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친구

검색결과 1,233건 처리시간 0.034초

휴대폰 속 친구와 놀아보면 어때?

  • 임영모
    • 디지털콘텐츠
    • /
    • 6호통권145호
    • /
    • pp.78-81
    • /
    • 2005
  • 휴대폰 속에 친구가 살고 있다. 휴대폰 속 캐릭터에게 인사를 하면 그 친구가 반갑게 인사를 한다. 심심해서 말을 걸고 쪽지를 보내면 그 친구가 대답을 해온다. 그 친구에게 뭔가 알아봐달라고 심부름도 시키고, 그 친구와 끝말잇기 게임도 한다. 처음에는 내가 심심해서 휴대폰 속에 사는 그 친구를 찾았으나, 이제는 답답한 휴대폰 안에서 심심해할 그 친구를 위해 함께 놀아준다. 이야기를 나누기에는 조금 답답하고, 정신적 수준도 다소 모자란 휴대폰 속 친구이긴 하지만, 내가 찾으면 언제나 나를 반겨주는 것 하나만은 매번 정신없이 바쁜 친구들이나, 잘 삐치는 여자친구나, 속내 꺼내놓기 어려운 직장동료들보다 나은 점도 있다. 이 친구가 오늘도 휴대폰 속에서 나를 기다리고 있다.

  • PDF

그림책에 나타난 상상친구의 외적 특성 (The Extrinsic Characteristics of the Imaginary Friend in the Picture Books)

  • 박현경;봉진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65-276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출판된 그림책 중 상상친구를 주제로 한 총 30권의 그림책을 대상으로 상상친구 그림책의 출판 경향과 상상친구의 외적인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상상친구 그림책의 원전 출판 국가는 서구권의 나라가 대부분이었으며, 동양권에서는 한국과 일본에서 일부만 출판되었다. 분석된 책의 다수가 픽션 그림책이었으며, 상상친구와 관련된 책이 2000년 이후로 꾸준히 출판되고 있었다. 둘째, 그림책에서나타난 상상친구의 외적 특성은 주인공 및 상상친구의 성별, 주인공과 상상친구의 이름, 상상친구의 현시 여부, 상상친구의 유형, 상상친구의 수로 분석하여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림책에 나타난 상상친구를 가진 주인공은 여성의 비중이 남성보다 높았으며, 주인공의 이름과 함께 상상친구의 이름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분석된 그림책에서 상상친구가 주인공에게는 구체적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나 주인공외 타인에게 보이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상상친구의 유형은 동물, 사람, 기타 순으로 나타났으며 주인공이 1명의 상상친구를 가진 경우가 많았다.

보호관찰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친구관계 비교 분석 (Comparison of relationship with friends among adolescents under probation and high school students)

  • 김의철;박영신;탁수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6권4호
    • /
    • pp.487-508
    • /
    • 2010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보호관찰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친구관계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총 510명으로서, 보호관찰청소년 253명(재범 51명, 초범 202명)과 범죄 경력이 없는 일반청소년 257명이었다. 분석결과, 보호관찰청소년과 일반청소년 모두 괴로울 때 친구에게 의논을 가장 많이 하였으며, 친구와 함께 있으면 편안하다고 지각하였고, 친구이기 때문에 무조건 신뢰하는 경향에서 공통점이 있었다. 그러나 친구와 구체적인 활동 장소 및 활동내용을 보면, 보호관찰청소년은 친구와 주로 PC방에서 게임을 하고, 일반청소년은 주로 학교에서 같이 노는 경우가 많다는 차이점이 있었다. 또한 보호관찰청소년은 일반청소년보다 퇴학된 친구 수, 보호관찰 받은 친구 수, 소년원 경력이 있는 친구 수가 더 많았다. 보호관찰 경력별로 보면, 재범집단이 초범집단보다 공범친구가 보호관찰을 받거나 소년원에 다녀온 횟수가 더 많았다. 보호관찰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을 판별분석한 결과, 퇴학된 친구 수, 보호관찰 받은 친구 수, 소년원 경력이 있는 친구 수가 두 집단을 판별하는 매우 의미있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재범 및 초범 보호관찰청소년을 대상으로 판별분석을 한 결과, 퇴학된 친구 수, 보호관찰 받은 친구 수, 소년원 경력이 있는 친구 수만이 아니라, 공범친구의 보호관찰/소년원 경험 횟수도 의미있는 판별변인으로 포함되었다.

