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자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2초

누에 고치색 유전자 발현의 다양성 검정 및 색채과학적 해석 (Genetic Expression of Color Approved by Color Qualities of Munsell System on the Cocoon of Silkworm, Bombyx mori)

  • 한명세;박현로;한상미;남기수;권순하;임종성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0-28
    • /
    • 1999
  • 각종 고치색을 검정하여 Pink계, Orange Yellow계, Yellow계, Yellow Green계, White계 등 5계통으로 정리하고, Munsell 부호와 한국표준색표 일련번호를 명시하는 동시에 영어 및 한국어 색이름을 규정하였다. 色 이론을 도입한 표색계에서는 공시한 21종의 유색견 고치색은 Pink계 1종, Orange Yellow~Yellow계 12종, Yellow Green계 3종으로서 16종이 확인되었다. Pink계는 노랑띤 분홍색; Orange Yellow계는 등황색, 금잔화색, 치자색, 계란색; Yellow 系는 해바라기색, 노른자색, 노랑, 벼색, 네이플즈 엘로, 황수선화색, 땅콩색, 크림색; Yellow Green계는 청포도색, 백연두색, 백합꽃색이 확인되었다. 관용 색이름인 肉色繭은 F 유전자가 지배하는 치자색 및 살색으로 세분되며, 藁色繭은 C$^{st}$는 벼색, 땅콩색 등을 포함하는 부류로 간주할 수 있었다. 고치색 유전자와 관련된 색파장 범위는 Pk가 593 nm, F는 580~593 nm, Grc 및 Ga Gb Gc 계열은 567~570 nm였으며, Y 유전자는 가장 폭넓은 575~593 nm의 색파장에 관여하였다. 가시광선 스팩트럼 593~567 nm 범위에 7종의 파장을 기본으로 18종 이상의 고치색이 성립되며, 특히 575~584 nm 영역은 유색견 21계통 중 78% 가 포함되어, 580 nm를 중심으로 色彩識別역이 예민한 색파장 영역에서 최소폭의 변화로 다양한 고치색 발현이 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 중부견사선 외층세리신이 정상인 멧누에와 집누에 교잡종($+^Y+^C/Y^AYmc$)은 고유의 멧누에고(5Y9/4) 외에 황수선화색(5Y8.5/8)이 분리되었다. YC 발현에서 Y와 동일한 연관군 및 좌위(2~25.6)인 Y$^A,\;Y^D$ 등은 누에계통별 특이 인자가 관여한 결과로 추정되며, 이와같이 C$^1,\;C^{st}$도 C와 동등한 유전자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녹색견은 Grc와 관계되는 2종의 청포도색, 독립유전 녹색견 Gc와 유사한 백연두색, Ga 또는 Gb와의 관련성이 추정되는 백합꽃색이 확인되었다. Pink계${\times}$Yellow계 고치색은 가법혼색의 경향을 보이고 , Yellow계의 "매우 진한 노랑" 고치 간의 교잡에서는 해바라기색이 우위로 발현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유색견 원종 간의 F1 고치색은 감법혼색의 결과와 유사하며, 교잡종 고치색은 양친의 평균과 비교하여 색파장은 단파장 쪽으로 이동하고 명도와 채도가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백년초 및 녹차 가루 첨가 연근 부각의 지질저하 기능성 (Development of Lotus Root Bugak with Plasma Lipid Reduction Capacity by Addition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or Green Tea as a Coloring Agent)

