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취업 여부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3초

요인분석에 의한 식품의 안전성이 쌀 구매에 미치는 차별성 검정

  • 이순석;오상헌;조성주;조재규;정호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43.1-143
    • /
    • 2003
  • 본 논문은 브랜드 쌀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factor)들이 소비자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분석을 위하여 서울시에 1,000명의 주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주부들이 쌀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11개 항목을 5점 리커르트 척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하는 것은 쌀의 잔류 농약 정도로서 4.12점이 나왔으며, 영양가 높은 쌀(4.01점), 쌀알의 모양(3.96점) 및 쌀의 생산지(3.88점) 등의 순위가 높았다. 요인분석을 위해 고유치(eigen value) 값이 0.8 이상인 경우를 기준으로 요인 수를 분석한 결과 다섯가지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그 특징은 유형적 차원과 무형적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전자인 유형적차원은 물리적 속성(완전미 여부, 도정일자, 잔류농약), 지역성(생산지), 외관성(크기, 모양) 및 가격성등의 가시적 차원으로 소비자가 쉽게 판단하거나 쌀간의 비교가 용이한 특성이며, 후자는 심리적 속성이나 상징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브랜드 상표와 품질 인증 마크가 가지는 신뢰성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형적 차원인 식품의 안전성이 도시주부간 쌀 구매에 미치는 차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규성 검정 결과에 따라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에서 도시주부가 특성별로 두 집단으로 구분되는 기준은 자의적 분류보다는 공통적인 기준을 이용하고자 평균값(나이, 학력, 소득, 동거가족 수)을 기준으로, 그 외의 경우는 더미변수(주부직업 유무, 주거형태 및 거주지역)를 이용하여 구분하였다. 식품의 안전성으로 추출된 요인 값의 평균에 대해 두 집단간 차이를 검정하였으며, 분석 결과 주거형태가 1% 유의수준에서, 주부취업 여부 및 거주지역이 각각 5%유의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주부간 나이, 학력, 소득수준 및 동거가족 수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추정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볼 때, 식품의 안전성을 고려한 쌀의 마케팅 전략은 취업주부, 아파트 거주자 및 강남지역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 판매활동 강화가 필요하다. 아울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시 주부의 특성 변수들을 세밀하게 구분해서 연구·분석하는 시장세분화 연구가 필요하다.

  • PDF

뷰티계열 대학생의 재학 중 일 경험과 전공 만족도가 전공 일치 첫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Analysis of Impact of the Major Satisfaction Level And Job Experience Had Been Done During Undergraduate on the First Job in Beauty Major Undergraduate Students)

  • 황해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88-295
    • /
    • 2020
  • 뷰티 계열 대학생의 재학 중 일 경험과 전공 만족도가 전공 일치 첫 일자리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 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 GOMS) 6개년도 (2012~2017년) 자료에서 뷰티 계열 취업자 168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및 통계분석은 Windows 기반 SPSS Client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독립성 검증과 로지스틱 다중회귀 분석결과, 재학 중 일 경험 여부, 일 경험 기간, 일 경험 회수가 전공 일치 첫 일자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불일치 일 경험이 있는 경우, 반면 전공 일치 일 경험이 있는 경우, 일 경험 기간이 1년 이상일 때 대비 6개월 이상~1년 미만일 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재학 중 일 경험에 대한 학점인정 제도의 교육 정책 지원과 뷰티 계열 졸업생의 취업 이행 행태를 파악하는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한다.

유아 사교육비 실태 및 결정요인 분석 (An Analysis of Private Learning Expenses of Young Children and its Determining Factors)

  • 서문희;양미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89-20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만3~5세 유아의 사교육비 실태와 사교육 지출을 결정하는 요인을 알아보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아동 연령 및 이용 기관유형, 모 취업여부, 가구소득에 따른 사교육 실시 여부와 사교육비를 살펴보고, 사교육비 지출을 결정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125개 조사구에 거주하는 976가구의 자녀 만 3~5세 유아 1,6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X^2$검증, F검증, Duncan 사후검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3~5세 유아 중 86.7%가 사교육을 받고 있고, 연령이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유치원을 이용하는 아동이 사교육을 많이 받았다. 사교육비는 평균 129,700원으로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아동 연령이 높을수록, 어머니가 미취업일수록, 출생순위가 높을수록 유아에게 지출되는 사교육비 규모가 유의미하게 커졌다. 사교육은 아동의 발달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부모의 경제적인 부담은 물론 저출산 문제를 심화시키므로 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어머니와의 촉진적 의사소통이 여고생이 지각한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 어머니 취업여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지역 일반계 여고생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Mother-Daughter's Facilitative Communication on High School Daughter's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 Satisfaction of Mother's Working or Non-Working Status)