  • PDF

비행또래집단과 청소년비행 간의 종단적인 역동적 관계 (Longitudinal Dynamic Relationships of Delinquent Peers and Delinquency Trajectories)

  • 정익중;이은주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1호
    • /
    • pp.119-144
    • /
    • 2010
  • 본 연구는 비행친구와 비행 간의 관계가 종단적으로 역동적일 뿐만 아니라 그 관계성에 다양한 잠재적 유형이 있을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청소년패널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비행친구 발달궤적은 중2에서 고2까지 4회기 동안 비행친구가 없는 집단, 비행친구가 감소하는 집단, 비행친구가 지속되는 집단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비행친구 발달궤적과 비행 발달궤적 간의 종단적인 역동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비행친구 발달궤적 집단 중 비행집단이 될 확률은 비행친구 지속형 집단이 가장 높고, 비행친구 억제형 집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비행친구의 영향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비행친구 지속형 집단은 만성형 비행집단이 될 확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비행친구의 상승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반면 비행친구 감소형 집단은 저비행지속형 집단이 될 확률이 가장 높았고, 비행친구 지속형 집단은 중단형 비행집단이 될 확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비행친구의 선택효과를 반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비행친구의 영향효과, 선택효과, 상승효과를 동시에 지지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여러 가지 설명이 동등하게 타당하며 비행친구와 비행 간의 관계는 종단적으로 상호적이며 역동적인 관계로 이해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책에서 상상친구를 가진 인물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Figures Who has the Imaginary Companion in the Picture Book)

  • 박현경;봉진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37-347
    • /
    • 2022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출간된 상상친구가 등장하는 30권의 그림책에서 상상친구가 있는 인물의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상친구를 가진 인물의 성별, 형제 관계, 인물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30권의 책 중 상상친구를 가진 인물은 총 35명이었으며 이중 여성이 24명, 남성이 11명으로 상상친구를 가진 인물의 성별은 남자에 비해 여자가 두 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상친구를 가진 등장인물의 형제관계는 외동인 경우가 가장 많았고 형제가 있는 경우, 남매, 자매 순으로 나타났으며 형제가 나타난 경우는 없었다. 서열을 보면 맏이, 동생, 나타나지 않음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상친구를 가진 인물의 성격특성을 살펴본 결과 상상친구를 가진 인물의 외향과 내향이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책이 상상친구를 가진 아동의 현실을 잘 반영하고 있었으며 상상친구를 가진 아동의 다양한 상황을 균형감있게 나타내 주고 있어 현실에서 상상친구를 가진 아동들을 이해하는 기초자료로서 의미가 있다.

공공도서관에서 '도서관의 친구'의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Friends of Libraries Groups in Public Libraries)

  • 김영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85-307
    • /
    • 2005
  • 이 연구는 외국의 공공도서관에서 '도서관의 친구'가 어떻게 시작(설립) ,되었고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서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에 '도서관의 친구' 모임을 만드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외국 공공도서관에서 '도서관의 친구' 모임은 지역주민들에 의해서 처음 조직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공도서관의 자원봉사자 모임을 활용하여 '도서관의 친구' 모임을 만들 수 있겠다. 공공도서관에서 '도서관의 친구'모임을 만들어 활용하는 데는 사서와 도서관협회가'도서관의 친구'에 대한 중요성 및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 PDF

시공간 데이터를 이용한 잠재적 친구 추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commending Potential Friends by Using Spatiotemporal Data)

