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투계수

Search Result 443,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Estimation of Continuous Infiltration Process by Unsaturated Permeability (불포화투수계수를 이용한 지반의 연속 침투능 산정)

  • Han, Heui-Soo;Lee, Jung-Sik;Jang, Jin-Uk;Yang, Nam-Young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0 no.2
    • /
    • pp.137-146
    • /
    • 2010
  • To estimate the accumulated infiltration, Horton's and Green-Ampt's equations are usually applied. Because the real infiltration is penetrated into the soil continuously, to cover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equations derived from the discontinuous infiltration system, new infiltration equation is derived from the concepts of continuous infiltration system. Furthermore, infiltration tests were done to compare the results from the conventional Horton's and Green-Ampt's equations and newly derived equation. Unsaturated permeability is the function of water content ratio or saturation degree, which affects directly to the infiltration capacity and accumulated infiltration. Therefore, the variation term of unsaturated permeability is inserted into the new equation to estimate the proper infiltration capacity and accumulated infiltration. It will make the more accurate analysis for the safety of structure and the behavior of groundwater.

A Development of Seepage Analysis Model for Unsaturated Soil during Rainfall (강우시 불포화지반의 침투해석모형 개발)

  • Lee, Jung-Sik;Han, Heui-Soo;Jang, Jin-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796-800
    • /
    • 2009
  • 토목구조물 및 사면의 붕괴는 집중호우가 내리는 경우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사면에서는 붕괴까지의 변형이 급속히 진행되어 이를 사전에 예방하기는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 침투 및 배수과정에서의 사면 붕괴는 강우침투로 인한 지반의 물리적 특성변화가 직접적으로 사면의 안전계수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때 발생하는 물리적 특성변화로는 침투시 사면 내 지반의 단위 중량은 증가하여 전단응력의 증가 및 전단강도 감소현상이 발생하며, 이와 반대로 사면 내 배수로 인하여 전단응력의 감소 및 전단강도의 증가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침투로 발생하는 지반의 포화도 변화를 지반 내 투수계수의 함수로 설명하여 강우로 인한 지반의 침투 및 배수과정을 규명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지반 내 지하수의 침투과정은 라플라스 공식을 적용한다. 그러나 라플라스 공식은 정상 상태(Steady State)일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고, 강우 등으로 인한 지하수의 수두 변화가 발생한 비정상 상태(Unsteady State)의 경우에는 부적합하므로 사면과 옹벽 등의 토질구조물에서는 안전성 변화를 계산할 수 없다. 이를 위해 사면 내 지반의 침투 및 배수과정을 투수계수의 함수로 나타내어, 강우의 침투과정을 Fourier Series, 변수분리법 및 섭동함수를 사용하여 식으로 유도함으로서 강우에 의한 지반의 침투 및 배수과정에 따른 사면 내 지하수의 분포를 예측한다. 침투과정 해석을 위하여 지표에서 포화대까지의 깊이 10m의 모델사면 및 지표부터 포화대까지의 포화도는 직선으로 비례한다는 가정을 적용한다. 먼저 푸리에 급수를 이용, 시간에 따른 온도를 열전달에 관하여 편미분하여 발생하는 열확산계수를 투수계수로 변환함에 따라 지하수의 시간과 수직방향거리에 대한 지반의 포화도를 산정한다. 변수분리법은 산정된 포화도에 지반의 초기조건과 경계조건를 고려하기 위해 적용하며, 변수분리법에 의해 산정된 지하수 분포를 섭동함수법으로 과도 및 정상상태로 분류한다. 본 연구의 수행으로 인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Fourier Series와 변수분리법, 섭동함수를 이용하여 강우에 의한 지반의 포화도 변화를 수식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둘째, 지반에서의 강우침투과정을 식으로 표현함으로서, 깊이별 시간에 따른 포화도의 영역이 상부로부터 하부로 전이되는 과정을 알 수 있다. 셋째, 푸리에 급수를 이용한 지반의 침투계산으로 강우로 인한 지반의 포화영역 및 불포화영역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으며, 각 깊이별 포화도를 계산하여 각 구간에서 불포화구간의 전단강도에 대한 보다 정확한 계산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 PDF

Prediction of rainfall-induced runoff considering infiltration of water in both unsaturated and saturated porous media (불포화 및 포화 투수층에서의 침투를 고려하여 강우 유출 해석)

