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친환경소비자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22초

친환경농산물의 인증마크가 소비자가치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절초점과 해석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Hallmark of the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n the Consumer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 Centering around the Moderating Effect of Regulatory Focus and Construal Level)

  • 이승희;한상백;도현옥;서경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4호
    • /
    • pp.143-15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친환경농산물의 구체적인 마케팅연구 일환으로 친환경농산물의 품질인증마크가 주는 메시지 효과에 대해 다루고자 하며 또한 조절초점에 따른 설득지식의 활성화, 즉 조절초점 적합성이론을 친환경농산물의 품질인증마크(유기농산물 vs. 무농약농산물)에 적용시켜 봄으로서 친환경농산물의 품질인증마크에서도 소비자가치의 활성화 효과를 확인 해보았다. 연구결과, 친환경농산물의 품질인증마크(유기농산물 vs. 무농약농산물)는 서로 다른 조절초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소비자들이 친환경농산물의 품질인증마크(유기농산물 vs. 무농약농산물)에 따라 얻고자하는 목표가 상이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해석수준이론에 다른 적합한 설득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제시함으로서 개인의 성향적 맥락 하의 다양한 소비행동연구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소비자의 친환경농산물 구매에 있어서 가격변수의 중요도 및 영향인자에 관한 분석 (The Effects of Price on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for Eco-Friendly Foods)

  • 진현정;금석헌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6권3호
    • /
    • pp.105-133
    • /
    • 2011
  • 본 연구는 친환경농산물 구매에 있어서 소비자들이 생각하는 가격변수의 중요도를 살펴보고 가격수준에 대한 소비자의 의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를 보면, 직접질문 결과 현재 친환경농산물 구매에 있어서 소비자들은 '제품에 대한 상세한 설명', '유통채널', '친환경식품 표기에 대한 신뢰' 등을 가격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서열로짓분석 결과가 제시하는 바는 '어린 자녀의 수'나 '가족 중 환자 유무' 등 상황적 요인이 친환경농산물의 가격수준에 대한 소비자들의 의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컨조인트분석 결과를 보면 '유통채널'이 가장 중요한 속성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표기에 대한 신뢰' 그리고 가격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첫 번째 직접질문방식의 결과가 제시하는 바와 비슷한 결과로 풀이된다. 즉 '친절한 설명'이라는 변수는 컨조인트분석에 포함하지 않았음을 감안할 때, 주어진 상품프로파일 상의 선택을 이용한 간접적인 분석 결과와 직접적으로 질문한 결과가 같은 의미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친환경 밤의 소비자 인식 및 지불의사금액 분석 (A Study on Consumer Perception and Willingness to Pay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Chestnuts in Korea)

  • 김재성;김의경;최수임;정병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4호
    • /
    • pp.415-422
    • /
    • 2006
  • 본 연구는 임산물 가운데 생산과 수출 양면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밤을 대상으로 친환경 밤에 대한 소비자 구입의향 및 행태를 통계학적으로 종합 분석하여 친환경 밤의 소비확대를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소비중심지인 서울(350명)과 수도권의 신도시 일산(150명), 분당(150명) 등 총 650명의 가정주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친환경 밤에 대한 소비촉진 활동은 모든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일차적으로 대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3~4인 가족, 연령층은 30~40대의 젊은 주부계층, 교육 수준은 대졸학력 이상, 윌평균 수입액은 450만원 이상 고소득, 친환경임산물을 구입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등을 특정 표적대상으로 하여 소비확대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친환경임산물 판매처의 안정적인 확보와 함께 소비자가 인식하고 있는 친환경 밤에 대한 가치와 품질이 가격에 반영되는 가격설정이 필요하다. 이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소비자들의 종합적이며 결집된 지표인 친환경 밤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을 기초로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친환경 소비 이슈 변화에 관한 연구 - LDA 토픽모델링 분석을 적용하여 - (A Study on Change in Domestic Eco-friendly Consumption Issues - Applying LDA Topic Modeling Analysis -)

  • 송유진;권설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45-55
    • /
    • 2022
  • 본 연구는 '친환경 소비'라는 단어를 포함하고 있는 온라인 미디어 게시글을 분석함으로써 '친환경 소비' 이슈를 탐색하고, 이슈의 변화 양상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5년부터 2020년까지 5년 간격으로 기간을 정하고 '친환경 소비', '친환경 생활'이라는 단어를 포함하고 있는 네이버 블로그 게시글 6,812개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05년에는 환경문제 발생원인의 진단이 주요한 이슈였으나 점차 '친환경 소비'에 가치를 부여하고 올바른 친환경 소비를 위한 기준과 대안을 마련하는 방향으로 소비이슈가 확대·발전 되고 있었다. 2020년에는 친환경 소비가치와 바람직한 소비실천이 사회운동으로 확산 되는 움직임이 포착되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절제와 검소한 소비생활에 대한 논의는 드러나고 있지 않아 향후에는 친환경 소비의 방향성을 보다 고차원적 관점에서 절제와 검소한 삶에 대한 의제를 깊이 검토하고 이슈화 시킬 필요가 있다.