  • 김미정;홍선희;정라나;최은옥;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33-340
    • /
    • 2014
  • 본 연구는 한국 전통부각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부각을 부식으로뿐만 아니라 스낵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게 개발하고자 하였다. 부각 제조가 상대적으로 간편하며 원료 자체의 색상이 거의 없는 연근을 선정하여 여기에 빨강, 녹색 그리고 노란색을 낼 수 있도록 천연 기능성 색소 소재로 백년초, 녹차 그리고 치자 가루를 사용하였다. 이들 기능성 색소 재료를 삭힌 찹쌀풀 제조 후 첨가하여 다양한 부각을 만들고 이를 말린 후 생 참기름에 튀겨 동맥경화식이에 10%가 되도록 첨가하여 $LDLr^{-/-}$ 마우스에 10주간 섭취시켜 지질저하 기능성을 비교하였다. 실험군은 동맥경화유발식이를 섭취한 wild type mice 대조군(WC), $LDLr^{-/-}$ mice 대조군(CON), 그리고 동맥경화식이에 다양한 연근부각을 첨가한 연근부각군(LRB), 백년초연근부각군(OFB), 녹차연근부각군(GTB), 그리고 치자연근부각군(GFB)의 총 7군이었다. 부각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제한식이를 실시하였다. CON의 혈중 지질 농도는 WC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LRB의 혈중 TG, TC 그리고 LDL-C 농도는 CON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기능성 색소 재료 첨가에 따른 지질저하 기능성을 살펴보았을 때 OFB와 GTB군의 혈중 TG, TC 그리고 LDL-C 농도가 LRB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간의 지방산 합성 효소인 FAS와 콜레스테롤 합성 효소인 HMGCR의 발현 역시 OFB와 GTB군에서 LRB군에 비해 유의적 낮아(P<0.05) 혈중 지질 농도 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GFB군의 혈중 지질 농도는 LRB군보다 낮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FAS 및 HMGCR 발현 역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FAS 및 HMGCR의 mRNA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인 SREBP-1과 2의 발현을 살펴보았을 때, OFB군과 GTB군은 LRB군에 비해 각각 유의적으로 낮았으나(P<0.05) GFB군에서는 발현 정도가 낮기는 하였으나 유의적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백년초와 녹차 가루를 첨가하여 제조한 연근부각은 $LDLr^{-/-}$ 마우스의 간에서 지방산과 콜레스테롤의 생합성 억제를 통해 혈중 지질의 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산딸기, 유백피, 치자 추출물의 임상용 복합제제의 동물 실험모델에서의 위 질환 억제활성 (Preventive Effect of LS-RUG-com-a Mixture of Rubus crataegifolius, Ulmus macrocarpa, and Gardenia jasminoides-on Gastric Disorders in Animal Models)

  • 이영익;아텟삼 후세인;아지즈 압둘 라만;손호용;윤혜정;조진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1호
    • /
    • pp.923-935
    • /
    • 2023
  • 산딸기(RC), 유백피(UM)와 치자(GJ)는 위장장애 개선 및 다양한 효능이 보고된 중요한 민간 의약품 소재이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한 천연물을 이용한 실제적 위장 질환 개선제의 상업화를 위해, 상기 3종 천연물 추출물의 분말을 각각 3:1:2(w/w/w)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임상용 복합제제(LS-RUG-com)의 위 질환 억제활성을 평가하였다. HCl/EtOH 유도 위염 모델에서 LS-RUG-com (150 mg/kg)은 76%의 우수한 위염 억제 효능을 보였다(lesion index; HCl/EtOH, 112.37±11.20 mm, RUG-com; 26.32±1.87 mm). 또한 indomethacin 처리에 의한 위궤양 rat model에서 LS-RUG-com (150 mg/kg) 처리 시 90.8%의 위궤양 억제 효능을 보여, 임상에서 사용중인 cimetidine (100 mg/kg) 처리구의 81.1% 억제활성보다 우수한 활성을 보였다(lesion index; indomethacin ; 121.72±3.19 mm, RUG-com ; 12.5±1.16 mm). 역류성 식도염 유발 모델에서는 LS-RUG-com (150 mg/kg) 처리군에서 조직학적으로 omeprazole (150 mg/kg)에 비교되는 우수한 위 및 위 점막 손상 회복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위 내용물의 pH 상승, 위점막 보호의 증가 및 위의 pepsin 생성억제를 확인하였다. 또한, 위 식도 조직에서 TNF-α 및 IL-1β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염증 발생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 Helicobacter pylori 효능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LS-RUG-com이 인체의 위 관련 질환을 개선하고, 위 및 위 점막 손상을 예방, 개선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치자와 오미자를 첨가한 인삼 피클의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Ginseng Pickles with Chija and Omija)