  • Changhoon Lee;Minh Thang Tr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62-62
    • /
    • 2023
  • 강우가 지표면 아래로 침투할 때 초기에는 투수층이 불포화 상태이어서 부압이 작용하면서 침투할 것이다. Richards 식(Richards, 1931)을 써서 불포화 투수층의 침투를 모의할 수 있다. 강우가 지속되는 동안 하상 아래 어느 구간은 포화 상태가 되어 Richards 식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연구는 Richards 식을 사용하여 침투를 모의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강우에 의한 침투를 예측할 때 지표면에서의 침투율 qb 가 필요한 데 현존하는 연구에서는 Horton 식(Horton, 1941)을 사용하여 초기 침투율 fo 와 장시간 후 침투율 fc 와 시간에 따라 지수함수로 감소하는 계수 k 의 3가지 계수값을 실험이나 현장 관측값에서 찾아서 쓰고 있다. 그런데, 이 계수값은 강우강도 ri 가 클수록 침투율 q 가 커지는 물리 현상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 먼저 포화 투수층에서의 침투를 모의하는 식을 개발하였다. 지표면 아래에서 불포화 투수층에는 Richards식을 사용하고 포화 투수층에는 개발한 식을 사용하여 침투를 모의하였다. 또한 지표면에서의 침투율 qb 를 구하는 공식을 개발하였다. 하상에서의 침투율의 최대값은 $q_{bmax}=-{\lambda}{\sqrt{2g(s-b)}}$ 일 것이다. 여기서 λ 는 투수층의 공극율, s 는 유출수면의 위치, b 는 지표면의 위치이다. 지표면에서의 침투율의 최소값 qbmin 은 지표면 바로 아래 지점에서의 침투율일 것이다. 지표면에서의 침투율 qb 로 qbmax 와 qbmin 사이의 적절한 값을 선택한다. 강우강도를 ri 라고 하면 지표면 위 유출수의 연속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s-b={\int}(r_i-{\mid}q_b{\mid})dt$. 즉, 유출수면의 위치 s 는 강우강도 ri 가 클수록 또는 지표면에서의 유출율의 크기 |qb| 가 작을수록 크다. 또한 지표면에서의 침투율 qb 와 지표면 아래에서의 침투율 q 는 s - b 가 클수록 크다. 따라서, 강우강도 ri 가 클수록 침투율 qb, q 가 큰 현상이 잘 반영되었다. 강우-침투-유출 모형실험을 수행하여 강우강도에 따라 침투율과 유출량이 다른 현상을 관측하여 수치실험 결과와 비교·검증하였다.

  • PDF

Estimation of Infiltration Capacity by Unsaturated Permeability in Rainfall (강우시 불포화투수계수를 이용한 침투능 산정)

  • Lee, Jung-Sik;Cho, Sung-Geun;Shin, Chang-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87-391
    • /
    • 2011
  • 국내에서 사면 붕괴의 직접적인 원인은 강우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강우침투에 따른 지하수위 상승과 간극수압 증가, 강우강도 크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지표면 유출로 인한 사면의 표면토사 유출 및 얕은 사면붕괴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로 인한 지반내 침투로 불포화토가 포화토로 변화는 과정에서 침투능을 산정하고자 기존의 침투공식을 검토하고 TDR 센서를 이용한 실내실험을 통한 침투능 산정공식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침투능 산정공식을 검증하기 위한 침투실험을 수행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론적 해석 및 실내실험에 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화도 변화에 따른 TDR데이터 변화는 일정했으며 이를 회귀분석을 통하여 함수화하였고, 이 함수를 이용하여 지반의 포화도 및 함수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흡인수두항과 중력수두항이 결합된 연속적인 침투능 산정공식을 새로이 유도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결과와 TDR 센서를 이용한 실험결과와 거의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A Infiltration Analysis in Unsaturated Porous Layer with Permeable Sidewalk Block (투수성 보도블록에서의 불포화 투수층 침투 해석)

  • Lee, Jae-Joon;Lee, Ye-Hee;Kwak, Cha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05-905
    • /
    • 2012
  • 현재 도시유역의 홍수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우수유출 저감시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침투형 우수유출 저감시설의 경우 침투량 산정에 필요한 여러 인자 중 토성에 의해 저감 능력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강우시 침투로 인한 토양내 함수비의 변화와 선행강우 조건 등에 의해 정량적인 분석이 어려워 활용도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9년 국립방재연구원에서 시행한 침투실험 자료의 조건과 동일하게 투수계수 및 형상이 다른 두 종류의 투수성 보도블록 A, B와 토양내 선행강우의 유무에 대하여 표 1과 같이 검증 케이스로 구분하고, 4 가지의 강우강도로 모의 조건을 설정한 후 불포화 투수층의 침투해석을 실시하고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모의결과에 대한 검증을 시행하였으며, 모의 결과의 검증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통계적인 적합도를 나타내는 평균제곱오차(RMSE), 평균편차비율(PBIAS), 모형 효율성 계수(NSE), 지속성 모형효율성 계수(PME)을 산정해 보았다. 검증 결과 그림 1과 같이 투수성 보도블록 B의 형태가 투수성 보도블록 A의 형태보다 적합도가 높게 나타났고, 50mm/hr의 강우강도에서 변동성이 크게 나타났으나, 50mm/hr를 제외한 나머지 강우조건에서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으며, 선행강우가 있는 조건이 선행강우가 없는 조건에 비해 높은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 PDF

Prediction of the Seepage Rate of Concrete Face Rockfill Dam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침투량 예측 분석)

  • Choi, Chill-Yong;Kim, Min-Tae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9 no.10
    • /
    • pp.19-26
    • /
    • 2023
  • This research aimed to predict the seepage rate in the base rocks of a concrete face rockfill dam (CFRD) by conducting numerical analysis under various conditions.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grouting and seepage, emphasizing the significance of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of the grouting material and the rock. Moreover, we observed a decrease in seepage with an increas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am.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ssential input factors and outcomes of numerical analysis, incorporating various parameters, to inform the design phase. Additionally, our findings offer a dependable approach for calculating a reasonable seepage rate during both operational and maintenance phases.