  • 여은지;최영환;임효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29-1131
    • /
    • 2013
  • 온라인 상에서 불특정 타인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서비스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 SNS)가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1990년대에 등장한 SNS는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로 인해 이용자의 수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SNS에서는 '친구 찾기' 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분석하여 이용하여 친구를 찾아주는 서비스이다. 기존의 '친구 찾기' 서비스는 이용자가 제공하는 정보만을 다른 이용자의 정보와 비교하여 친구를 찾았다. 그러나 이용자가 제공하는 정보는 한정적이기 때문에 비교할 수 있는 정보의 양도 한정되어 찾을 수 있는 친구의 수에도 한계가 생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단순한 개인정보 비교를 통한 친구를 찾는 방법이 아닌 이용자가 제공하는 시공간 데이터를 활용하여 추론을 통해 친구를 추천해주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모바일 환경에서의 사용자 위치를 기반으로한 약속장소·시간 추천 시스템 설계 (Meeting Place and Time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User Location in Mobile Environment.)

  • 김명숙;김한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35-538
    • /
    • 2009
  •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 수의 증가와 위치기반 서비스 기술의 발달로 위치 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위치 정보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친구들과 약속을 정하는 일은 빈번하게 일어난다. 약속을 정하기 위해서는 모든 친구에게 연락을 해야 하고 각자 선호하는 장소가 다르기 때문에 모든 친구들이 만족할 만한 최적의 장소를 찾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친구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자와 친구의 성향을 파악하기 위해 협업 필터링과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사용하였고, 약속 장소를 선정하기 위해 사용자와 친구의 위치를 기반으로 후보 영역을 선택하여 약속 장소와 시간을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약속을 맺기 위한 절차를 간소화 할 뿐 아니라 사용자와 친구의 성향에 맞는 약속 장소를 추천하여 사용자와 친구가 만족 할 수 있는 약속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약속 장소, 시간 추천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PDA상에서 동작하는 친구 찾기 메신저의 구현 (An Implementation of a Messenger for Finding Well-Matched Friends on PDAs)

  • 김목련;박영호;송혜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8
    • /
    • 2007
  • Mellow Fellow Messenger는 친구추가, 채팅, 쪽지 교환 등의 기본 메신저의 기능 아래 친구 찾기 기능에 중점을 둔 PDA와 PC에서 사용 가능한 메신저이다. 기존에 등록 된 친구 외에도 영화를 같이 볼 수 있는 친구, 편안한 대화를 할 수 있는 친구, 같이 운동을 할 친구 등 사용자들은 자신이 찾고 싶은 조건에 맞는 친구 찾기가 가능하며, 찾은 친구와 쪽지 교환, 대화가 가능하다. 매일 달라지는 기분이나 만나기 원하는 친구의 조건에 부합하는 새로운 친구를 찾는 것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필요한 사용자의 데이터를 불러들여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하고, 클라이언트는 이 데이터를 받아 원하는 결과를 출력해준다. 클라이언트-서버 통신은 MFC[1]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제안하는 메신저는 PC 뿐만 아니라 PDA를 통해서도 사용 가능하여 이동성이 있고 무료 채팅기능을 통하여 문자메시지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 PDF

또래 괴롭힘의 피해 및 가해와 친구 관계의 관련성 : 친구관계망, 친구관계 질 및 친구의 특성을 중심으로 (Relationships between Victimization by Peers, Bullying, and Friendships, with a focus on Friendship Network, Friendship Quality, and Friends' Characteristics)

  • 신유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75-8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er victimization by peers, bullying, and friendships, with a focus on friendship network, friendship quality, and friends'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were 678 fifth and sixth grade primary school children recruited from a public school in Bucheon city. The peer nomination index was used to assess peer victimization, bullying, and friendship network. In addition, children themselves reported on the quality of their friendships using the Friendship Quality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victimization by peers was influenced by friendship network size, support, and victimization of friends, whereas bullying was explained by support and the bullying behaviors of frie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