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 제목/요약/키워드: 측지계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의 새로운 단일원점 평면직각좌표계 설정 (Establishment of New Single Origin Plane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in Korea)

  • 김태우;윤홍식;이동하;김건수;고영창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83-192
    • /
    • 2013
  • 최근 전 세계적으로 국가별, 기관별, 목적별로 다양하게 구축된 공간정보를 단일한 위치기반으로 하는 데이터로 통합함으로써 각 자료 간 연계성 및 활용성을 높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국가측지기준의 도입에 따른 위치기준의 변화와 공간정보 분야의 seamless 데이터 서비스 요구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새로운 국가 단일원점 평면직각좌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한반도 전역을 투영영역으로 설정하고 투영영역 내 발생하는 투영왜곡을 분석함으로써 이를 균질화 및 최소화할 수 있는 투영파라미터를 정의하였으며, 이에 대한 표준화 및 국제기구 등록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국가 단일원점 평면직각좌표계를 위한 최적의 투영식은 Hooijberg 투영식으로 분석되었으며, TM 투영을 위한 5가지 투영파라미터는 위도(Φ) 38N, 경도(λ) 128E, 축척계수(K) 0.99924로 각각 분석되었다. 또한, 투영원점(Φ, λ)에 대한 가수값(false Northing & Easting)은 국가지점번호제도의 도입을 고려하여 북쪽방향 700,000m, 동쪽방향 400,000m로 각각 설정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수치시험을 통한 횡원통 상사 투영함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ransverse Cylindrical Projection Functions by A Series of Numerical Simulations)

  • 이흥규;서완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1-134
    • /
    • 2013
  • 우리나라는 1910년대 토지조사사업에서 설정된 횡원통상사투영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투영법은 수학적 유도 방법과 절차에 따라 다른 형태의 투영함수가 존재하며, 대표적인 것이 측지 및 공공측량에 사용하는 Gauss-Kruger(GK) 함수와 지적 분야의 Gauss-Schreiber(GS) 함수이다. 또한 이들 함수들은 실제 전산 구현 방법과 계수 선택에 따라 그 형태의 차이가 있어 투영변환 계산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횡원통상사투영의 GS 계열 2가지와 3가지 GK 정 역변환 함수를 과학기술계산용 소프트웨어인 MATLAB에 의해 구현하고, 이들 특성 비교를 위한 다양한 수치시험을 수행 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투영 범위에 따른 투영함수의 정확도, 변환좌표의 차이, 축척계수에 의한 왜곡 특성을 분석 하였다. 이와 함께 4계로 이루어진 투영체계에 대해 GS 및 GK 함수를 통해 투영변환을 실시하고, 좌표의 일치성 및 투영 면적왜곡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요약하였다.

노인들의 신체계측지와 체지방 추정 방법들간의 비교연구 -피하지방두께, 임피던스, 근적외선법-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Comparative Study about Fat estimation methods for the Elderly)

  • 한경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405-422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vide reference data for anthropometry and body composition and also to compare body fat estimation among skinfold thickness, BIA and NIR method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f height, weight, eight sites of skinfolds and six sites of circumferences were taken from 76 elderly male and 153 elderly female. Skinfold thicknesses, body composition and circumferences except waist were lowered with advancing age in elderly females and males. The degree of change with age vaired among parameters but was consistently and significantly(p<0.05) greater in elderly females than I males. Although sum of skinfold thicknesses and the amount of central and peripheral fa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s than that of males, the ratio of central fat to peripheral fat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males than in females. WHR i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males than that of females. This indicates that fat distribution of males tend to be centralized toward the trunk of the body than females. Estimation of body fat from skinfold thickness(male : 18.5±4.1%, female : 29.7±4.0%) and BIA(male : 19.5±7.3%, female : 29.6±6.7%) were similar bu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NIR method(male : 24.7±5.6%, 34.8±4.9%). Estimation of body fat by NIR measurement seemed to be more overestimated. Understanding the normal changes in body composition with increasing old age, and the ability to measure these changes and compare them with appropriate reference data are important for the health of the elderly.