  • 김애정;한명륜;우나리야;강신정;이건순;김명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24-529
    • /
    • 2008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physiological evaluation of Korean Ginseng pickles with added Chija and Omija pigment. Prior to the processing of 3 different colors of pickles, SOD-liked activit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tal phenolic acid contents, and lecithin oxidation inhibitory effects of Korean Ginseng, Chija and Omija water extracts were assessed. After processing the 3 colors of pickles, sensory evaluation and color values were conducted. SOD-liked activity of Korean Ginseng(42.58%) and Chija(41.88%) water extracts were similar to those of tocopherol(54.62%), bu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mija(29.01%). The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inseng water extract(87.85%) was similar to that of BHT(83.13%) and tocopherol(71.57%), bu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hija(68.01%) and Omija(37.15%). The total phenolic acid contents of Korean Ginseng, Chija, and Omija water extracts were measured at $1.01{\sim}1.66\;mg/m{\ell}$, levels similar to those of tocopherol($1.26\;mg/m{\ell}$) but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HT($3.89\;mg/m{\ell}$)(p<0.05). The lecithin oxidation inhibitory effects of Ginseng water extract(98.86%) was similar to that of BHT(92.82%) and tocopherol(89.13%), bu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hija(64.28%) and Omija (53.34%). With regard to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for the 3 colors of Ginseng pickles, the color and overall quality of P2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1 and P3(p<0.05). With regard to luminance, P1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P2 and P3(p<0.05). The a value of P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1 and P2, and the b values of P2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1 and P3.

과루인(瓜蔞仁), 치자(梔子), 백지(白芷)의 시험관내 항균 및 항염 효과 (In Vitro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richosanthes Semen, Gardeniae Fructus, and Angelicae Dahuricae Radix Aqueous Extracts)

  • 손지혜;김동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1-58
    • /
    • 2013
  • Objective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in vitro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ree single aqueous herbal extracts(Trichosanthes Semen, Gardeniae Fructus, and Angelicae Dahuricae Radix), traditionally used for treating various gynecological diseases including mastitis in Korea,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lipopolysaccharide(LPS)-activated Raw 264.7 cells. Methods: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ree single aqueous herbal extracts against S. aureus were detected using standard agar microdilution methods. In addition, the effects on the cell viability, $PGE_2$, NO, TNF-${\alpha}$, IL-$1{\beta}$ and IL-6 productions of LPS activated Raw 264.7 cells. The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were compared with lincomycin and piroxicam, respectively in the present study. Results: MIC of three single aqueous herbal extracts against S. aureus were detected as over 25, $4.063{\pm}2.096$ and $1.641{\pm}0.972$ mg/ml, respectively. MIC of lincomycin was detected as $0.469{\pm}0.297{\mu}g/ml$ at same conditions. In addition, $ED_{50}$ against LPS-induced cell viabilities and cytokine releases of three single aqueous herbal extracts were as follows - cell viability: 7.635, 13.761, 6.986 mg/ml, NO production : 4.808, 22.015, 2.949 mg/ml, $PGE_2$ production : 3.040, 4.312, 0.821 mg/ml, TNF-${\alpha}$ production : 9.563, 54.931, 1.240 mg/ml, IL-$1{\beta}$ production : 1.362, 1.801, 0.534 mg/ml, IL-6 production : 0.371, 0.797, 0.202 mg/ml, respectively. $ED_{50}$ of piroxicam against LPS-induced cell viabilities, NO, $PGE_2$, TNF-${\alpha}$, IL-$1{\beta}$ and IL-6 were detected as 35.179, 6.552, 1.162, 7.273, 7.101 and 5.044 ${\mu}g/ml$, respectively at same condition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anti-bacterial effects against S. aureus in the order of Gardeniae Fructus and Angelicae Dahuricae Radix aqueous extracts, except for Trichosanthes Semen. They also showed anti-inflammatory effects against LPS-activated Raw 264.7 cells in the order of Angelicae Dahuricae Radix, Trichosanthes Semen, and Gardeniae Fructus aqueous extracts. These three herbs are expected to be great substitutes to reduce side-effect of lincomycin and piroxicam, if the amount of those three single aqueous herbal extracts is adjusted appropriately.

