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기준점과 연계 활용을 위한 도시기준점의 지적좌표 성과산출 분석 - 경상남도 창원시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Results of Cadastral Coordinate Computation of Urban Control Point for Connection to Cadastral Control Point -A Case Study of Changwon-si of Kyungnam-

  • 투고 : 2011.11.09
  • 심사 : 2011.12.05
  • 발행 : 2011.12.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지적기준점과 도시기준점을 연계 활용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창원시를 대상으로 세계측지계 성과로 고시된 창원시 도시기준점(32점)의 GPS 관측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시기준점에 대한 지적좌표 성과를 산출 분석하여 보았다. 연구결과 3가지 서로 다른 계산 S/W를 이용해 지적좌표를 산출하고 이를 기존 도시기준점 고시 성과와 비교한 결과 현행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오차의 허용범위 이내로 분석되어 지적측량에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실무에서 안정적인 활용 위해 현행 도시기준점 고시 성과를 직접 지적측량에 이용하기 보다는 새로이 지적성과를 산출해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지역 삼각점에 대한 사전 정밀한 성과점검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계산 S/W는 삼변망조정계산 S/W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at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an application that connects cadastral control point and urban control point. In order to do this, we calculated and analyzed the cadastral coordinate on urban control point by using the GPS observation data of Changwon-si urban control point (32 points) which was announced based on the result of global coordinate system. We calculated cadastral coordinate through using three different kinds of calculation S/Ws, and compared the results of the calculation with the preexisting result of urban control point. The comparison suggested that the gap between the new results and the existing results is in the range of error specified by a law. Therefore, the result can be used in cadastral surveying. However, for the safe application in practical works, we suggested that it would be better to carry out new cadastral surveying and use its result than to use the result of the current urban control point directly in surveying cadastral. In addition, we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examine precisely the local station of triangulation. Finally, we recommended that one should use trilateral network adjustment S/W as one's calculation S/W.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연구원, 2007, 국가공간정보에 대한 세계측지계의 체계적 적용방안, p.8.
  2. 권기욱, 2009, "도시기준점을 이용한 VRS 측량 효율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한국지적학회, 제25 권 제2호, pp.99-110.
  3. 대한지적공사 지역연구원, 2005, 지적재조사사업의 기준점 활용 방안 연구(우리나라 전역의 지적기준점 성과 통일).
  4. 류인종, 2001, "GPS RTK 기법을 이용한 도시기준점 설정",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5. 박승우, 2004, "GPS 기준점 및 도시기준점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6. 안원태, 2008, "VRS를 이용한 지역 파라메타 결정과 도시 기준점 분석",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산업대학원.
  7. 임인섭, 박경식, 최석근, 2001, "GPS RTK 기법을 이용 한 도시기준점 설정", 건설기술연구소 논문집, 충북대학교, 제20권, 제2호, pp.135-146.
  8. 진중노, 2007, "기타원점지역 지적기준점의 성과점검 및 통일방안",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9. 행정자치부, 2000, 지적측량대행제도의 개선방안, p.41.
  10. 홍성언, 지적도근점과 연계활용을 위한 도시기준점의 위치정확도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17권 제1호, 2009.3, pp.97-104.
  11. 황창섭, 정성혁, 임인섭, 이재기, 2001, "GPS 실시간 이동측량 기법을 이용한 도시기준점 설정", 2001학술발표회 논문집(창립50주년), 대한토목학회, pp.2379- 2382.
  12. GPS기준점서비스 홈페이지(http://gps.ngii.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