  • PDF

지적기준점과 연계 활용을 위한 도시기준점의 지적좌표 성과산출 분석 - 경상남도 창원시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Results of Cadastral Coordinate Computation of Urban Control Point for Connection to Cadastral Control Point -A Case Study of Changwon-si of Kyungnam-)

  • 홍성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27-13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지적기준점과 도시기준점을 연계 활용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창원시를 대상으로 세계측지계 성과로 고시된 창원시 도시기준점(32점)의 GPS 관측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시기준점에 대한 지적좌표 성과를 산출 분석하여 보았다. 연구결과 3가지 서로 다른 계산 S/W를 이용해 지적좌표를 산출하고 이를 기존 도시기준점 고시 성과와 비교한 결과 현행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오차의 허용범위 이내로 분석되어 지적측량에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실무에서 안정적인 활용 위해 현행 도시기준점 고시 성과를 직접 지적측량에 이용하기 보다는 새로이 지적성과를 산출해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지역 삼각점에 대한 사전 정밀한 성과점검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계산 S/W는 삼변망조정계산 S/W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접지층에서 대기난류의 역할과 에너지 평형 (Role of Atmospheric Turbulences and Energy Balances in the Atmospheric Surface Layer)

  • 권병혁;김근희;김광호;강동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5-113
    • /
    • 2009
  • 연안습지 생태계에서 열에너지 교환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지표 열에너지 평형을 이루는 요소인 순복사플럭스, 현열 플럭스, 잠열 플럭스 그리고 토양열 플럭스를 전라남도 고흥에 위치한 수평적으로 균질하다고 판단되는 지역인 고흥만 간척지에서 관측하고 분석하였다. 열의 수송을 평가하기 위해서 5회의 집중관측 기간에 대기 난류를 측정하였고, 특히 갈대로 덮여있는 간척지에서 지표층 열에너지 수지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물과 매우 미세한 입자로 구성된 토양 그리고 계절에 따라 색깔과 밀도가 변하는 식생캐노피를 고려하였다. 순복사 플럭스, 현열 플럭스, 잠열 플럭스, 토양열 플럭스를 기존의 에너지 수지방정식에 적용하여 식생과 토양과 같은 지표면 특성에 따른 열 플럭스의 특징을 조사하여 습지의 기온조절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에너지 수지비로 식생 성장기에는 주로 잠열 플럭스에 의해 열이 대기로 전달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식생층은 열을 저장하여 기온의 일교차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여름철에 집중관측지의 기온이 주변 지역의 기온보다 보다 낮고 겨울철에는 다소높게 나타난 결과는 식생층을 포함하는 연안습지가 열환경을 조절함을 보여주었다.

  • PDF

RTK GPS에 의한 하천현황측량 (Hydrographic Surveying in River by RTK GPS)

  • 이석배;최보용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67-275
    • /
    • 2007
  • 오늘날 수자원관리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는 가운데 하천측량기술은 하천현황의 기본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기술이다. 또한 GPS는 그 활용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세계측지계를 기준으로 하는 시대에는 활용범위가 더욱 넓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GPS의 RTK측량방법을 이용하여 거창 황강에서 하천현황측량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기존의 주요한 하천측량기술이었던 토탈스테이션에 의한 측량결과와 비교한 연구로, 횡단면도는 Hec-Ras 수문해석프로그램과 CAD를 이용하여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작업시간은 15.3%가 절감되고, 작업량은 42.5%가 늘어났으며, RTK측량에 있어서 캘리브레이션 실시여부의 표준오차는 2.1cm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하천현황측량에 있어서 RTK GPS에 의한 측량방법이 토탈스테이션에 의한 방법보다 더욱 효율적인 측량방법이란 것을 것을 알 수 있었다.

GPS 시각 전송에서의 대류층 지연 모델 영향 비교 (Effects of Tropospheric Delay Models for GPS Time Transfer)

  • 유동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9-141
    • /
    • 2014
  • 본 논문은 GPS 시각 전송 기법 중 GPS 신호가 전달되면서 발생하는 대류층 지연에 관한 연구로써, 대류층 지연에 적용하는 지연 모델에 따른 지연 값의 형태를 비교한다. GPS 시각 전송은 CGGTTS 국제표준을 따르고 있다. 일반적인 측지용 GPS 수신기의 경우, CGGTTS 형태의 시각 전송값을 출력하지 않고 RINEX 형태의 값을 출력하는데, ROB에서 RINEX 형태의 값을 CGGTTS 형태로 변환하는 r2cggtts 라는 프로그램을 공급하고 있다. 전세계 표준 시각을 결정하기 위해 TAI link에 참여하는 시각 실험실들은 모두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CGGTTS 값을 BIPM에 전송한다. r2cggtts 프로그램의 대류층 지연모델은 CHAO mapping function과 NATO 천정지연모델이 구현되어 있다. 현재 대표적 대류층 지연 모델은 Niell mapping funcgion과 Saastamoinen 천정지연모델이 사용되고 있는 바, 이 모델들을 r2cggtts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시각 오프셋 결정을 위한 두 모델의 지연 결과값을 영향을 비교하고 분석한다.