  • 이상길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127-141
    • /
    • 2002
  •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acilitative communication between mother and high school daughter on daughter's perceived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and satisfaction of mother's working or non-working status. In order to verify statistically the research questions above, experimental tools were made for each variable, and Cluster Sampling with Stratification was conducted among high school girls in Seoul. A total of 670 questionnaire sheets were administered to 13 high schools for girls in December 2001, and only 501 shee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SPSS 10.0 package was used for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Mother-high school daughter's facilitative communication significantly influences daughter's perceived family cohesion. In general, mother-high school daughter's facilitative communication had R square of 27.6% with regards to daughter's perceived family cohesion. 2) Mother-high school daughter's facilitative communication significantly influences daughter's perceived family adaptability. In general, mother-high school daughter's facilitative communication had R square of 25.3% with regards to daughter's perceived family adaptability. 3) Mother-high school daughter's facilitative communication significantly influences daughter's perceived satisfaction of mother's working of non-working status. In general, mother-high school daughter's facilitative communication had R square of 24.0% with regards to daughter's perceived satisfaction of mother's working status, and 7.4% with regards to non-working status.

대학에서의 전공영어강의 수강 경험, 고등학교 3학년 때의 경험, 고3 때의 특성, 대학에서의 영어전용 전공강좌 수강경험, 진로결정 유형과 고용상태와의 관계 탐색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3rd Year High School Characteristics, College English-mediated Subject Courses, Career Decision Type, and Employment Status)

  • 박혜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442-452
    • /
    • 2014
  • 본고는 한국교육고용 패널(KEEP) 1차 및 7차 자료를 이용하여 212명의 고3 때의 특성(수능성취도 포함), 대학 재학 중 영어전용 전공강좌 수강경험, 취업 실태(7차 자료)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대학에서의 전공과목 영어 수업 수강 여부, 영어전용 수업이해도를 예측하는데 사용된 고3 변수인 직업결정여부, 영어사교육경험여부, 영어흥미, 수능영어성취도 중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없었다. 대학에서의 경험(해외여행, 교수멘토링, 수업태도, 영어 공부시간)은 영어전용 전공강좌 선택과 관련이 없었으나, 영어전용 전공과목 수업이해도에 있어서 남학생에 비하여 여학생인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영어강의 수업이해도는 영어강의 수강회수와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수업의 유용성과 수업이해도는 교수의 영어사용빈도와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진로결정유형(취업, 대학원진학/ 유학, 기타)과 영어전용 전공과목 수강여부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수업이해도와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영어전용 수업경험과 고용상태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미취학 자녀를 둔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관련요인 (Parenting Stress and Related Factors of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 윤지원;황라일;조헌하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94-302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the level of parenting stress, entrapment, satisfaction of patern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between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and to identify significant predictors for parenting stress. Methods: With a cross-sectional, correlational study design, a sample of study was consisted of 175 women who were employed or non-employed with preschool children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with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by $x^2$-test, t-test, Pearson's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program. Results: Results shows that the level of parenting stress of non-employed mothers was significant higher than that of employed mother. The parenting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and positively correlated to entrapment in both of them. Entrapment was significant predictors explaining parenting stress in both of them and level of maternal education and satisfaction of paternal support and was significant predictors explaining parenting stress of non-employed mothers. Conclusion: Entrapment was very important factors to management parenting stress of both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Especially, satisfaction of patern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was very important factor to manag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여성의 취업여부와 사회적 역할 만족도에 따른 건강상태 (Physical Health and Depression in Women by Employment Status and Role Satisfaction)

  • 안숙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3-31
    • /
    • 2004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physical health and depression by women's employment status and role satisfaction, and to identify significant predictors for women's health status. Method: With a cross-sectional, correlational study design, a sample of study was consisted of 181 women who were employed or not employed whose child was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with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by $X^2$-test, t-test, 2-way ANC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program. Result: Employed women had poorer physical health than that of nonemployed women and women who had greater satisfaction as a parent reported better physical health and lower level of depression than who had lower satisfaction with covariates. Predictor for better physical health after controlling for covariates was being not employed, greater satisfaction with worker's role if employed, and greater satisfaction with parent's role. Women who had lower level of depression reported greater satisfaction with their social roles, but occupancy of multiple roles and role satisfaction as worker were not related to depression. Conclusion: Role quantity and role quality seem to be very important factors to maintain better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women.

