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과위생사 임상경력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7초

치과위생사의 소진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Influence of Burnout on Job Commitment in Dental Hygienists: in the Gyeongsang-do region)

  • 이재철;노효련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31-42
    • /
    • 2016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들의 소진이 직무몰입에 주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치과위생사 156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소진은 Maslash Burnout Inventory척도, 직무몰입은 강종수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치과위생사들의 소진은 정서적 고갈, 성취감 감소, 비인간화의 3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직무몰입은 조직몰입, 경력몰입, 작업몰입의 3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치과위생사들의 소진은 7점 만점 중 3.77점, 몰입은 5점 만점에서 3.53점으로 나타났다. 임상경력이 5년 미만이며 동료 인원이 적을수록 소진이 높았다. 임상경력이 높을수록 경력몰입이 높았으며, 경력과 연봉이 많을수록 조직몰입이 높게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경력몰입과 작업몰입은 정서적 고갈과, 조직몰입은 성취감 감소와 음의 영향을 받고 있어서 소진이 높을수록 직무몰입 정도가 낮아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치과위생사들의 소진감소와 직무몰입도 증진을 위하여 경력을 유지하고 연봉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일부지역 치과위생사의 임상경력에 따른 치과 의료사고 및 분쟁 경험, 심리상태, 예방교육에 대한 인식정도 분석 (Analysis of the perception degree on dental medical accident and dispute experience, psychological status and preventive education according to clinical career of dental hygienist)

  • 윤나나;이명주;성미경
    •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3-21
    • /
    • 2017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임상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임상경력에 따른 의료사고 및 분쟁 경험, 심리상태, 예방교육 대한 인식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2년 5월 1일부터 6월까지 경남 지역의 일부 치과 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 총 330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 환자의 불평 및 불만으로 문제가 된 경험이 있는 경우와 치과위생사의 업무로 인한 불평 및 불만을 경험한 경우 모두 임상경력이 많은 6년 초과 군에서 각각 70.3%, 30.7%로 나타났다. 2. 환자의 불평, 불만 문제제기 되는 경우 중 진단, 치과진료기구 및 재료와 관련된 경우, 스케일링, 인상채득, 보철치료, 소아환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임상경력이 높은 6년 초과 군에서 횟수가 많이 나타났다. 3. 환자의 불평 및 불만을 경험한 후의 심리상태 중 '과정은 힘들었지만 있을 수 있는 일이라 생각하고 잊었다'는 160명으로 그 중 임상경력이 6년 초과가 38.1%, 3년 미만이 37.5%으로 비슷하게 나타났고, 임상경력 3~6년은 24.4%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치과위생사의 의료사고 및 분쟁 예방교육에 대한 사항에서 '진료 시 문제제기나 분쟁발생에 대한 의구심이 든다'에 '가끔 그렇다'고 답한 임상경력 3~6년 73.6%으로 높았으며, 예방교육 필요성 여부에서는 '필요하나 시급하지 않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그 중 임상경력 3년 미만이 60.0%로 가장 많았다. 의료분쟁 증가여부에서는 '예'가 많았으며 임상경력 6년 초과가 87.1%으로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한 의료사고 및 분쟁에 대한 예방교육이 시급한 것으로 사료된다.

임상치과위생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 (Clinical Dental Hygienist's Ethical Dilemma and Professionalism)

