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위생교육

검색결과 308건 처리시간 0.023초

산업체 수요기반의 노인치위생학 및 실습 교육과정 운영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geriatric dental hygiene and practical education courses based on industry demand)

  • 최용금;윤지혜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41-150
    • /
    • 2023
  •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노인구강관리에 대한 산업체 수요기반의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함으로써 노인치위생학 교육의 효과를 확인해 보고자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산업체 수요기반 현장중심 실무교육에 따른 전공역량달성도, 노인치위생과정 인식, 수업만족도의 전후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모수 분석으로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수행하였으며, 각 요인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스피어만 상관분석(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p<0.05). 결과: 전공역량달성도의 경우 산업체 수요기반 현장중심 실무교육을 수행 후 '노인과의 의사소통 역량'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031). 고찰: 노인치위생학 교육과정은 산업체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실무중심의 교육과정이 학습자에게 제공되었을 때 노인에 대한 실제적인 이해와 노인구강관리에 대한 현장실무전공역량이 더욱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현장임상실습 만족도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to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field practice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 심선주;백하영;엄정선;정하얀;지혜미;황시내;한지혜
    •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2-30
    • /
    • 2017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현장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학생들의 현장임상실습 만족도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연구대상으로는 본 연구의 목적과 내용 및 취지를 밝히고 설문내용을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한 치위생(학)과 학생 중 임상실습을 경험한 3학년, 4학년 학생 108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1일부터 2016년 4월 7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일반적인 특성 5문항, 실습병원의 특성 4문항, 전공만족도는 7문항, 병원특성 및 전공만족도는 12문항 총 2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현장임상실습 만족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방법을 계획함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현장임상실습 만족 여부는 학과 내 교수님들과의 소통 정도가 높을수록, 선후배 간의 소통 정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학교에 대한 적응 정도가 높을수록 현장임상실습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2. 실습병원 특성과 현장임상실습 만족도는 현장 임상실습의 주 당 실습시간이 적절했다고 대답할수록, 실습생들과 직원들과의 친밀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현장임상실습의 총 실습 시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현장임상실습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3. 전공과목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학과 실습실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교과목 편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현장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p<0.01). 결론: 치위생(학)과에서의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전공지식 습득의 효율성을 높이고 다양한 현장임상실습 환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전공만족도와 현장임상실습 만족도를 모두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전공교과목 편성과 교육방법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the stress of Clinical Dental Practice for Dental Hygiene Students)

  • 임순연;양정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91-200
    • /
    • 2021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대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하여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측정도구와 관련요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의 체계적 문헌고찰 가이드라인에 의거하여 수행되었으며 최종분석에 사용된 문헌은 24편이었다.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측정도구는 4개였다. 문헌 분석결과 만족도가 낮을수록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인관계, 역할 및 활동, 이상과 가치의 요인이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다양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요인에 국한되어 분석하였기에 향후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 치위생(학)과 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관하여 다면적인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길 기대한다.

치위생 학생의 스마트폰 이용동기, 스트레스, 대인관계만족도가 과의존에 미치는 융합 연구 (Convergence of Smartphone Motivation, Stress,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on the Dependen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 김다희;이혜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237-24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치위생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이용 동기, 스트레스, 대인관계 만족도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대전 충남 지역의 치위생 전공 학생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치위생 전공 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중 사용시간)(3-4hours/>4hours)(${\beta}=0.163$), 주중 사용시간(<3hours/3-4hours)(${\beta}=0.196$), 이용 동기(${\beta}=-0.178$) 순이었고,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은 주중 사용시간 이었으며, 설명력은 25.6%이었다. 스마트폰의 과의존에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들에 관한 연구와 치위생 전공 학생들을 위한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국내 치위생(학)과 개설 현황 및 치과위생사의 활동 실태 (Current status of dental hygien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dental hygienists' employment in Korea)

  • 양송이;유수민;이희연;임소현;채주영;황선혜;오상환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85-792
    • /
    • 2021
  • Objectives: Dental hygienists are an essential human resource in dental service organizations. However, there are several important persisting problems faced by them, that need to be sol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situation in dental hygiene education institutions, number of active dental hygienists, and employment distribution across South Korea. Methods: The study gathered statistics of dental hygiene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ratio of active dental hygienists and the number of dental hygienists working across South Korea from officially reviewed websites. Results: Daegu and Gyeongbuk regions house the most number of colleges with dental hygiene programs. The Daejeon and Chungnam regions had the most universities with dental hygiene programs. The activity ratio of dental hygienists decreased every year. Dental hygienists' employment was highly focused in the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Conclusions: The survey data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dental hygienist education to cope with the shortage of active dental hygienists and regional imbalances. This could prove useful to consider the employment of dental hygienists appropriately.