  • PDF

협업 필터링을 활용한 비교과 프로그램 추천 기법: C대학 적용사례 (Non-Curriculum Recommendation Techniques Using Collaborative Filtering for C University)

  • 전유정;양경은;조완섭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87-192
    • /
    • 2022
  • 많은 대학교에서 다양한 교과 및 비교과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취업 역량을 향상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취업을 준비하는 학생마다 목표와 하고자 하는 활동이 다르다. 따라서 기존에 획일적이고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실제로 학생들에게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우므로 개인화 추천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충북대학교의 모든 학생에게 일괄적으로 제안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학년 및 학과별로 분류하여 제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의 평점 데이터를 사용하여 협업 필터링 모델 3가지를 구현하고, 성능을 비교해 가장 정확도가 높은 모델로 개인화된 맞춤형 추천을 제안한다.

여성 고학력자들의 취업: 생화학 분야 여성과학자 교수임용과정을 중심으로 (Employment Opportunities of Female Ph.D.s for Faculty Positions: the Case of Biochemistry in Korea)

  • 박찬웅
    • 한국인구학
    • /
    • 제29권1호
    • /
    • pp.157-183
    • /
    • 2006
  • 우리 사회에서 여성 고학력자의 취업 기회는 어떠한가? 이 연구는 여성 고학책자 혹은 전문 직종에서 여성 취업 기회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위해 생화학이라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분야에서 여성 학위자의 교수 임용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했다. 지금까지 이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박사 취득시 연령이 높을수록, 그리고 출생 코호트가 최근일수록 교수 임용 가능성이 높다. 특히 출생 코호트 분석을 통해서 시간이 지나면서 우리 사회에서 전반적인 여성 지위 개선과 함께 최근 국공립여교수채용목표제와 같은 정책과 더불어 여성 교수 임용 가능성의 향상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이 연구는 지금까지 교수 임용에 대한 연구와 달리, 단지 연구 업적의 양이 아니라, 연구 업적의 발표 학술지 유형(science citation index 등재 학술지 여부), 경력기간 내에서의 발표시점, 그리고 업적의 질적 측면을 보여주는 인용 횟수를 구별해서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교수 임용에 유리한 결과를 주는 것은 대학원 재학 시기에는 등재지에 실린 논문의 인용 횟수이고, 졸업 후 시기에는 등재지 논문 수라는 것을 제시했다. 이는 교수 임용 과정에서 해당 학자 평가 과정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연구는 앞으로 여성 학자의 교수 임용 기회향상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 학자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한 다차원적인 분석틀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사회적응 스트레스 발생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f the Social Adjustment stressed of Immigrant Women)

  • 정명희
    • 국제지역연구
    • /
    • 제15권2호
    • /
    • pp.451-481
    • /
    • 2011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 문화적응 스트레스 발생요인에 대해 분석한 것으로 저출산 고령화현상으로 인한 한국의 다문화사회에 이들의 적응상의 문제는 중요한 사회적 문제될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가족과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문화적응상의 요인을 찾고자 시도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취업 기회 확대를 위한 제도적 개선이 시급하고 결혼이주여성의 가구소득수준과 취업여부에 따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가구소득수준과 취업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결혼이주여성 가족지원 서비스 프로그램을 마련해줌으로써 남편과의 의사소통과 가족의 자국문화 이해 및 수용정도가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계적인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을 통한 정착 지원이 필요하며 또한 실질적인 서비스 내용의 질적 수준 향상, 접근성 강화 및 매스미디어 활용, 전담인력 확충, 사후관리 등의 지원이 선행되어야 한다. 넷째, 문화적 차이 극복을 위한 의식전환 기회 제공으로 다문화인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개선이 시급하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이 자국문화와 한국문화 사이에서 문화적으로 배려 받을 수 있으면서, 사회적 관계를 유지해 갈 수 있도록 하는 지원방안이 절실히 필요하다.