  • 김창희;이현옥;이선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45-352
    • /
    • 2011
  • 본 연구는 임상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윤리적 딜레마와 치과위생사의 전문직업성 정도를 파악하고자 3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SPSSWIN 18.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윤리적 딜레마 영역별로 치과위생사와 전문직 업무가 2.62점, 치과위생사와 대상자 2.41점, 치과위생사와 협동자 2.34점 순이었고, 전체적 딜레마 점수는 2.46점으로 나타났다. 2. 전문직업성 영역별로 공공봉사심이 3.55점, 자율성 3.42점, 전문조직에의 준거성 3.14점, 소명의식 3.01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전문직업성은 3.28점으로 나타났다 3. 윤리적 딜레마의 세부영역 중 치과위생사의 전문직 업무 영역은 공공봉사심, 소명의식 및 전체적 전문직업성, 치과위생사와 협동자 영역은 공공봉사심과 소명의식, 치과위생사와 대상자 영역은 자율성과 소명의식, 전체적인 윤리적 딜레마에서는 공공봉사심과 소명의식에서 약하지만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체적 딜레마는 연령에서 21-24세, 학력은 대학원 이상, 결혼 상태는 미혼, 근무지는 치과병원 및 대학병원인 경우, 근무경력이 1-3년 이하에서 점수가 높았으나 집단 간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업성은 연령이 많을수록,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기혼인 경우,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전문직업성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전문직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력과 근무경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윤리적 가치관 확립을 위한 지속적인 전문직업성 교육프로그램 개발로 전문직업성 함양을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치과위생사의 수행업무, 직무만족, 조직기여도의 관계 (Relationship of between Task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ntribution of Dental Hygienists)

  • 권준영;이수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02-309
    • /
    • 2016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수행업무, 직무만족, 조직기여도의 관계를 파악하고 치과위생사의 조직기여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치과 병 의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85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와 온라인을 통해 회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서 연령이 41세 이상, 경력이 11년차 이상, 기혼치과위생사, 책임치과위생사, 월 소득 200만원 이상인 치과위생사가 경영지원업무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28~33세, 경력이 6~10년차, 전문학사(3년제)졸업자, 중간관리치과위생사가 임상 및 진료협조업무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41세 이상, 경력이 11년차 이상, 기혼치과위생사, 책임치과위생사, 월 소득 200만원 이상인 치과위생사가 업무만족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만족에서 기혼 치과위생사와 월 소득이 250만원 이상, 주 근무시간이 주 40시간 이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연령이 41세 이상, 경력이 11년차 이상, 기혼치과위생사, 근무 직위가 중간관리치과위생사 이상, 월 소득 200만원 이상인 치과위생사가 조직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치과위생사 조직기여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월 소득, 경영지원업무, 업무만족이 유의한 관련변수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치과위생사의 조직기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월 소득, 경영지원업무, 업무만족이다. 이는 병원 경영에 참여할수록 조직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업무만족이 높을수록 병원에서의 업무가 순조롭게 이루어지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추후 연구에서는 치과위생사의 조직기여도 향상을 위해 병원 전체 목표 달성과 병원에서 업무가 순조롭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조직기여도와 관련 있는 요인을 명확히 파악하고, 치과위생사의 조직기여도 향상을 위한 연구도구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경력 치과위생사와 신입 치과위생사의 방사선안전관리 지식, 태도 및 행위에 대한 비교조사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Radiation Safety Management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of Career Dental Hygienists and New Dental Hygienists)