고분자 흡착층의 입체장해효과를 이용한 라이코펜 색소의 특성분석 (Characterization of lycopene pigments by steric effect of polymer adsorption layer)

  • 배지현;정종진;이승호;김운중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57-366
    • /
    • 2017
  • 천연색소는 색을 발현할 수 있는 물질로서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에 사용된다. 천연색소는 동 식물에서 추출하여 만들기 때문에 크기가 균일하지 않으며 특히 적색색소의 경우, 다른 색의 색소에 비해 친유성이 강해 수용액 상태에서 쉽게 응집이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응집에 의한 크기변화로 인해 색의 재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적색색소로 기존에 사용했던 동물성 색소인 코치닐 추출 색소는 알레르기를 유발하고 식용으로서의 거부감이 있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사용이 기피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적색의 식물성 색소인 라이코펜 추출물과 치자황색소를 사용하였고 Ball-milling을 이용하여 색소의 크기를 균일하게 만든 후 Asymmetrical flow field-flow fractionation(AsFlFFF), Dynamic light scattering(DLS)를 이용하여 크기를 분석하고 색차계를 이용하여 색을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milling 전에는 색소 입자의 크기가 크고 크기분포가 넓었으나, milling 후에는 크기가 감소하고 크기분포가 좁아짐을 확인하였다. 색차계 측정 결과, milling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밝기, 적색도, 황색도가 높아져서 밝은 적색을 나타내었다.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 황련(黃連), 황금(黃芩), 황백(黃柏), 치자(梔子)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Hwangryunheadok-tang, and Scutellariae Radix Extract, Phellodendri Cortex Extract, Coptis Rhizoma Extract, Gardenia Jasminoides Extract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 김인수;오현승;신민구;이영수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55-471
    • /
    • 2014
  • Objectives: This experiment was done for investigating antimicrobial activity of Hwangryunheadok-tang and Scutellariae Radix extract, Phellodendri Cortex extract, Coptis Rhizoma extract, Gardenia Jasminoides extract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Methods: After administering S. aureus on a bacterial culture media plate, antimicrobial activity was tested by dripping $80{\mu}l$ diluted Hwangryunheadok-tang and Scutellariae Radix extract, Phellodendri Cortex extract, Coptis Rhizoma extract, and Gardenia Jasminoides extract (100%, 50%, 10%, 1%) on plates that were cultivated for a span of time from 16 to 72 hours. Also,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was tested by dripping the minimum dilution density solution that has antimicrobial activity between $80{\mu}l$ and $20{\mu}l$ ($80{\mu}l$, $60{\mu}l$, $40{\mu}l$, $20{\mu}l$) in measure of density. Antimicrobial activity of Hwangryunheadok-tang and four kinds of extracts against S. aureus was continually displayed. Results: 1. S. aureus (Standard Microorganism, ATCC) (1) Antimicrobial activity was displayed for Hwangryunheadok-tang, Scutellariae Radix extract, and Phellodendri Cortex extract respectively in the undiluted solution and 50% of diluted magnification. Gardenia Jasminoides extract showed its activity only in the undiluted solution; Coptis Rhizoma extract showed its activity down to 10% of diluted magnificati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undiluted solution was increased when the volume of inoculation increased. But, there was no difference when time was extended for cultivation. (2) MIC of Hwangryunheadok-tang, Scutellariae Radix extract was 50%, $20{\mu}l$. Coptis Rhizoma extract was 10%, $20{\mu}l$, Phellodendri Cortex extract was 50%, $80{\mu}l$ and Gardenia Jasminoides extract was 100%, $60{\mu}l$. 2. S. aureus isolated from diarrheal patients (1) When compared to standard microorganism, MIC has decreased. As a result,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has increased. (2) Antimicrobial activity of Hwangryunheadok-tang and four extracts was continually shown in extending of the time, 16, 24 and 72 hours. Conclusions: The author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Hwangryunheadok-tang, and four kinds of extracts hav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 aureus. Especially, when comparing standard microorganisms with S. aureus isolated from diarrheal patients, some cases showed that antimicrobial activity of all the extracts were better than antibiotics. Thus, if a further study is performed, the use of Hwangryunheadok-tang, and four kinds of extracts will be valuable and beneficial in clinical treatments.