  • PDF

Mobile GCS를 이용한 Network RTK 기반 경계 복원 측량 드론 (Proposal of Network RTK-based Boundary Surveying Drone Using Mobile GCS)

  • 정은지;장민석;이연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1942-1948
    • /
    • 2021
  • 우리나라 토지공부는 일제 시대의 낙후된 기술로 정립되어 현재 국내 토지의 15%가 지적도와 맞지 않는다. 이에 정부는 '지적재조사 사업'이라는 이름 아래 우리나라 토지공부를 정립하고 측량 원점을 세계측지계로 변경 중에 있다. 지적재조사 사업이 끝난 후 우리나라 디지털 정보 서비스가 구축되어 디지털 지적정보가 제공될 때, 그 정보를 이용하여 손쉽게 측량할 수 있는 드론 경계 복원 측량 방법을 제안한다. Mobile GCS는 모바일 어플로 드론을 제어하고 토지공부에 기록된 경계점 좌표를 획득하여 드론이 자동 비행하여 경계점을 표시하도록 한다. 개발한 프로토타입 드론으로 6개 경계점을 2분 내로 순회하였다.

지적도면의 도곽변위 보정과 고품질 연속도면 작성에 대한 기술적 접근 (Technical Approach to Modify Vertice Displacement of Cadastral Maps and Preparation of High-quality Continuous Map)

  • 양철수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4권2호
    • /
    • pp.5-18
    • /
    • 2024
  • 지적도면의 세계측지계 변환에 있어 구역 또는 도면 단위의 좌표변환의 결과로서 연속하는 도면을 작성하기 위해 인접 구역 또는 도곽점 간의 차이를 최소로 하는 보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좌표변환계산에 있어서는 Affine 변환모델을 이용하되 지적측량의 특성을 감안하여 특정 공통점을 중요시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좌표변환의 결과로서 생기는 인접 4 도곽점 간의 좌표 차이를 없애기 위한 기술로서 원근투영변환방법의 유용성을 제시하였다. 도곽점 변위의 보정 및 도곽접합은 필지 경계선의 변동을 수반하여 필지의 형상을 변화시키고 필지면적의 변동을 가져온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등록면적과 좌표면적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경계점을 미세조정할 수 있는 작업방법으로서 최소제곱법에 의한 수치계산 방법의 도입을 제시하였다. Affine 변환과 원근투영변환 그리고 경계점미세조정을 연계 활용하는 방법은 개별 도면으로 관리되어 온 지적도면을 정비함에 있어 도면의 품질향상을 도모하고 연속도면으로 작성할 수 있게 한다.

건물배치도를 이용한 국가기본도 수시수정 방법 개선 (The Improvement of Real-time Updating Methods of the National Base Map Using Building Layout Drawing)

  • 신창수;박문재;최윤수;백규영;김재명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8권1호
    • /
    • pp.139-151
    • /
    • 2018
  • 국가기본도 구축은 전국을 두 권역으로 나누어 2년 주기로 항공사진에 의한 수정도화를 실시하는 정시업무와 현지조사와 준공도면 등에 의하여 주요 변화 지형지물을 2주 이내에 수정하는 수시수정업무로 이루어지며, 이 중 국가기본도 수시수정 지형자료추출 업무에 활용되는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일사편리) 건물배치도의 경우 지역측지계 기반의 좌표체계로 세계측지계 기반 국가기본도에 활용할 경우 좌표변환오차가 위치오차에 포함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국가기본도는 수치지형도 건물 등록선인 건물 최외곽선(처마선)을 기준으로 등록하고 있고, 지적 및 건축 분야는 건물 중심선을 기준으로 등록하고 있어 건물 객체 관리기준이 불일치하고 있다. 이에 개선방법연구를 위해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일사편리)건물배치도 위치에 직접 네트워크 RTK 측량을 실시하여 국가기본도 평면 도화위치 기준과 비교하여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중 벽체와 처마의 차이가 있는 일반건축물의 경우 위치정보가 상이한 것 이외에 벽체와 처마의 차이만큼 건물 객체 비율에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일사편리) 건물배치도를 수시수정업무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건물 중심선과 건물 최외곽선(처마선)의 이중레이어의 기초자료 제공이 필요하다 판단된다. 또한, 최신성 및 정확성을 동시에 확보 가능한 유기적인 지도갱신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