. This paper proposes a non-photorealistic rendering technique which renders both three-dimensional objects and photo images such as cartoons and sketches. The proposed technique computes the color distribution property of the photo images and reduces the number of colors of both photo images and 3D objects. NPR is performed based on the reduced colormaps and edge features. To enhance the natural scene presentation, the image region segmentation process is preferred when extracting and applying colormaps. However, the image segmentation technique needs a lot of computational operations. It takes a long time for non-photorealistic rendering for large size frames. To speed up the time-consuming segmentation procedure, we use GPGPU for the parallel computing using the GPU. As a result, we significantly improve the execution speed of the algorithm.

A Cartoon Motion Generation System for 3D Character (3차원 캐릭터의 만화적 모션 제작 시스템)

  • Lee, Ji-Hyeong;Gu, Bon-Gi;Kim, Jong-Hyeok;Choe, Jeong-Ju;Hwang, Chi-Jeo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409-413
    • /
    • 2008
  • 최근, 3차원 그래픽스 기술은 애니메이션 필름 제작에 있어서 자주 사용된다. 그러나 많은 애니메이션 필름들은 3차원 그래픽스 기술을 사용하여 제작되더라도, 2차원 셀 애니메이션 효과를 내려고 한다. 3차원 그래픽스 기술을 이용하여 2차원 셀 애니메이션의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렌더링에는 카툰 렌더링이 사용 된다. 그러나 이를 제외하고도 몇 가기 기술이 더 필요한데, 그중 하나가 만화 캐릭터(character)의 만화스러운 움직임이다. 기존의 연구 중에는 기존의 모션을 만화적 모션으로 변형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셀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움직임과 차이가 있었다. 또 생성된 모션이 만화적 모션인가 하는 의문에 대한 평가 기준이 없기 때문에, 만화적 모션의 모호성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직접 애니메이션에서 모션을 얻어내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2차원 애니메이션 동영상에서 2차원 캐릭터의 자세를 보고 3차원 캐릭터의 자세로 반자동 맵핑하여, 3차원 캐릭터의 애니메이션 키 프레임을 생성하고, 이 키 프레임간의 보간을 통해 3차원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생성한다. 생성된 3차원 캐릭터 애니메이션은 만화적 움직임을 갖게 되며, 2차원 캐릭터의 자세와 움직임을 기준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만화적 모호성을 극복할 수 있다.

  • PDF

Multi-layered Color Shading Technique for Expressing Multi-colors in Real-Time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실시간 다중 층의 색상 쉐이딩 기법)

  • Choi Seung-Hyuk;Kim Jae-Kyung;Lim Soon-Bum;Choy Yoo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a
    • /
    • pp.130-132
    • /
    • 2006
  • 마티즈와 같은 유명한 화가들의 작품을 보면 쉐이딩 부분을 단순히 회색 톤을 이용하여 색을 칠하는 것이 아니라 표현하려고 하는 상황과 분위기에 맞추어 다양한 색을 사용하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색상을 이용함으로써 장면을 작가의 의도에 맞게 연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풍성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이는 색이 인간의 감성적이 부분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인데, 사용하는 색에 따라 사람의 느낌도 변하고 감정도 달라지기 때문에 작가들은 다양한 색의 조합으로 느낌을 표한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렌더링에서도 다양한 색으로 쉐이딩 할 수 있는 다중 층 색상 쉐이딩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퐁 쉐이딩 기법이나 카툰 쉐이딩 기법은 단순히 회색 톤을 이용하여 쉐이딩 처리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쉐이딩 범위를 여러개로 나누고 각각의 영역에 반투명의 색을 덧칠함으로써 자연스럽고 풍부한 색의 혼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색을 사용함으로써 3차원 렌더링에서도 다양한 장면 연출이 가능하며 느낌 표현도 할 수 있다.

  • PDF

Cel Shading for Apparent Shape (명확한 형태 표현을 위한 셀 쉐이딩)

  • Chung, Jae-Min;Seo, Sang-Hyun;Park, Young-Sup;Yoon, Kyung-Hyu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4 no.4
    • /
    • pp.19-25
    • /
    • 2008
  • In this paper, we present new cel shading technique using local light that increases local contrast for apparent shape depiction. To convey detail and overall shape, we employ virtual local light to represent cubic effect and local shape. Moreover, we control increase of local contrast using curvature as complexity and curvature as importance to adapt depicted local shape to feature of each area. Our technique depicts shape well wherever global light is.