  • 윤정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73-179
    • /
    • 2011
  • 치과위생사는 구강진료기관에서 방사선 촬영 및 관리를 담당하는 실무자인 반면에 치과위생사들의 방사선 피폭관리 및 안전관리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또한 치위생과 학생들에게도 방사선 관련 안전관리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한 체 이론 및 실습 교육이 이루어져온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대처방안이 요구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위생사의 방사선 안전교육에 대한 현주소를 알기 위해 경력치과위생사와 올해 졸업한 신입치과위생사의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를 파악하여 학교 교육과 임상에서 치과위생사의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설계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부산지역에 위치한 치위생과를 2011년 2월에 졸업한 신입치과위생사와 부산에 소재한 치과병의원에서 현재 근무하고 있는 임상경력이 3년 이상 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2011년 3월말부터 4월 중순까지 설문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지식수준을 살펴본 결과 총 15점 만점 중 경력치과위생사 $8.25{\pm}2.47$점, 신입치과위생사 $7.42{\pm}2.77$점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식수준을 살펴보면 건강상태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2.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태도 수준을 살펴본 결과 5점 만점 중 경력치과위생사 $4.35{\pm}0.55$점, 신입치과위생사 $4.19{\pm}0.60$점으로 나타났다(p<0.01). 3.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행위수준을 살펴본 결과 5점 만점 중 경력치과위생사 $3.14{\pm}0.98$점, 신입치과위생사 $3.33{\pm}0.99$점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행위수준을 살펴보면 교육유무별로(p<0.01), 방어시설별로(p<.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방사선 안전관리 지식, 태도 및 행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방사선 안전관리 지식은 방사선 안전관리 태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임상 치과위생사의 갈등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on Conflict Experiences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 조은주;임순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49-457
    • /
    • 2016
  • 본 연구는 일대일 심층면접을 통하여 임상 치과위생사들의 갈등 경험을 파악하고 치과위생사 갈등 경험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13명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갈등 경험을 생생하게 심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질적 연구방법으로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나타난 임상 치과위생사의 갈등 경험은 업무 갈등, 대인 갈등, 조직환경 갈등, 갈등 대처를 중심으로 범주화되었다. 첫 번째 범주는 업무 갈등으로 신규 치과위생사로 업무 습득의 어려움이 나타났다. 또한 경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업무역량의 부족함을 느끼고 있으며, 역할이 명확하지 않음에 대한 혼란으로 힘들어 하였다. 치과위생사의 업무가 아닌 업무가 주어질 때, 주어진 역할의 한계에 부딪쳤을 때, 새로운 업무에 대한 요구가 나타났다. 두 번째 범주는 대인갈등으로 직원과의 갈등, 환자와의 갈등, 의사와의 갈등으로 분류하였다. 상사와 동료, 타 직종과의 어려움, 직원의 역량 부족으로 오는 피해로 힘들어 하였다. 환자가 의사와 나를 다르게 대우할 때 회의감을 느끼며, 항상 친절해야 한다는 것으로 감정 노동을 호소하였다. 의사의 권위적인 태도에서 힘들어 하고, 치과위생사를 인정해 주지 않음을 호소하였다. 또한 의사의 진료에 대한 질에 대하여 고민하였다. 세 번째 범주는 조직환경 갈등으로 근무조건, 임신과 출산, 육아에 따른 이해 부족으로 오는 어려움, 선배 치과위생사의 의견과 행동을 무조건 따라야 하는 위계질서 문화, 매출에 대한 부담으로 구성되었다. 네 번째 범주는 갈등 대처로 주위의 지지로 이겨내기, 능동적으로 해결하기, 회피하기, 떠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참여자들은 업무보다 사람들의 태도나 대우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힘들어 하였다. 임상 치과위생사의 갈등 경험에 대한 다각적 접근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임상 치과위생사들의 갈등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과 갈등과 스트레스를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한 대인관계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치과위생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적 의사결정능력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Analysis Relationship of Critical Thinking,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 김혜진;정애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322-330
    • /
    • 2013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직무만족도,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을 알아보고, 변인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치과위생사 교육 전략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자의 대부분은 평균연령 30.6세, 여성, 전문대학졸업, 7년 이상 경력, 치과의원에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판적 사고성향에서 진실추구 3.36점, 성숙 3.00점으로 나타났다.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에서는 가치와 목표에 대한 검토가 3.39점, 대안과 선택에 대한 조사가 3.10점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에서 전문적 위치 3.20점, 보수 및 승지에서 2.84점으로 나타났다. 비판적 성향에서는 종교, 학력, 총 근무경력, 근무현장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에서는 종교와 학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직무만족에서는 종교, 학력, 총 근무경력, 근무현장에서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비판적 사고성향은 임상적 의사결정능력 및 직무만족도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은 직무만족도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적 의사결정능력과 직무만족도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므로, 학부 교육 과정에서부터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과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용을 포함시키고, 임상현장에 있는 치과위생사를 위한 지속적인 추가 실무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임상치과위생사의 소진과 공감피로, 공감만족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Burnout, Compassion Fatigu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 한양금;김한홍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56-263
    • /
    • 2014
  • 본 연구는 임상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소진, 공감피로, 공감만족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파악하고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편의 추출된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및 충청북도에 소재하는 치과병 의원에 근무하고 있는 313명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3년 6월 17일부터 7월 31일까지 수집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소진 총점은 $27.12{\pm}4.70$점, 공감피로 총점은 $28.39{\pm}3.93$점, 공감만족 총점은 $31.99{\pm}6.01$점, 사회적지지 총점은 $45.27{\pm}6.40$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과 비교한 결과, 소진은 연령이 낮을수록(p=0.038), 기혼보다 미혼인 경우에(p<0.001), 임상경력이 1~5년인 경우에(p<0.001), 의원급보다 병원급에 근무할수록(p=0.002), 직급이 낮을수록(p<0.001), 급여가 낮을수록(p<0.001)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공감만족은 기혼인 경우(p<0.001), 직급이 높을수록(p<0.001), 급여가 높을수록(p=0002)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임상경력이 높을수록(p=0.019), 병원급보다 의원급에 근무할수록(p<0.001), 직급이 높을수록(p=0.002)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 결과, 소진은 공감피로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상관성은 약하였고, 공감만족과 사회적 지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공감만족은 사회적 지지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로는 근무기관형태(p=0.031), 공감피로(p<0.001), 공감만족(p<0.001), 사회적 지지(p<0.001)로 나타났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56.9%였다. 결론적으로 공감피로, 공감만족 및 사회적 지지는 임상 치과위생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치과위생사의 공감피로를 줄이고 공감만족과 사회적 지지를 높여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인적 자원 관리의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치과위생사의 윤리적 가치관과 전문 직업성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A Study on Ethical Values and Professionalism of Dental Hygienists)