친환경성이 에너지절감 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nvironmental Friendliness on the Purchase of Energy Saving Product)

  • 주영진;한창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347-35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절감 제품을 대상으로 친환경성이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절감 제품의 경제성, 편리성, 친환경성 등이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들 구매영향 요인들 중 경제성과 친환경성의 효과는 소비자의 환경의식 수준에 따라 달라져서, 환경의식이 높은 소비자는 경제성에 둔감하게 반응하여 경제성이 낮더라도 친환경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가 환경의식이 낮은 소비자에 비해 크게 줄지 않으며, 친환경성에는 민감하게 반응하여 친환경성의 높아지면 친환경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가 환경의식이 낮은 소비자에 비해 크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친환경제품에 대한 마케팅전략을 수립함에 있어 소비자의 환경의식을 고려하여 환경의식이 낮은 집단에서는 해당 제품의 경제성을 높여 소비자의 비용을 절감 시키는 방안이 요구되고, 환경의식이 높은 집단에서는 해당 제품의 친환경성을 강조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을 것이다.

기업의 그린마케팅이 소비자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rporate Green Marketing on Consumer Word of Mouth Intention)

  • 박지호;박현숙
    • 산업진흥연구
    • /
    • 제7권3호
    • /
    • pp.9-16
    • /
    • 2022
  • 본 연구는 기업의 친환경 활동에 책임이 강화되고 있는 현재 기업의 그린마케팅이 경영성과 창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의 그린마케팅이 소비자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신뢰도의 매개효과와 소비자의 환경친화적 행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그린마케팅은 소비자들의 구전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브랜드신뢰도는 기업의 그린마케팅과 소비자의 구전의도 관계에서 정(+)의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의 환경친화적 행동은 브랜드신뢰도와 그들의 구전의도 사이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의 친환경 전략과 실천은 브랜드신뢰를 강화하고, 소비자들의 구전의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의 친환경 전략과 이의 실천이 실제 브랜드신뢰 구축과 소비자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그린마케팅과 소비자의 자발적 구전 가능성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했으며 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해 친환경 마케팅 전략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친환경농산물과 GAP농산물 인증제도의 올바른 이해 - 'GAP' 인식부족으로 혼돈 '농법 선택'은 소비자 몫

  • 김두호
    • 자연과 농업
    • /
    • 통권246호
    • /
    • pp.24-27
    • /
    • 2009
  • 1997년에 '친환경농업육성법'을 제정, 시행하고 2001년부터 친환경 농산물 인증제도를 도입, 운영해 오고 있으나 69%가 저농약농산물로 유기 무농약농산물의 보편화는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또 2006년에는 농산물품질관리법에 GAP 제도를 반영시켜 시행, 운영해오고 있으나 인증농산물은 아직 초보단계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 PDF

친환경임산물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Consumption of Environment-Friendly Forest Products)

  • 정병헌;장주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4호
    • /
    • pp.628-638
    • /
    • 2019
  • 본 연구는 친환경임산물 소비자의 구매 특성을 분석하고 소비확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세 이상의 친환경임산물 소비자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소비자의 연령, 소득, 성별, 교육수준, 거주지역, 가격만족도, 자녀유무, 친환경임산물에 대한 신뢰도 등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남자에 비해 여자일수록 미혼보다는 기혼인 경우가 친환경 임산물에 대한 지속적 소비의향이 높았다. 그리고 학력이 높고 자녀가 있는 가정과 60대 가정에서 친환경임산물의 지속적인 소비의향이 높았다. 친환경임산물의 소비확대를 위해서는 60대 주부와 자녀가 있고 학력이 높은 집단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운전자 특성에 따른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선호도 분석 (Eco-friendly vehicle preferences by consumer characteristics)

  • 원두환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3권2호
    • /
    • pp.281-304
    • /
    • 2014
  • 친환경 자동차의 보급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자동차 소비자들을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자동차 소비자들의 특성과 친환경 자동차 선호의 관계를 성별 연령 연료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이용한 컨조인트법을 이용하여 응답자를 성별 연령 연료비의 기준으로 구분하여 친환경 자동차의 속성이 효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응답자의 특성에 따라 자동차의 속성에 대한 한계효용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자동차의 속성이 응답자의 효용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같을 지라도 보상변이로 표출될 때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고, 반대로 효용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지라도 보상변이는 같은 수준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계효용은 주관적인 기준이기 때문에 응답자마다 다를 수 있는 반면, 보상변이는 상충관계를 이용한 객관적인 기준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응답자 특성에 따른 실질적인 선호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보상변이에 의하면 남성과 장년이 연비가 높은 차량을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유류비 소비자는 저유류비 소비자보다 주유시간에 더욱 민감하에 반응하고, 휘발유 차량은 청년층에서 더욱 선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