A Comparison of Soil Hydraulic Conductivities Determined by Three Different Methods in a Sandy Loam Soil (토양(土壤)의 포화투수계수(飽和透水係数) 측정법(測定法) 비교(比較) 연구(硏究))

  • Park, Moo-Eon;Yoo, Sun-Ho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16 no.1
    • /
    • pp.14-19
    • /
    • 1983
  •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various wellknown methods to determine the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of soil were attempted in order to choose a convenient and reliable method applicable, at least, to Bonryang sandy loam (coarse loamy over sandy, mixed, mesic family of Typic Udifluvents). Three experimental methods, inversed auger hole, infiltrometer, and core sample method, were used for this purpos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inversed auger hole method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infiltrometer method while the core sample method was poorly correlated with other two methods. 2. The inversed auger hole method was proved to be convenient and reliable method to measure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upland coarse textured soils in situ. 3. The hydraulic conductivity determined by the infiltrometer method converged to a constant value after 80 to 100 minutes from starting of measurement. 4. The conductivity determined by the inversed auger hole method approached to a constant value at 5 or 6th run of measurement. 5. The hydraulic conductivity determined by the core sample method was greatly under estimated in comparison with the values obtained by other two methods.

  • PDF

Maintenance of Infiltration-type Facilities for Non-point Source Pollutant (침투형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의 유지관리에 관한 연구)

  • Lee, Hosik;Lee, Sanghwa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9 no.2
    • /
    • pp.145-152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Nonpoint-source pollutant treatment plant efficiency and maintenance. Field and laboratory permeability test were conducted three times each before and after displacement. The removal efficiency such as TSS, BOD, CODmn, T-N, and T-P were investigated from the year of 2006 to 2011.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right after displacement was calculated to be $1.07{\times}10^{-3}(cm/s)$, coefficient of permeability after a year was calculated to be $0.88{\times}10^{-3}(cm/s)$, and after five years, it was calculated to be $0.3{\times}10^{-3}(cm/s)$ and accordingly, the amount of infiltration decreased. In case of the removal efficiency, it generally tended to decrease, but it showed the higher rates than the expected rates BOD 40%, SS 76%, T-N 39% and T-P 53%. It is concluded that displacement cycle should be at least five years and that dredging cycle should be at least three months and at most one year.

The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considering Snowmelt Effect and Critical Infiltration in Han River Watershed (융설효과와 한계침투량을 고려한 한강유역의 지하수위와 강우이동평균간의 상관관계)

  • Yang, Jeong-Seok;Kim, Nam-Ki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9 no.3
    • /
    • pp.313-321
    • /
    • 2009
  •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level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and goundwater level were analyzed for the Han river watershed in Korean peninsular. Fourteen regions in the watershed were selected and there were somewhat different patterns of seasonal fluctuation of groundwater level data. The groundwater level data tends to decrease in dry spell and increase in wet spell however the range between maximum and minimum values is quite different for each gauging point. We could have stronger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for fractured rock aquifer and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than the groundwater level for alluvial aquifer. The critical infiltration, which is the maximum daily infiltration averaged throughout watershed, value is turned out to have the range of 10 to 90 mm. We could have stronger correlation when we consider critical infiltration and modify the original precipitation data than we use original precipitation data. We also could have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 when we consider snowmelt effect for the watershed that has considerable snow event.

The Influence of K-ratio and Seepage Velocity on Piping Occurrence (Piping현상 발생에 미치는 투수계수비와 침투유속의 영향에 대한 연구)

  • Huh, Kyung-Han;Chang, Ock-S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2
    • /
    • pp.129-138
    • /
    • 2008
  • In case of judging the stability of dike or dam structures which need hydraulic interception, the first thing to do is to examine whether a piping phenomenon occurred or not. Generally, dike or dam structures are constructed while layer compacting is executed, so permeability is likely to be anisotropic-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hydraulic conductivit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k_x$] and hydraulic conductivity in the vertical direction[$k_y$]. This study looked into exit hydraulic gradient and Seepage velocity by conducting an Seepage analysis subsequent to various hydraulic conductivity ratios[k-ratio = ky / kx] and examined the influence on piping by comparing & examining critical Seepage Velocity based on critical hydraulic gradient in theoretical equation and critical Seepage Velocity in empirical equation. As the research result, it was found that hydraulic conductivity ratio operates as a very important factor in case the stability against piping occurrence is considered with the concept of critical hydraulic gradient, but relatively the hydraulic conductivity ratio is very low in its importance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critical Seepage Velo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