피부각질세포에서 치자백피탕(梔子柏皮湯)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효과 (Protective Effects of Chijabaegpi-tang on Atopic Dermatitis in TNF-α/IFNγ-induced HaCaT Cells)

  • 은소영;윤정주;김혜윰;안유미;한병혁;홍미현;손찬옥;나세원;이윤정;강대길;이호섭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26-231
    • /
    • 2018
  • Chijabaegpi-tang (CHG) is an oriental herbal medicine that has been used for its various pharmacological effects, which include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immunoregulation activiti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which skin inflammations are involved in the $TNF-{\alpha}/IFN{\gamma}$-induced HaCaT cells. We investigated the suppressive effect of CHG on $TNF-{\alpha}/IFN{\gamma}$-induced HaCaT cell production of the following chemokines: macrophage-derived chemokine (MDC)/CCL22; regulated on activation, normal T-cell expressed and secreted (RANTES)/CCL5; and interleukin-8 (IL-8); 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 (TARC)/CCL17. The pre-treatment of HaCaT cells with CHG suppressed $TNF-{\alpha}/IFN{\gamma}$-induced nuclear transcription factor kappa-B ($NF-{\kappa}B$). In addition, CHG inhibited $TNF-{\alpha}/IFN{\gamma}$-induced phosphorylation of ERK and p38. $TNF-{\alpha}/IFN{\gamma}$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skin barrier proteins, including filaggrin (FLG), Involucrin (IVL) and loricrin (LOR). By contrast, CHG restored the expression of FLG, IVL and LOR. Taken together, our findings suggest that CHG could be a therapeutic agent for prevention of skin disease, including atopic dermatitis.

약용식물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 탐색 (Screening of Inhibitory activities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from Medicinal plants)

  • 최근표;정병희;이동일;이현용;이진하;김종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99-402
    • /
    • 2002
  • 50가지 식물자원을 대상으로 혈압상승을 주도하는 효소인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의 저해활성을 검색하였다. 그결과 추출물농도 1mg/ml에서 50%이상의 높은 저해활성을 보인 식물은 산뽕나무, 머위, 산부추, 돌나물, 꿀풀, 쇠비름, 마가목, 복분자, 속새, 감초, 창포 등 11종으로 나타났다. 또한 1mg/ml농도에서 목단, 곰취, 도인, 길경, 만형자, 참취, 익모초, 산조인, 가래나무, 석곡, 오갈피, 목향 등 12종은 $40{\sim}49%$의 비교적 높은 ACE 억제활성을 보였다. 1mg/ml에서 $30{\sim}39%$의 억제율을 보인 식물은 백부자, 백출, 세신, 당귀, 인삼, 천궁, 치자 등이었으며 현호색, 행인, 단삼, 백작약, 두충 강활 박하, 진피, 방기, 고본, 구기자, 홍화, 포황, 음양곽, 원지등은 $10{\sim}29%$의 낮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앞으로 ACE 억제활성이 높은 식물자원의 유효성분에 대한 물질확인과 동물모델을 이용한 효능검증에 대하여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천연식물로부터 추출한 색소성분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Various Color Resources Extracted from Natural Plants)

  • 황초롱;강민정;심혜진;서화진;권오운;신정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65-172
    • /
    • 2015
  • 정향, 감, 오배자, 황벽, 치자, 홍화황 및 아나토와 같은 천연 식물로부터 얻어진 색소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오배자 추출물에서 2,441.45 mg/k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정향 추출물에서 1,346.48 mg/kg으로 높았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및 환원력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오배자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alpha}$-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은 감 추출물에서 ($IC_{50}=22.83{\mu}g/mL$)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오배자 추출물에서 높았다. ${\alpha}$-Amylase 및 lipase에 대한 저해 활성 역시 감 추출물 처리 시 각각 49.45% 및 61.01%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20{\mu}g/mL$ 농도로 처리 시 3T3-L1 세포 내 지방 축적율은 감, 정향 및 아나토 추출물 처리군에서 각각 81.54%, 83.36% 및 85.70%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3T3-L1 세포 내 triglyceride 함량은 정향 추출물 처리군이 66.11%로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감 추출물 처리 군에서 88.88%로 유의적으로 낮았다. 천연식물류로부터 추출한 색소 원료 중 오배자 추출물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감 추출물은 소화효소 저해 활성과 3T3-L1 세포 내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가짐으로써 항비만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