  • 정정화;김민아;김효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357-364
    • /
    • 2022
  • 본 연구는 임상치과위생사들의 윤리적 가치관과 전문 직업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2021년 1월 10일부터 2월 28일까지 서울, 경기 지역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하여 265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대상자 특성에 따른 윤리적 가치관과 전문 직업성에 대한 인식 차이는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였고, Scheffe test로 사후검정을 하였다. 연구결과 윤리적 가치관에서 윤리적 사고는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치과병원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고, 윤리적 사고와 윤리적 직무행동은 공통적으로 근무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에서의 윤리교육 경험과 졸업 후 윤리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전문 직업성에서 자율성은 나이가 많을수록,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근무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에서 윤리교육 경험이 있을 경우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고, 소명의식은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근무일수가 적을수록, 근무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에서 윤리교육 경험이 있을 경우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전문조직 준거성과 공공 봉사심은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이 연구의 결과로 치과위생사에게 보수교육 등의 정기적인 윤리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임상에서 직무수행 시 윤리적 가치관과 전문 직업성을 유지하며 올바른 윤리적 직무판단과 행동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임상 치과위생사의 업무 및 이직요인 연구 (A Study on the Work and Turnover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 유은미;한화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1-46
    • /
    • 2011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업무 및 이직요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 소재한 치과 병(의)원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383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해 조사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근무기관별 치과위생사의 업무에 대한 견해를 살펴보면 주 업무는 진료협조가 가장 많았고, 치과위생사가 가장 힘들어 하는 업무에 대해서는 치과의원(54.3%)과 치과병원(30.0%)모두 진료상담으로 조사되었다. 2. 경력별로 치과위생사의 업무에 대한 견해에서 주 업무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진료협조라고 가장 많이 조사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가장 힘든 업무에 대해서는 진료상담이라고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3. 근무기관 별 주력해야 할 업무로는 치과의원(35.5%), 치과병원(50.2%)가 예방치과처치 업무로 조사되었으며, 경력별 주력해야할 업무도 2년 미만, 2-4년, 4-7 년, 7년 이상 모두 예방처치업무가 높게 조사되었다. 4. 개선분야에 있어서 치과의원은 근무환경개선(27.2%), 치과병원은 급여인상(37.1%)이 우선시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7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치과 위생사들에게선 기혼자 재취업(25.9%)이 높게 조사되었다. 5. 근무기관별 치과위생사의 이직이유에 대해서 치과의원에서 직장상사와의 불화(39.3%)가 가장 많았으며 치과병원에서는 급여 불만족(28.6%)이 가장 높게 조사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