  • PDF

Cartoon-Style Video Generation Using Physical Motion Analysis (물리적 모션 분석을 이용한 만화 스타일의 비디오 생성)

  • Lee, Sun-Young;Yoon, Jong-Chul;Lee, In-Kwon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4 no.5
    • /
    • pp.522-526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to convert a video motion into cartoon-style animation automatically. Our system is a new video cartoon stylization method that can apply natural transformation with satisfying physical constraints. It applies physically reasonable transformation to a selected video object with considering physical information such as momentum, movement direction and force. We construct several deformation scenarios which correspond with traditional animation techniques, then a scenario can be easily selected to apply the effects. Finally, this system gene-rates a dynamic cartoon-style video by timing control and a cartoon rendering technique.

3-D Facial Animation on the PDA via Automatic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얼굴 표정의 자동 인식을 통한 PDA 상에서의 3차원 얼굴 애니메이션)

  • Lee Don-Soo;Choi Soo-Mi;Kim Hae-Hwang;Kim Yong-Guk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2B no.7 s.103
    • /
    • pp.795-802
    • /
    • 2005
  • In this paper, we present a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synthesis system that recognizes 7 basic emotion information automatically and renders face with non-photorelistic style in PDA For the recognition of the facial expressions, first we need to detect the face area within the image acquired from the camera. Then, a normalization procedure is applied to it for geometrical and illumination corrections. To classify a facial expression, we have found that when Gabor wavelets is combined with enhanced Fisher model the best result comes out. In our case, the out put is the 7 emotional weighting. Such weight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DA via a mobile network, is used for non-photorealistic facial expression animation. To render a 3-D avatar which has unique facial character, we adopted the cartoon-like shading method. We found that facial expression animation using emotional curves is more effective in expressing the timing of an expression comparing to the linear interpolation method.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color selecting behavior and self-esteem in Mabinogi, the on-line game (마비노기에서의 색 선택 행동 유형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 Jang, You-Won;Doh, Young-Yim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651-655
    • /
    • 2007
  • 카툰 렌더링 그래픽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RPG 게임인 마비노기에서는 게임이용자들이 염색 시스템을 통하여 의복아이템에 자신들이 원하는 색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마비노기에서 색에 관련된 주목할 만한 현상은유행색이 존재하고 색에 따라 같은 아이템의 가격이 달라진다는 점이다. 유행색이 존재하는 것은 현실과 비슷하지만 같은 아이템이 색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는 것은 현실에서는 보기 드물다. 이는 현실과 비슷하면서도 심리적인 속성이 다른 사이버공간만의 특징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마비노기에서 게임이용자들이 색을 선택하고 사용할 때 작용하는 심리기제가 존재할 것이라고 가정해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마비노기에서 색 선택 행동의 심리적 유형을 확인하고 유형별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자아존중감을 측정하였다. 예비 조사를 통해 게임이용자 20명과 온라인 인터뷰를 실시하여 색 사용 경험을 추출하고, 추출한 경험을 바탕으로 18문항의 색 선택 행동 문항을 구성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온라인 설문으로 129명의 게임이용자를 대상으로 색 선택 행동과 자아존중감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색 선택 행동은 4개의 요인-색채 둔감성, 유행추종, 개성표현, 캐릭터이미지와의 적합성-으로 구분되었다. 색선택 행동 4개의 하위 요인을 기준으로 군집분석한 결과 색 선택 행동 유형은 각각 색 분화형, 유행추종형, 색 둔감형으로 구분되었다. 색 선택 행동 유형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는 자아존중감 하위 범주 중 부정적인 자기평가, 타인의 의견에 대한 걱정, 의존성의 세 가지 하위 범주에서 색 선택 행동 유형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한편 자의식 차원에서는 색 선택 행동 유형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유행추종형은 다른 두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아존중감 수준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대로 색 둔감형은 다른 두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아 존중감 수준이 높았다. 색 분화형은 유행추종형과 색 둔감형의 중간 수준의 자아존중감을 볼 수 있었다. 유행추종형은 자기의 외부에서, 색 둔감형은 자기의 내부에서 색과 관련된 자신에 대한 가치감의 소재와 근원을 찾는 특성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RPG 게임에서 게임이용자들의 색 선택의 심리적 기제를 확인하고 색 선택 유형별로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색 선택 행동의 심리적 기제를 밝히려는 기초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추후에는 게임이용자들의 색 선택 행동을 보다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게임이용자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색이미지와 개별적인 색이미지 및 색이미지의 심리적 구조를 알아보기 위한 색채감성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들은 게임을 제작할 때 캐릭터 디자인과 아이템 디자인에 어떠한 색을 사용해야 되는지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