한국 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와 구강증상경험의 관련성: 제14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2018) (Association between stress recognition and oral symptom experience in Korean adolescents: The 14th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2018))

  • 김영숙;이민영;김정희;오정현;유자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301-307
    • /
    • 2020
  • 스트레스 인지와 구강증상경험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제 14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교차분석과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전체 대상자의 81.7%는 평상 시 스트레스를 인지하고 있었고, 최근 12개월 동안 구강증상을 경험한 비율은 48.9%였다. 스트레스를 인지하는 그룹에서의 구강증상 경험률은 52.2%로, 인지하지 않는 그룹(34.0%) 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01), 스트레스를 인지하지 않는 그룹에 비해 인지하는 그룹의 구강증상경험은 1.86배(95%CI: 1.78-1.95)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청소년에서 스트레스와 구강증상경험이 유의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구강보건교육 및 청소년들이 건강한 방법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일부 대학 치위생학과의 치과임상실무 관련 교육과정 운영현황 (Current status of dental hygiene curriculum related to clinical practice for dental hygienists in some universities)

  • 이효진;신보미;신선정;배수명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93-803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dental hygiene curricula related to clinical practice in Korea. Methods: Clinical work included the categories 'history taking, infection control, oral prophylaxis, preventive treatment, education/counseling, radiography/reading, assisting/cooperation, impression/bite registration, anesthesia, etc.', and 66 works were finally selected based on the frequent tasks of dental hygienists. The subjects were made to answer nine questionnaire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main works operated quite differently in lectures and practice in each school. All types of practice were applied to all schools in the case of 'scaling'. The evaluation of clinical practice was also found to be very different from school to school. Conclusions: For dental hygienists to establish expertise in clinical practice and promote quality improvemen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re curriculum focusing on clinical practice. The standardized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to an efficient and competency-centered one defining clearly the role of dental hygienists considering the needs and importance of clinical practice.

전문직 간 교육 평가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evaluation tool)

  • 최혜원;임희정;김명철;임도선;황영선;정임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77-286
    • /
    • 2023
  • Objectives: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a systematic tool that can evaluate the effects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by applying four core competencies (values/ethics for interprofessional practice, roles/responsibilities,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and teams and teamwork) and an educational evaluation model to evaluate the learning, behavior of learners, and results step by step. Methods: Previous studies on IPE evaluation tools were analyzed, and an evaluation tool (draft) was developed by modifying questions suitable for evaluation according to the Kirkpatrick model's stages and core competencies. The evaluation tool was completed by conducting a Delphi survey twice with 4-6 experts. To analyze the Delphi survey, the content validity index (CVI) was calculated, and the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used to measure reliability. Results: 29 questions on pre-education, consisting of learning and behavior stages, and 54 questions on post-education, consisting of reaction, learning, behavior, and results stages, were developed. The CVI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values were >0.8 and >0.6,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IPE evaluation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valuation of the educational level of IPE and the identification of points for improvement when applied to various educational settings.

취약계층의 재가 거주자를 대상으로 수행한 방문구강건강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home-visiting oral health care experience in vulnerable populations)

  • 문상은;이보람;정민숙;이재라;김선영;하명옥;김일신;임형석;이미라;윤영애;홍선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29-242
    • /
    • 202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analyze experiences with home-visiting oral health education in vulnerable populations a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preventive strategies for oral health promotion among these patients. Methods: Using a phenomenological researc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etween August 29 and October 31, 2023 with 20 vulnerable individuals participating in the Home Visit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under the Gwangju+ Gwangsan Integrated Care Service project spearheaded by the Gwangju Medical Welfare Cooperative. Results: After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130 meaningful words and 14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and categorized into five major themes. Participants expressed discomfort when chewing or swallowing food and felt burdened by visits to the dentist. Although they experienced considerable loneliness because they spent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alone, they enjoyed communicating through visitation care and expressed gratitude for receiving oral health education. Conclusions: Oral health education through home visits cam increase awareness of oral health management among vulnerable populations and serve as an important means of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치위생(학)과 학생의 노인에 대한 부양의식이 공감력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influence of dental hygiene student supporting awareness in their empathy about elderly)

  • 박신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25-30
    • /
    • 2017
  • 본 연구는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의 노인에 대한 부양의식이 공감력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대학의 치위생(학)과 학생 19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IBM SPSS STATICS 20.0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에 대한 부양의식과 공감력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공감력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문제 대한 관심도와 부양의식이 높을수록 공감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치위생(학)과 학생들에게 노인 관련 교과목 개설 및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